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활동
글번호
12551252
일 자
17.10.19
조회수
375
글쓴이
강지연
포스트휴머니즘에 관한 편지: 데리다의 “인간의 종말” 이후

2015.11.17


_김애령

 

이 연구는 여러 철학자들에 의해 예견되고 선언되었지만 궁극적으로는 완성되지 못한 인간의 종말’ 또는 휴머니즘의 종말에 대한 물음에서 시작한다데리다는 인간의 종말(Les Fins de l’homme, The Ends of Man, 1968)”에서전후 프랑스에서 철학적 인간학(philosophical anthropology)의 관점으로 수용되었던 헤겔후설그리고 하이데거의 철학은 근본적으로 인간학에 대한 비판으로부터 출발했다는 사실을 지적한다이러한 반 인간학적 독일 철학의 인간학적 프랑스 수용이라는 굴절은 무엇을 의미하는가데리다는 그것이 단지 오역이나 오독의 문제가 아니라고 본다그것은 오히려 인간의 종말’ 또는 휴머니즘의 종말의 선언이 극복하지 못한 목적으로서의 인간이라는 관념을 보여준다고 해석한다.

 

하이데거의 휴머니즘에 관한 편지(Letter on Huamnism, 1949)”는 철학적 인간학과의 단절이자 전회(Kehre)의 선언이라고 평가되어왔고포스트휴머니즘 담론에 큰 영향을 준 것으로 받아들여졌다이 발표는 데리다의 하이데거 읽기를 축으로사르트르의 (-)휴머니즘과 하이데거의 (-)휴머니즘을 비교한다이를 통해 각기 표명하는 주장과 달리 사르트르의 휴머니즘이 반-휴머니즘인 만큼하이데거의 반-휴머니즘도 휴머니즘과의 완전한 단절이 되지 못했다는 사실을 밝힌다이와 같은 읽기가 포스트휴머니즘 논의의 심화에 하나의 시사점을 줄 것이다즉 인간의 종언 혹은 휴머니즘의 종언이 인간의 목적이라는 관념을 완전히 폐기되지 않는 한포스트휴머니즘은 휴머니즘의 긴 그림자 안에 머물 것이라는 점이다.

 

 

위 글은 이화인문과학원 탈경계인문학 연구단 제100회 콜로키움에서 김애령 선생님이 발표하신 논문의 요지 글입니다.

첨부파일첨부파일:

연구활동 게시판 목록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수 파일
공지 (~3/22(토)까지로 연장) 『탈경계인문학』(KCI 등재학술지) 제 18권 제1호 논문 모집 eih 2025-02-11 2599 파일아이콘
51 생명과 생태, 그리고 인간중심주의  강지연 2017-10-19 2112 파일아이콘
50 생명에 대한 새로운 이해: 현대생물학과 바이오아트  강지연 2017-10-19 590 파일아이콘
49 생명 개념의 역사 Ⅱ : 도(道)와 기(氣)에서부터  강지연 2017-10-19 587 파일아이콘
48 생명 개념의 역사 I : 영혼과 기계 사이에서  강지연 2017-10-19 548 파일아이콘
47 동아시아와 지식담론  강지연 2017-10-19 315 파일아이콘
46 과학지식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강지연 2017-10-19 342 파일아이콘
45 개인적인 삶에 대한 긍정과 지식의 재배치-이옥의 <백운필>을 중심으로  강지연 2017-10-19 360 파일아이콘
44 포스트휴먼 시대의 인간 본성  강지연 2017-10-19 455 파일아이콘
43 들뢰즈와 비-인간  강지연 2017-10-19 483 파일아이콘
42 포스트휴머니즘에 관한 편지: 데리다의 “인간의 종말” 이후  강지연 2017-10-19 374 파일아이콘
41 문화연구의 탈경계적 문제설정과 그 현재성  강지연 2017-10-19 325 파일아이콘
40 디드로의 문학 상상력과 과학  강지연 2017-10-19 321 파일아이콘
39 김영하의 『검은 꽃』에 나타난 초국가적 '이주'의 양상  강지연 2017-10-19 488 -
38 자유 의지라는 환상과 자율 로봇의 가능성  강지연 2017-10-19 518 파일아이콘
37 음성-문자-글쓰기 기계: 키틀러의 ‘기록체계’와 사이보그  강지연 2017-10-19 391 파일아이콘
처음 이전 다음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