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활동
글번호
12549310
일 자
17.10.19
조회수
467
글쓴이
강지연
오를레앙의 처녀와 애국부인


2014.05.07


_박인원



잔다르크는 지난 6백년 동안 문학오페라영화그리고 만화와 컴퓨터 게임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매체를 통해 형상화되어 온 인물이자 오늘날까지도 동서양을 막론하고 집단적 정체성에 호소하기 위해 호명되는 글로컬 아이콘이다. ‘조국에 대한 의식이 아직 부재했던 역사적 상황에서 잔다르크는 처음으로 근대적 의미의 민족·국가에 대한 비전을 제시해 주었으며 애국주의뿐만 아니라 어떤 면에서는 종교개혁까지 선취한 인물이다세계화 시대에 민족·국가에 대한 논의가 다시 새롭게 부각되면서 국민적 신화 및 집단적 표상으로서 잔다르크의 기능이 여러 관점에서 다시 주목받고 있다.

이 연구는 애국심 양성이 절실한 과제로 인식되었던 정치적·역사적 상황에서 잔다르크를 주인공으로 등장시킨 프리드리히 쉴러(Friedrich Schiller, 1759~1805)의 오를레앙의 처녀(1801)와 근대계몽기 지식인 위암(韋庵장지연(張志淵, 1864~1921)의 애국부인전(1907)을 같이 읽어보고자 했다두 작품은 백년의 시간적 거리를 두고 독일과 한국에서 각각 처음으로 잔다르크라는 여성영웅을 소재로 삼았다오를레앙의 처녀는 극작가로서 쉴러의 최대 성공작이었으며 19세기 후반 미슐레를 비롯한 낭만주의 역사가들에 의해 민중영웅으로 승화된 잔다르크 숭배에 적지 않은 영향을 준 작품이다일본과 중국을 거쳐서 번역·개작된 애국부인전은 장지연이 애국계몽운동여성교육의 일환으로 기획한 작품으로 그 당시 대중적으로 많은 영향을 미친 순한글 작품이다.

국가 건설을 위해서는 우선 조국민족국가와 같은 추상적인 개념들을 정서적으로감정적으로 전달해 줄 수 있는 영웅이 요구된다잔다르크가 어떤 방식으로 쉴러와 장지연에 의해 그 시대적 맥락과 결부되어 애국심을 고취하는 카리스마적인 인물로 각색되는지그러면서도 어떻게 동시에 보수적인 성 담론을 재생산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위 글은 이화인문과학원 탈경계인문학 연구단 제85회 콜로키움에서 박인원 선생님이 발표하신 논문의 요지 글입니다.

첨부파일첨부파일:

연구활동 게시판 목록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수 파일
공지 제 151회 이화인문과학원 콜로키움 안내 (5/10) eih 2024-05-07 139 -
공지 [채용공고] 연구교수 채용 공고( ~ 5.1.(수) 16:00) eih 2024-04-24 308 -
공지 [이화인문과학원 국제학술대회] 에코-테크네 인문학의 응답 : 확장된 생태학을 위한 시나리오들 eih 2024-03-20 605 -
19 20세기 초 신채호의 역사 쓰기와 조선후기 실학자 안정복  강지연 2017-10-19 352 파일아이콘
18 오를레앙의 처녀와 애국부인  강지연 2017-10-19 466 파일아이콘
17 비교문학에서의 번역의 문제  강지연 2017-10-19 222 파일아이콘
16 포스트휴먼 사회를 사유하기 위한 하나의 청사진  강지연 2017-10-19 275 파일아이콘
15 포스트휴먼 시대의 미술 – 바이오아트  강지연 2017-10-19 307 파일아이콘
14 이주자들의 혼종성의 서사-야마시타의 『오렌지 회귀선』 (이선주)  강지연 2017-10-19 229 파일아이콘
13 고전의 번역과 소비의 양상〈춘향전〉  강지연 2017-10-19 254 파일아이콘
12 교지 이화에 나타난 근대적 번역 행위와 수행적 정체성 연구 (강소영, 윤정화)  강지연 2017-10-19 146 파일아이콘
11 역관 현채(玄采)의 근대 번역 주체로의 성장 과정 (박경)  강지연 2017-10-19 179 파일아이콘
10 볼테르와 중국: 전례논쟁에 대한 볼테르의 견해 (송태현)  강지연 2017-10-19 288 파일아이콘
9 주변부 문학의 초국가적 역동성 (이경란)  강지연 2017-10-19 212 파일아이콘
8 인간향상과 인간본성 (신상규)  강지연 2017-10-19 234 파일아이콘
7 유럽의 'K-pop' 열풍과 문화혼종성 (이수안)  강지연 2017-10-19 1143 파일아이콘
6 근대시기 양건식의 중국고전소설 번역 및 수용 (정선경)  강지연 2017-10-19 177 파일아이콘
5 ‘문화번역’의 시각에서 본 량치차오 희극 개량 담론 (김영숙)  강지연 2017-10-19 199 파일아이콘
처음 이전 다음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