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활동
글번호
12555387
일 자
17.10.19
조회수
455
글쓴이
강지연
포스트휴먼 시대의 인간 본성

2015.12.01

_천현득


인간 향상(human enhancement)이란 생명공학, 인지신경기술, 나노기술, 정보통신기술 등을 통해 인간의 인지적, 정서적, 신체적 능력을 통상적 범위 넘어서는 수준까지 향상시키는 것을 말한다. 다양한 기술적 노력을 통해 인류가 더 오래, 더 건강하게 살며, 더 똑똑해지고 더 나은 기분을 유지할 수 있다면, 그렇게 하지 않아야할 이유가 없어보인다. 그러나 인간 향상 시도에 대한 저항도 만만치 않다. 많은 사람들은 그러한 향상 시도에서 강한 정서적 거부감과 도덕적 불안감을 느낀다. 인간 향상에 반대하는 논변들은 흔히 인간 본성(human nature)의 개념에 호소한다. 인간 향상은 인간 본성을 위배하거나 변경하려는 것이고, 그렇게 되면 인간의 존엄성, 도덕적 가치, 좋은 삶 등의 기반이 붕괴될 수 있기 때문에 인간 향상은 허용될 수 없다는 것이다. 문제는 인간 본성이라는 개념이 인간에 관한 과학적, 생물학적 지식과 양립할 수 있는지, 그리고 양립가능한 인간 본성의 개념이 존재하더라도 그것이 규범적이거나 도덕적인 담론에서 기여할 수 있는지 의문스럽다는 데 있다. 본 발표에서는 과학적으로 존중받을만한 인간 본성의 개념이 존재할 수 있으며, 그러한 인간 본성의 개념이 규범적 차원의 논의에서도 일정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고 주장할 것이다. 포스트휴먼 시대에도 인간 본성이란 여전히 물어야할 주제이다. 



위 글은 이화인문과학원 탈경계인문학 연구단 제100회 콜로키움에서 천현득 선생님이 발표하신 논문의 요지 글입니다.


첨부파일첨부파일:

연구활동 게시판 목록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수 파일
공지 (~3/22(토)까지로 연장) 『탈경계인문학』(KCI 등재학술지) 제 18권 제1호 논문 모집 eih 2025-02-11 2599 파일아이콘
51 생명과 생태, 그리고 인간중심주의  강지연 2017-10-19 2112 파일아이콘
50 생명에 대한 새로운 이해: 현대생물학과 바이오아트  강지연 2017-10-19 590 파일아이콘
49 생명 개념의 역사 Ⅱ : 도(道)와 기(氣)에서부터  강지연 2017-10-19 587 파일아이콘
48 생명 개념의 역사 I : 영혼과 기계 사이에서  강지연 2017-10-19 548 파일아이콘
47 동아시아와 지식담론  강지연 2017-10-19 315 파일아이콘
46 과학지식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강지연 2017-10-19 342 파일아이콘
45 개인적인 삶에 대한 긍정과 지식의 재배치-이옥의 <백운필>을 중심으로  강지연 2017-10-19 360 파일아이콘
44 포스트휴먼 시대의 인간 본성  강지연 2017-10-19 454 파일아이콘
43 들뢰즈와 비-인간  강지연 2017-10-19 483 파일아이콘
42 포스트휴머니즘에 관한 편지: 데리다의 “인간의 종말” 이후  강지연 2017-10-19 374 파일아이콘
41 문화연구의 탈경계적 문제설정과 그 현재성  강지연 2017-10-19 325 파일아이콘
40 디드로의 문학 상상력과 과학  강지연 2017-10-19 321 파일아이콘
39 김영하의 『검은 꽃』에 나타난 초국가적 '이주'의 양상  강지연 2017-10-19 488 -
38 자유 의지라는 환상과 자율 로봇의 가능성  강지연 2017-10-19 518 파일아이콘
37 음성-문자-글쓰기 기계: 키틀러의 ‘기록체계’와 사이보그  강지연 2017-10-19 391 파일아이콘
처음 이전 다음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