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활동
글번호
12551233
일 자
17.10.19
조회수
322
글쓴이
강지연
디드로의 문학 상상력과 과학

2015.05.15

_송태현

 

이 발표문은 디드로의 유물론적 과학관이 제기하는 결정론과 자유의지 문제를 문학적 상상력으로 풀어낸 소설 <운명론자 자크와 그의 주인 Jacques le fataliste et son maître>을 다룬다이 작품에서 다루는 결정론과 자유의지의 주된 문제의식은 이 작품을 집필하기 전인 1756년에 랑두아(Landois)에게 보내는 편지에서 밝힌 견해를 거의 벗어나지 않는다인간의 자유 문제를 다루는 이 편지는 자유 의지가 없는 인간에게 어떻게 개선 가능성이 있을 수 있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논증이 없다는 점에서 한계를 지닌다그것은 디드로가 굳이 그 연결 고리가 필요 없을 만큼 당연하다고 판단하여 생략한 것일 수도 있겠지만그 논증이 너무 어렵기 때문에 건너 뛴 것일 가능성이 더 높아 보인다. ‘랑두아에게 보내는 편지가 지니는 한계는 소설의 한계로 이어진다자유의지가 없는 인간에게 교정 혹은 개선을 요구할 수 있는 논거를 <운명론자 자크와 그의 주인>에서도 충분히 제시하지 않기 때문이다.

 

 

위 글은 이화인문과학원 탈경계인문학 연구단 제98회 콜로키움에서 송태현 선생님이 발표하신 논문의 요지 글입니다.

첨부파일첨부파일:

연구활동 게시판 목록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수 파일
공지 (~3/22(토)까지로 연장) 『탈경계인문학』(KCI 등재학술지) 제 18권 제1호 논문 모집 eih 2025-02-11 2601 파일아이콘
51 생명과 생태, 그리고 인간중심주의  강지연 2017-10-19 2113 파일아이콘
50 생명에 대한 새로운 이해: 현대생물학과 바이오아트  강지연 2017-10-19 591 파일아이콘
49 생명 개념의 역사 Ⅱ : 도(道)와 기(氣)에서부터  강지연 2017-10-19 588 파일아이콘
48 생명 개념의 역사 I : 영혼과 기계 사이에서  강지연 2017-10-19 549 파일아이콘
47 동아시아와 지식담론  강지연 2017-10-19 316 파일아이콘
46 과학지식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강지연 2017-10-19 342 파일아이콘
45 개인적인 삶에 대한 긍정과 지식의 재배치-이옥의 <백운필>을 중심으로  강지연 2017-10-19 361 파일아이콘
44 포스트휴먼 시대의 인간 본성  강지연 2017-10-19 455 파일아이콘
43 들뢰즈와 비-인간  강지연 2017-10-19 483 파일아이콘
42 포스트휴머니즘에 관한 편지: 데리다의 “인간의 종말” 이후  강지연 2017-10-19 375 파일아이콘
41 문화연구의 탈경계적 문제설정과 그 현재성  강지연 2017-10-19 326 파일아이콘
40 디드로의 문학 상상력과 과학  강지연 2017-10-19 321 파일아이콘
39 김영하의 『검은 꽃』에 나타난 초국가적 '이주'의 양상  강지연 2017-10-19 489 -
38 자유 의지라는 환상과 자율 로봇의 가능성  강지연 2017-10-19 519 파일아이콘
37 음성-문자-글쓰기 기계: 키틀러의 ‘기록체계’와 사이보그  강지연 2017-10-19 392 파일아이콘
처음 이전 다음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