연구활동
글번호
12555498
일 자
17.10.19
조회수
754
글쓴이
강지연
탈경계 인문학의 전망

2016.12.13




삶의 재발명이라는 인문학적 이상은 언제나 상황의 구체성과 결합하여 성취된다한국의 문화적 전통근현대적 지식사회의 공론장포스트휴먼적 상황이 에코-테크네 인문학이 뿌리내려야 할 구체적인 상황적 지평이라 할 수 있다이 지평 위에서 에코-테크네 인문학의 가능성을 짚어내고현실적 성취의 전망을 타진해 보는 것은 그래서 중요하다문학철학역사예술기술이 이 시대에 어떻게 다층적인 생태계를 구성하면서 새로운 삶의 방식을 창조할 수 있는지 모색하는 것이 우리의 과제이다


위 글은 이화인문과학원 탈경계인문학 연구단 제111회 콜로키움 발표 내용의 일부입니다.

첨부파일첨부파일:

연구활동 게시판 목록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수 파일
공지 (~3/22(토)까지로 연장) 『탈경계인문학』(KCI 등재학술지) 제 18권 제1호 논문 모집 eih 2025-02-11 2604 파일아이콘
66 인공지능의 존재론  eih 2021-04-27 611 -
65 반도체 생산라인 여성 작업자들의 기술적 실천  eih 2021-04-26 526 -
64 의료 건강 삶: 인문학의 도전과 성과  eih 2019-10-30 999 파일아이콘
63 호프만, 과학기술 문명과 전파시즘의 징후/ 자율적 행위자로서의 인공지능  강지연 2017-10-19 1175 파일아이콘
62 기술과 소외/자율적 행위자로서의 인공지능/감정을 가진 로봇은 가능한가?  강지연 2017-10-19 663 파일아이콘
61 인공지능의 도전, 철학의 응전  강지연 2017-10-19 731 파일아이콘
60 탈경계 인문학의 전망  강지연 2017-10-19 753 파일아이콘
59 디지털 시대의 인쇄문학: 캐서린 헤일스의 문학이론  강지연 2017-10-19 1069 파일아이콘
58 The Freudian Robot & Asia as Method  강지연 2017-10-19 504 파일아이콘
57 캐서린 헤일스의 「나의 어머니는 컴퓨터였다: 디지털 주체와 문학 텍스트」  강지연 2017-10-19 728 파일아이콘
56 Robert Pepperell의 The Posthuman Condition  강지연 2017-10-19 716 파일아이콘
55 근대 중국의 과학과 인생관 논쟁  강지연 2017-10-19 767 파일아이콘
54 생명 표현과 근대 일본  강지연 2017-10-19 435 파일아이콘
53 인간은 죽음을 초월할 수 있는가? - 잃어버린 본성을 찾아서: 필멸에서 초멸로  강지연 2017-10-19 468 파일아이콘
52 포스트휴먼 시대의 기술철학: 시몽동과 라투르  강지연 2017-10-19 839 파일아이콘
처음 이전 다음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