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활동
글번호
12555463
일 자
17.10.19
조회수
546
글쓴이
강지연
근대 중국의 과학과 인생관 논쟁

2016.10.11

 

과학에 대한 이해는 중국 근대 지식인들에게 있어서 하나의 세계관이었다과학주의자들은 과학을 중심으로 세계관을 주요하게 구축하는 강력한 입장을 취하였다면과학의 한계를 주장하는 관점은 그 한계를 보완하는 초월적인 차원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보았다그리고 그것이 문화구성의 중요한 요소가 된다고 보았고동시에 과학만으로는 문화구성의 모든 것을 대변할 수 없다고 말하였다여기에서는 과학에 대하여 각자 입장을 취한 중국 세 지식인들의 특징을 일별해 보았다우리가 이 연구를 통하여 발견할 수 있는 점은 그들 자신이 과학에 대한 견해가 이상적인 정치체제의 구상을 위한 매우 적극적인 요소로 반영되어 있음이 드러난다.

장쥔마이의 경우는 과학적 합리성으로 인간의 삶이 환원될 수 없다는즉 인간 삶과 생명의 개성을 중시하였기 때문에인간의 개성과 주장을 기반으로 그를 수렴하는 정치체제인 의회민주주의가 가능하다고 주장하였다그러나 딩원지앙과 후스는 장쥔마이의 주장즉 과학적 체계로 환원되지 않는 인간과 인생관의 관점이 낭만적이라고 비판한다더 나아가 과학적 합리성이 사회체제와 문화 속에서 충분히 관철될 수 있다고 보는 입장을 견지하고 있다.

하지만 과학만능주의를 주장하는 딩원지앙은 사회의 온전한 통합을 이루기 위해서는 독재가 최선이라고 보는 반면과학적 인생관이 예각화 되어야 하면서 절충적 입장을 보였던 후스는 독재의 수준이 너무 높기 때문에지금 현재로서 그 수준으로 갈 수 없는 중국이 택할 길은 민주즉 유치민주주의라고 보았다.

이러한 담론들을 통하여 우리가 발견할 수 있는 것은 다음과 같다일반적으로 우리는 과학과 정치가 무관하다고 생각하지만 사실은 과학에 대한 다양한 이해와 그로 인한 사회적 인식과 구성이 상당히 긴밀한 관련이 있음을 보여주는 중요한 역사적 사례가 될 수 있을 것 같다과학기술에 대한 전문성이 없다 하더라도 인문학자들은 과학기술에 대하여 매우 긴밀한 견해와 대화를 취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여기에서 얻을 수 있다왜냐하면 결국 과학기술은 인간의 문제에 대한 과학적사회적문화적 해법의 일환이며결국 인간의 인생사회제도그리고 문화-정치적 삶에 긴밀하게 연동되고 있음을 부정할 수 없기 때문이다.



위 글은 이화인문과학원 탈경계인문학 연구단 제109회 콜로키움에서 김태연 선생님이 발표한 내용의 요지입니다.

첨부파일첨부파일:

연구활동 게시판 목록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수 파일
공지 제 151회 이화인문과학원 콜로키움 안내 (5/10) eih 2024-05-07 135 -
공지 [채용공고] 연구교수 채용 공고( ~ 5.1.(수) 16:00) eih 2024-04-24 303 -
공지 [이화인문과학원 국제학술대회] 에코-테크네 인문학의 응답 : 확장된 생태학을 위한 시나리오들 eih 2024-03-20 599 -
64 의료 건강 삶: 인문학의 도전과 성과  eih 2019-10-30 659 파일아이콘
63 호프만, 과학기술 문명과 전파시즘의 징후/ 자율적 행위자로서의 인공지능  강지연 2017-10-19 978 파일아이콘
62 기술과 소외/자율적 행위자로서의 인공지능/감정을 가진 로봇은 가능한가?  강지연 2017-10-19 498 파일아이콘
61 인공지능의 도전, 철학의 응전  강지연 2017-10-19 539 파일아이콘
60 탈경계 인문학의 전망  강지연 2017-10-19 544 파일아이콘
59 디지털 시대의 인쇄문학: 캐서린 헤일스의 문학이론  강지연 2017-10-19 763 파일아이콘
58 The Freudian Robot & Asia as Method  강지연 2017-10-19 332 파일아이콘
57 캐서린 헤일스의 「나의 어머니는 컴퓨터였다: 디지털 주체와 문학 텍스트」  강지연 2017-10-19 535 파일아이콘
56 Robert Pepperell의 The Posthuman Condition  강지연 2017-10-19 486 파일아이콘
55 근대 중국의 과학과 인생관 논쟁  강지연 2017-10-19 545 파일아이콘
54 생명 표현과 근대 일본  강지연 2017-10-19 265 파일아이콘
53 인간은 죽음을 초월할 수 있는가? - 잃어버린 본성을 찾아서: 필멸에서 초멸로  강지연 2017-10-19 297 파일아이콘
52 포스트휴먼 시대의 기술철학: 시몽동과 라투르  강지연 2017-10-19 591 파일아이콘
51 생명과 생태, 그리고 인간중심주의  강지연 2017-10-19 1576 파일아이콘
50 생명에 대한 새로운 이해: 현대생물학과 바이오아트  강지연 2017-10-19 356 파일아이콘
처음 이전 다음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