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활동
글번호
12551241
일 자
17.10.19
조회수
168
글쓴이
강지연
문화연구의 탈경계적 문제설정과 그 현재성


2015.05.15

_최진석

  

1960년대 영국에서 문화연구가 하나의 학문으로서 성립한 이래 문화연구의 대의와 방법론은 서구와 한국의 현실에서 수차례 소환되어 왔다화석화된 사회과학을 되살리기 위한 보조제로서인문학의 위기를 타개하기 위한 지원군으로서 문화연구는 호출되었고그때마다 적절히 처방되었던 것이다그런 의미에서 문화연구는 항상 위기와 함께 했던 영역이었다고 말해도 좋을 듯하다.

애초부터 본질적인 자기 정체성을 주장하지 않던 문화연구는 기성 분과들의 위기에 호출되는 과정에서 그것들과 일정 정도 혼성화의 과정을 겪었다그 결과지금 인문·사회과학의 상당한 영역들은 문화연구의 관점과 주제방법론을 공유하고 있다고 말해도 틀리지 않는 상황이다그렇다면 현재적 시점에서 문화연구란 무엇인가그 본래적 문제설정은 얼마만큼의 효과를 거두었나를 물어야 할 것이다이에 대한 잠정적인 답안은 부정적이다분과학문의 위기는 아직 계속되고 있으며문화연구 역시 그 자체의 위기에 직면해 있다는 진단을 우리는 자주 마주치는 탓이다후자만을 일단 관점화한다면, ‘학문의 레테르를 달고 대학과 공존하는 상황에서 문화연구 또한 제도의 포로가 되었다는 의혹은 마냥 풍문만이 아니다. 2014년 스튜어트 홀이 타계하면서 역사적 문화연구가 종언을 고했다는 현재의 시점에서문화연구는 제도와 그 위기를 어떻게 돌파하고 있는가이러한 문제의식은 비단 문화연구라는 레테르를 명시적으로 붙이고 있는 영역에만 한정되지 않으리라 생각한다. 

오늘의 발표는 상기의 물음들에 대한 모범답안을 만들려는 시도가 아니다차라리 여기서는 차후에 내려질 답안들에 대한 시안을 구상해 보고자 한다그것은 문화연구의 성립사를 비판적으로 재구성함으로써 제도화와 위기의 문제문화연구에서 탈경계화란 어떤 것인지를 검토해 보는 일이다이로써 우리가 찾는 것은 문화연구란 무엇인가에 대한 본질주의적 정의가 아니라, (역사적문화연구가 종언을 맞은 지금 문화연구란 어떤 것이어야 하는지에 관한 정세적인 진단이다그것은 푸코적 의미에서 계보학적 문제설정이며방법에 대한 탐구이지 않을 수 없다일종의 진단시험지로서먼저 서구 문화연구의 발생과 전개에 대해 논의한 다음한국에서 그것의 도입과 변형현황에 대해 살펴본 후결론에서 진단결과를 확인해 보도록 하겠다.

 

 

위 글은 이화인문과학원 탈경계인문학 연구단 제98회 콜로키움에서 최진석 선생님이 발표하신 논문의 요지 글입니다.

첨부파일첨부파일:

연구활동 게시판 목록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수 파일
공지 제 151회 이화인문과학원 콜로키움 안내 (5/10) eih 2024-05-07 137 -
공지 [채용공고] 연구교수 채용 공고( ~ 5.1.(수) 16:00) eih 2024-04-24 308 -
공지 [이화인문과학원 국제학술대회] 에코-테크네 인문학의 응답 : 확장된 생태학을 위한 시나리오들 eih 2024-03-20 603 -
49 생명 개념의 역사 Ⅱ : 도(道)와 기(氣)에서부터  강지연 2017-10-19 261 파일아이콘
48 생명 개념의 역사 I : 영혼과 기계 사이에서  강지연 2017-10-19 375 파일아이콘
47 동아시아와 지식담론  강지연 2017-10-19 165 파일아이콘
46 과학지식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강지연 2017-10-19 166 파일아이콘
45 개인적인 삶에 대한 긍정과 지식의 재배치-이옥의 <백운필>을 중심으로  강지연 2017-10-19 169 파일아이콘
44 포스트휴먼 시대의 인간 본성  강지연 2017-10-19 274 파일아이콘
43 들뢰즈와 비-인간  강지연 2017-10-19 250 파일아이콘
42 포스트휴머니즘에 관한 편지: 데리다의 “인간의 종말” 이후  강지연 2017-10-19 207 파일아이콘
41 문화연구의 탈경계적 문제설정과 그 현재성  강지연 2017-10-19 167 파일아이콘
40 디드로의 문학 상상력과 과학  강지연 2017-10-19 156 파일아이콘
39 김영하의 『검은 꽃』에 나타난 초국가적 '이주'의 양상  강지연 2017-10-19 234 -
38 자유 의지라는 환상과 자율 로봇의 가능성  강지연 2017-10-19 273 파일아이콘
37 음성-문자-글쓰기 기계: 키틀러의 ‘기록체계’와 사이보그  강지연 2017-10-19 184 파일아이콘
36 윌리엄 깁슨의 사이버스페이스와 포스트휴먼  강지연 2017-10-19 217 파일아이콘
35 에머슨의 자연 19세기 미국의 자연관을 통해 본 생태주의적 사유  강지연 2017-10-19 158 파일아이콘
처음 이전 다음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