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활동
글번호
12555408
일 자
17.10.19
조회수
316
글쓴이
강지연
동아시아와 지식담론

2016.05.04

_오윤호


동아시아 근대 지식의 재인식동아시아 근대는 새로운 서구 지식의 유입과 동아시아적 지식의 재편성이 이루어지던 시공간적 특수성을 내포하며역동적인 지적 소통의 장이 만들어졌던 순간이었다서구 근대지식에 비해 취약한 토대를 갖고 있지만동아시아 근대 지식은 매우 현실적이었으며지식의 전환기에 매우 능동적으로 기능한다동아시아 지식장의 변동과 지역적 특수성 및 지식의 보편성을 새롭게 인식할 수 있는 인문학 연구가 요청된다. 

지식 장의 구성과 지식담론의 재배치동아시아 근대지식 연구는 기존 근대 지식이 기반하고 있는 담론 체계의 양상을 인문학적 상상력과 사유를 통해 재인식하는 것이 일차적인 과정이며그러한 상황을 진단하고인문학적으로 지식 체계를 재구성하는 것이 이차적인 과정이다.



위 글은 이화인문과학원 탈경계인문학 연구단 제103회 콜로키움에서 오윤호 선생님이 발표하신 논문의 요지 글입니다.


첨부파일첨부파일:

연구활동 게시판 목록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수 파일
공지 (~3/22(토)까지로 연장) 『탈경계인문학』(KCI 등재학술지) 제 18권 제1호 논문 모집 eih 2025-02-11 2599 파일아이콘
51 생명과 생태, 그리고 인간중심주의  강지연 2017-10-19 2112 파일아이콘
50 생명에 대한 새로운 이해: 현대생물학과 바이오아트  강지연 2017-10-19 590 파일아이콘
49 생명 개념의 역사 Ⅱ : 도(道)와 기(氣)에서부터  강지연 2017-10-19 587 파일아이콘
48 생명 개념의 역사 I : 영혼과 기계 사이에서  강지연 2017-10-19 549 파일아이콘
47 동아시아와 지식담론  강지연 2017-10-19 315 파일아이콘
46 과학지식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강지연 2017-10-19 342 파일아이콘
45 개인적인 삶에 대한 긍정과 지식의 재배치-이옥의 <백운필>을 중심으로  강지연 2017-10-19 360 파일아이콘
44 포스트휴먼 시대의 인간 본성  강지연 2017-10-19 455 파일아이콘
43 들뢰즈와 비-인간  강지연 2017-10-19 483 파일아이콘
42 포스트휴머니즘에 관한 편지: 데리다의 “인간의 종말” 이후  강지연 2017-10-19 375 파일아이콘
41 문화연구의 탈경계적 문제설정과 그 현재성  강지연 2017-10-19 326 파일아이콘
40 디드로의 문학 상상력과 과학  강지연 2017-10-19 321 파일아이콘
39 김영하의 『검은 꽃』에 나타난 초국가적 '이주'의 양상  강지연 2017-10-19 488 -
38 자유 의지라는 환상과 자율 로봇의 가능성  강지연 2017-10-19 518 파일아이콘
37 음성-문자-글쓰기 기계: 키틀러의 ‘기록체계’와 사이보그  강지연 2017-10-19 392 파일아이콘
처음 이전 다음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