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활동
글번호
12555402
일 자
17.10.19
조회수
343
글쓴이
강지연
과학지식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2016.04.06

_천현득


과학이란 과학적 방법에 입각한 과학자들의 연구를 통해 자연세계에 대한 객관적 지식을 산출하는 활동과 그렇게 산출된 지식을 가리키는 말로 흔히 사용된다. 자연에 관한 체계적인 탐구의 역사는 고대 희랍까지 거슬러 올라갈 수 있겠지만, 과학의 표준적이고 근대적인 의미는 16-7세기 과학혁명(the Scientific Revolution)를 거쳐 형성된 것으로 여겨진다. 이 발표에서는 과학혁명기에 벌어졌던 예화들을 되짚어봄으로써 이미 만들어진 과학 지식이 아니라 과학 지식이 만들어지는 과정에 주목한다. 코페르니쿠스 혁명, 갈릴레오의 망원경 관측과 궁정의 후원, 베이컨주의와 실험철학의 등장을 간략히 살펴보면서, 과학자들의 이론 선택에서 가치의 개입, 과학 연구의 제도적 지원과 사회인식론적 문턱, 실험이 사실을 만들어낸다는 경험주의 테제의 성립 경위 등을 논의한다. 



위 글은 이화인문과학원 탈경계인문학 연구단 제102회 콜로키움에서 천현득 선생님이 발표하신 논문의 요지 글입니다

첨부파일첨부파일:

연구활동 게시판 목록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수 파일
공지 (~3/22(토)까지로 연장) 『탈경계인문학』(KCI 등재학술지) 제 18권 제1호 논문 모집 eih 2025-02-11 2603 파일아이콘
51 생명과 생태, 그리고 인간중심주의  강지연 2017-10-19 2113 파일아이콘
50 생명에 대한 새로운 이해: 현대생물학과 바이오아트  강지연 2017-10-19 591 파일아이콘
49 생명 개념의 역사 Ⅱ : 도(道)와 기(氣)에서부터  강지연 2017-10-19 588 파일아이콘
48 생명 개념의 역사 I : 영혼과 기계 사이에서  강지연 2017-10-19 549 파일아이콘
47 동아시아와 지식담론  강지연 2017-10-19 316 파일아이콘
46 과학지식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강지연 2017-10-19 342 파일아이콘
45 개인적인 삶에 대한 긍정과 지식의 재배치-이옥의 <백운필>을 중심으로  강지연 2017-10-19 361 파일아이콘
44 포스트휴먼 시대의 인간 본성  강지연 2017-10-19 455 파일아이콘
43 들뢰즈와 비-인간  강지연 2017-10-19 483 파일아이콘
42 포스트휴머니즘에 관한 편지: 데리다의 “인간의 종말” 이후  강지연 2017-10-19 375 파일아이콘
41 문화연구의 탈경계적 문제설정과 그 현재성  강지연 2017-10-19 326 파일아이콘
40 디드로의 문학 상상력과 과학  강지연 2017-10-19 322 파일아이콘
39 김영하의 『검은 꽃』에 나타난 초국가적 '이주'의 양상  강지연 2017-10-19 489 -
38 자유 의지라는 환상과 자율 로봇의 가능성  강지연 2017-10-19 519 파일아이콘
37 음성-문자-글쓰기 기계: 키틀러의 ‘기록체계’와 사이보그  강지연 2017-10-19 392 파일아이콘
처음 이전 다음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