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수번호
|
과목명
|
주제어
|
과목설명
|
34721
|
멀티미디어와웹실습
Multimedia and Web Production
|
멀티미디어/
웹디자인/인터넷
|
시각적 조형언어, 영상언어에 대한 기본적 이해를 통하여 조형에 관한 흥미와 유연한 사고를 기른다. 다각적인 컴퓨터 실습과정을 통하여 새로운 영상표현 능력과 개념을 습득하고 응용력, 창의력을 배양하도록 하는데 주안점을 둔다. 텍스트, 사운드, 이미지, 비디오, 애니메이션 등의 미디어 소스를 이용하여 직접 DVD-Rom Title, Web Site제작 등의 실습을 한다.
|
35103
|
취재와보도실습
Intermediate News Reporting & Writing
|
저널리즘/
고급 기사 작성/
편집
|
일회성 사건이나 사고 등에 관한 스트레이트 뉴스가 아니라 장기간의 추적 취재와 체계적 자료 조사를 필요로 하는 기사의 보도에 필요한 다양한 기술과 윤리적 측면까지를 교육한다. 이 과목은 기사작성기초 과목의 이수를 필요로 하며 가능한 한 수강신청 이전에 담당 교수와의 면담을 요구할 예정이다. 사회, 정치, 경제, 문화, 법률 각 분야의 쟁점이나 구조적 문제들에 대한 깊이 있는 분석이 가능할 수 있도록 매주 실습 중심으로 강의를 진행한다. 학생들은 인터뷰와 문헌 자료 조사, 컴퓨터를 이용한 전자적 자료조사 등에 관한 테크닉을 교육 받게 된다.
|
35104
|
NewsReporting&Writing
|
뉴스/보도/
저널리즘
|
English journalism의 기본 기술을 배우기 원하는 학생들을 위한 과정으로 언론에서의 글쓰기, 뉴스의 구조, 뉴스 수집 기술, 기획 기사 편집 방법 등을 포함한 기본 개념들을 소개한다. 단, 이 과정은 인터뷰와 기획 기사를 포함해 초보 과정 보다 심화된 것으로 전문인으로서 기술을 향상시키기 원하는 학생들에게 제공된다. 해외에서 영어를 배운 학생들도 수강가능하며 영어 실력이 테스트 된다.
|
35121
|
PR커뮤니케이션캠페인
|
PR 기획/
PR 전략/
건강 캠페인
|
이 강좌는 홍보 캠페인의 기본 구조와 역할 수행 방법을 실습하기 위해 개설된다. 구체적으로 마케팅 캠페인, 정치 캠페인, 사회쟁점 캠페인 등에의 적용과 홍보 캠페인과의 차별점도 논의된다. 특히 강의 전반에 걸쳐 연구조사의 적용에 대한 폭넓은 논의가 포함된다.
|
35773
|
포토그라피실습
Practice of Photography
|
사진촬영/
사진이론/
암실작업
|
사진의 촬영 및 제작기법은 앞으로 전개될 영상전공과목에서 가장 우선해야 될 원초적이며 중요한 작업이다. 사진제작에 필요한 기초적인 이론과 작품 감상, 사진기 조작, 사진 찍기, 뉴스사진 제작, 암실작업 등 사진제작 전반에 관한 이론과 실습을 병행한다.
|
35796
|
PR제작과디지털미디어
PR Writing, Production & Digital Media
|
PR 작문/
PR 실무/
인터넷 PR
|
홍보업무 전반에 걸친 글쓰기와 홍보물 제작 요령을 배운다. 보도자료 작성, 매뉴얼 리포트, 브로슈어, fact sheet, backgrounders, 사보, 인터뷰 요령, 간담회 개최, 각종 책자 작성을 세부적으로 다루며 또한 컴퓨터를 이용한 전자 편집의 기본에 대해서도 배운다.
|
35799
|
광고크리에이티브
Advertisting Creative Strategy
|
크리에이티브/
전략/광고
|
본 강좌는 광고의 효과적인 메시지 구성 및 표현을 위한 크리에이티브 이론 및 전략의 습득을 목표로 한다. 광고 커뮤니케이션 목표달성을 하여 사용되는 크리에이티브 전략과 전술들을 살펴본다.
|
36033
|
기사작성기초
Basic News Reporting and Writing
|
저널리즘/
기사작성/편집
|
기사란 무엇인가에 대한 개념의 소개에서부터 기사의 주요 구성요소, 기사문장의 특징, 기사쓰기에 필요한 기초적 지식과 주의사항 등을 교육한다. 실습과목이기 때문에 매주 글쓰기 과제가 부여된다.
|
36043
|
광고마케팅전략과 소비자 심리분석
Consumer Psychology for Advertising & Marketing Strategy
|
소비자/심리학/광고
|
This course is designed to provide a fundamental understanding of consumers, their needs and behaviors. Studying the behavior of consumers in a wide range of situations and circumstances provides marketers with clear guidelines for the development of advertising and marketing strategy.
|
36043
|
광고와소비자심리
Advertising and Consumer Psychology
|
소비자/
심리학/광고
|
본 강좌는 기업의 마케팅 및 광고 활동의 대상인 소비자의 인지, 정서, 행동에 대한 심리적 이해와 고찰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소비자의 의사결정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내적/외적 요인을 살펴보고, 통제 가능한 마케팅적 요인들이 내적, 외적 요인들과 조화를 이루어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총체적으로 살펴봄으로써 학생들은 소비자 행동에 대한 전반적 이해를 증진시키고 이를 광고와 마케팅 전략 개발에 적용시킬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게 된다.
|
36691
|
디지털스토리텔링 Digital Storytelling
|
스토리텔링/영상/편집
|
디지털 스토리텔링이란 다양한 디지털 매체 즉 사진, 오디오, 영상 등을 이용하여 이야기를 표현하는 미디어 프로덕션이다.
본 강좌에서는 스마트 시대에 필요한 스토리텔링을 위해 테마를 선정하고 자료를 수집한 후,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 방법을 연구하여 디지털스토리텔링에 필요한 영상제작을 학습하는 수업이다.
|
37541
|
컨텐츠비즈니스의이해
The Introduction of Contents Business
|
영상콘텐츠/
비즈니스원리
/마케팅전략
|
영상콘텐츠를 중심으로 콘텐츠의 본질, 콘텐츠 시장의 특성을 이해하고 콘텐츠 비즈니스를 위한 다양한 콘텐츠 경제/경영 원리에 대해 학습한다.
|
33285
|
방송뉴스제작
Broadcast News Reporting & Writing
|
방송 저널리즘/기사작성/편집
|
방송뉴스 만들기에 필요한 글쓰기와 라디오 제작 실무를 중심으로 한 뉴스제작 과정을 교육한다. 신문기사나 기타 다른 종류의 보도문장과 방송문장의 차별성을 이해할 수 있도록 매주 글쓰기 실습을 강조한다. 그러므로 ‘기사작성기초’ 과목을 이수한 사람에게만 수강자격을 부여한다. 방송뉴스에서 많이 다루는 사건기사, 여성 관련 기사, 스포츠, 문화 등의 라디오 제작물을 과제로 부과한다.
|
34710
|
멀티플랫폼저널리즘실습
Multiplatform Journalism
|
멀티플랫폼/디지털 뉴스환경/보도
|
본 수업에서는 다매체시대에 다양한 모습으로 변화를 꾀하고 있는 저널리즘 생태계를 파악하고 궁극적으로는 멀티플랫폼에 적합한 저널리즘 제작물을 제작해 발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학생들은 신문, 방송과 같은 올드미디어가 유튜브, 틱톡 등 새로운 플랫폼을 어떻게 이용해 어떠한 변화를 꾀하는지 학습하며 현 멀티플랫폼시대에 필요한 새로운 미디어는 어떠한 모습일지, 또한 더욱 중요하게 여겨져야 할 저널리즘원칙은 무엇인지 학습한다.
|
34720
|
미디어 콘텐츠 크리에이션
Media Contents Creation
|
영상제작/영상기획/촬영과 편집
|
1인 미디어 제작을 중심으로 영상제작을 기획해보고, 기획안을 바탕으로 구성안을 작성하고, 구성안으로 바탕으로 촬영, 편집 등의 프로그램을 제작해 보는 실습 과목이다. 다큐멘터리, 교양, 오락, 드라마 및 다양한 장르로 제작 가능하다. 프로그램 제작에 필요한 기획, 구성 및 영상 미학 관련 이론을 배우고, 실습을 통해 촬영 편집 등의 제작 과정에 대해 배운다.
|
34733
|
디지털영상특수효과
Digital Video Special Effects
|
디지털영상표현/
특수영상효과/
영상편집
|
촬영 및 영상소스를 이용하여 Non Liner 편집의 기초적인 기술을 습득하게 하고 동시에 편집 문법에 대한 이해를 높인다. 또한 시청각언어 각각의 특수성과 상호 연계성에 대한 이해를 높임과 아울러 기본적인 장비들을 자유롭게 다룰 수 있도록 한다.
|
35105
|
편집디자인및출판
Desktop Publishing
|
그래픽 커뮤니케이션/
시각화/
보도
|
컴퓨터를 이용한 전자출판에 필요한 활자, 도형, 사진, 등의 편집 디자인 기술을 익히고 그래픽 커뮤니케이션의 이론과 최근 경향을 학습한다. 실습지 제작을 통해 신문기획, 자료수집, 지면구성, 편집, 제목 뽑기 등의 종합적인 신문 편집 실무를 익힌다. 기사작성기초와 취재보도 관련과목 수강자에게 수강을 제한적으로 허용한다.
|
35108
|
AdvancedNewsReporting&Writing
|
기사 작성/
보도/영문 뉴스
|
This is an advanced news writing course for students who have a high-level of spoken and written English. Teaching is through an intensive series of advanced, practical writing. After a brief review of spot news techniques the focus moves quickly on to news features and interviews. Students will be given external assignments and will also have to find their own news stories.
|
35115
|
광고테크놀로지와 매체기획
Advertising Media Planning
|
광고/매체/
마케팅
|
디지털 미디어를 중심으로 매체 환경과 광고 테크놀로지의 변화를 이해하고 주어진 마케팅 상황에 가장 효율적으로 커뮤니케이션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매체를 선정 및 활용하기 위해 창의적이면서도 과학적인 매체기획 과정을 이론과 실습을 통해 이해한다.
|
35118
|
광고기획관리
Advertising Management
|
기획/관리/전략
|
광고 및 촉진 프로그램의 기획을 위한 과목이다. 광고 상황 분석, 광고목표설정, 광고조사, 크리에이티브 의사결정, 매체계획 등 광고 집행 과정상 발생하는 다양한 문제점들을 사례분석을 통하여 해결하고 실제의 제품이나 서비스를 위한 광고 기획서를 작성한다.
|
39187
|
광고기획과 스타트업 브랜딩
Advertising Planning for Startup Branding
|
광고기획/스타트업/브랜드
|
본 과정은 스타트업이 직면한 '마케팅 및 브랜딩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브랜드 커뮤니케이션을 실행하는 데 필요한 지식과 기술을 배우도록 설계되었다. 본 수업에서는 브랜드 커뮤니케이션의 다양한 이론과 방법론을 실제 사례와 현장 실습을 통해 학습할 계획이다. 학기말에는 실제 테크 스타트업 클라이언트의 브랜드를 대상으로 경쟁 프레젠테이션을 진행할 계획이다.
|
35119
|
광고카피라이팅
Advertising Copywriting
|
크리에이티브/
편집/글쓰기
|
효과적인 광고 카피 작성을 위한 실습과목이다. 효과적인 광고의 요소인 전략 수립, 캠페인 기획, 카피 작성 등을 바탕으로 하여 실제 광고 실행을 연습해 본다. 주로, 인쇄 광고에 중점을 두고 수업한다.
|
35122
|
공공외교와커뮤니케이션
Public Diplomacy and Communication
|
공공외교/국제 커뮤니케이션/ 미디어 외교
|
이 수업에서는 공공외교의 개념과 유형(미디어외교, 인터넷외교, 문화외교 등), 그리고 커뮤니케이션 기획 전략 등에 대해 가르친다. 오늘날 국제분야에서 공공외교가 왜 중요한지 부각되고 있는지 논의하고, 개별 국가 및 국제관계에서 공공외교 이슈와 미디어/인터넷 외교 전략과 사례들을 다룬다.
|
35798
|
광고PR전략리서치
Advertising and PR Research Methods
|
조사 방법/
광고PR 전략/
광고PR 기획
|
본 강좌는 광고와 PR분야에 적용 가능한 다양한 조사방법론 및 통계지식을 함양하는데 목적이 있다. 기본적인 연구방법론을 살펴본 후, 광고 및 PR연구의 새로운 학문연구경향에 대해서도 분석 토론한다. 이 강의를 통하여 학생들은 광고PR 관련변수와 이슈를 연구할 수 있는 독립연구자로서의 자질을 확보하게 된다.
|
35913
|
인간컴퓨터상호작용
|
-
|
타전공인정교과목 (컴퓨터공학)
|
36035
|
표현의자유와언론윤리
Freedom of Expression & Press Ethics
|
언론윤리/
사례분석/
표현의 자유
|
본 과목은 표현의 자유가 가지는 헌법적 의미와 그 책임 관계를 규명함을 주목적으로 하고 있다. 즉 언론사가 행하는 표현의 자유가 그로 인해 손상될 수 있는 개인적, 사회적, 국가적 법익과 어떻게 조화를 이룰 수 있는지를 알아본다. 더불어 다양한 사례 분석을 통해 언론이 지켜야 할 저널리즘 윤리가 무엇인지를 논의한다.
|
36040
|
미디어산업과저작권
Media Industry and copyright
|
미디어산업/
미디어저작권/
저작권관계파악
|
미디어 산업의 기반이 되는 콘텐츠 흐름과 그에 따른 계약 및 저작권 관계를 파악한다. 또한 미디어 저작권 관련 현황 및 논제들을 분석한다.
|
36046
|
정부시민단체커뮤니케이션
Government Public Relations
|
정부PR/
시민단체PR/
공공캠페인
|
정치와 행정부분에서 필요한 커뮤니케이션 전략에 대해 살펴본다. 특히 행정기관에서 수행해야 하는 각종 캠페인, 지역 주민 대상 커뮤니케이션 전략, CI, 이벤트 등 다양한 PR 전략들을 고찰한다. 그리고 정치캠페인 및 여론관리와 관련한 커뮤니케이션 과정을 살펴본다.
|
36053
|
미디어경영론
Visual Media management
|
미디어경영/
미디어경제/
미디어산업
|
이 과목에서는 영상미디어 기업의 조직과 경영의 기본적인 개념과 특성에 대해 학습한다. 영상미디어 산업의 시장구조와 특성에서부터 영상미디어 기업의 조직, 인사, 예산 관리 등 미디어 경영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요인에 대해 강의하고, 현장체험과 사례연구를 통해 프로그램 제작에 있어서의 기획, 인사, 조직, 예산, 홍보 관리의 효율적 방안에 대해 논의한다.
|
36054
|
영상마케팅전략과실제
Marketing strategy and practice for Visual Contents
|
영상콘텐츠/
마케팅전략/실습
|
이 과목에서는 영상콘텐츠의 국제적 교류에 대한 이론적 접근과 함께 영상콘텐츠 수출과 수입을 위한 실제적인 마케팅 전략에 대해 공부한다. 국가 간 영상콘텐츠의 교류에 있어서 방송영상 콘텐츠의 상품적 특성과 장르적 특성에 대해 이론적으로 강의하고, 국제 배급시장의 현황 및 특성, 수출상담 절차와 과정에 대해서 최근의 자료를 중심으로 학습한다.
|
33289
|
미디어비즈니스모델캡스톤
Capstone Project: Media Business Model
|
미디어산업/
현안별쟁점/
현안해결방안
|
본 과목은 미디어 산업의 특성과 현재 이슈를 비즈니스 모델 차원에서 살펴보고, 새로운 창의적 비즈니스 모델 구현을 위한 소규모 캡스톤 프로젝트들을 수행하는 과목이다. 개설학기마다 다루는 비즈니스 모델과 이슈는 변경될 수 있으나, 비즈니스 모델 학습과 창의적 해결방안 구축을 위한 캡스톤 프로젝트라는 기본 틀로 유지된다.
|
34711
|
저널리즘비평
Journalism Criticism
|
저널리즘/
비평/이론
|
신문과 방송, 잡지 등 매체가 다루는 뉴스에 대한 비평능력 함양을 목적으로 하는 과목이다. 언론 비평의 다양한 시각과 이론을 학습하고 뉴스의 사회적 의미, 정치과정과 여론형성에 미치는 뉴스의 영향과 뉴스제작 과정의 쟁점들, 언론 산업과 관련 기업의 문제 등을 토론한다.
|
34731
|
다큐멘터리제작
Documentary Production
|
영상커뮤니케이션/
영상연출/
영상제작기획
|
비디오를 이용하여 작품기획, 자료조사, 촬영, 편집, 포스트 프로덕션 등 다큐멘타리의 전 과정을 워크숍을 통하여 익힌다.
|
35123
|
광고캠페인
Advertising Campaigns
|
전략/광고/
캠페인
|
광고캠페인의 기획 및 집행 과정을 실습한다. 학생들은 팀을 구성하여 하나의 광고 대행사 역할을 하면서 실제 제품이나 서비스를 위한 시장 및 소비자 조사, 광고 캠페인 기획, 크리에이티브 안 제시 등 광고 집행과정에서 거치는 모든 과정을 직접 경험하고 훈련하게 된다.
|
35129
|
광고와사회
Advertising & Society
|
광고/
커뮤니케이션/
규제
|
광고는 상업적 속성으로 인하여 개인을 비롯한 다양한 소수 사회집단에게 의도하지 않은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 사회적 제도로서 광고의 사회적, 윤리적 문제점들을 살펴보고 광고의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자율적, 타율적 규제에 대하여 알아본다.
|
35132
|
영화이론및비평
Film Theory and Criticism
|
영화비평/
영화이론/
영상미디어
|
영화의 형식과 내용에 관련된 다양한 영화이론과 비평이론을 소개한다. 사실주의, 표현주의, 장르론, 작가론, 마르크스주의 영화이론 등 다양한 이론들을 논의하며, 각 이론과 함께 대표성을 갖는 영화들을 분석 검토한다.
|
35133
|
대중문화연구
Understanding Popular Culture
|
대중문화/
미디어/문화연구
|
대중문화를 바라보는 다양한 이론적 시각에 대한 검토를 토대로 한국 대중문화 현상에 대한 진단을 도모한다.
|
35801
|
국제광고PR
International and Intercultural Public Relations
|
문화간 커뮤니케이션/
국가명성/
글로벌 이슈
|
기초적인 홍보 이론과 캠페인 전략의 숙지가 요구되며 기초 개념에 대한 별도의 설명 없이 강의가 진행된다. 학생들은 이 강좌를 통하여 국제무대에서의 홍보와 타 문화 간 홍보, 그리고 그에 따르는 기술적인 사항들을 배운다. 세부적으로 다문화 커뮤니케이션과 관련된 이론, 문화 간 차이의 고찰 및 국제 홍보 문장 연습, 국제 홍보 캠페인 실습이 이루어진다.
|
35807
|
위기관리와갈등해소
Crisis Management and Conflict Resolution
|
위기관리/
갈등해소/
합의창출
|
이 강의는 홍보의 이해를 이미 수강한 학생을 대상으로 개설되는 전공과목이다. 홍보 분야에서 주목받고 있는 위기관리를 중심으로 학기가 운영된다. 위기 관리는 쟁점 관리를 포함한 징후 포착, 위기의 인식, 예방, 준비, 봉쇄 및 회복, 평가, 학습 등의 모든 과정을 포함한다. 이 과목은 그러한 전 과정을 통합적이고 관계 경영학적인 측면에서 살펴보게 된다.
|
35814
|
디지털영상과3D
Digital Video and 3D Production
|
디지털영상표현/
3D표현/
영상편집
|
기획, 시나리오, 콘티, 촬영, 편집, HD출력의 전 과정을 총괄하는 프로젝트 워크숍으로서 디지털영상의 기획과 제작 전반에 걸쳐 창의성과 제작능력을 극대화하는 데에 역점을 두고 있다. 디지털영상특수효과의 고급 교과과정이다.
|
36037
|
미디어와정치
Political Communication
|
미디어/정치/
캠페인 보도
|
미디어와 정치체제와의 역학관계를 다양한 이론적 관점에서 고찰한다. 신문, 방송, 잡지 등 기존의 매체와 커뮤니케이션 기술개혁으로 등장하게 된 뉴미디어가 선거를 포함한 정치과정 전반에 미치는 긍정적, 부정적 영향을 검토한다.
|
36044
|
디지털프로모션과사회
Digital Promotion and Society
|
-
|
디지털 시대의 도래에 따른 다양한 최신 디지털 프로모션 활동을 소개하고, 사회적인 관점에서 디지털 프로모션 활동이 가지는 의미를 조망한다. 또한 다양한 방법론적인 접근이 통하여 디지털 프로모션 기법들을 비판적으로 평가하고, 사회적인 맥락에서 바람직한 디지털 프로모션 접근 방법을 습득하는데 목적을 둔다.
|
36780
|
Cross-culturalIssuesforManagement
|
-
|
The globalization of the business environment that is being driven by technological and economic factors is resulting in an ever-increasing number of cross cultural interactions in the workplace. Understanding the influence of culture on interpersonal interactions in organizational settings is now a fundamental requirement of effective international management. This course provides students with an understanding of effective cross-cultural management skills and introduces some of the challenges they may meet when working internationally.
|
36801
|
고급방송뉴스제작
Advanced Broadcast News Production
|
방송저널리즘/
고급보도/
뉴스제작
|
텔레비전 뉴스제작에 관한 역량을 키워주는 과목임. 방송뉴스제작 과목을 이수한 학생에게 수강이 허용됨. 발생기사보다는 3분 이상의 호흡이 긴 기획과 탐사 보도, 매거진 보도 성격의 기사를 취재하고 제작하는 과목이다.
|
37330
|
인터랙티브컨텐츠디자인
Interactive Contents Design
|
UI 디자인/
UX이해/
인터렉티브미디어플랫폼
|
모바일과 스마트 미디어 등 인터랙티브 미디어 플랫폼에서 이용되는 각종 컨텐츠의 특성을 이해하고 기획, 설계 및 실제 제작과 더불어 평가에 이르는 전체적인 프로덕션 과정을 배우는 실습과목이다. 학생들은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및 다양한 UI(user interface)의 디자인 및 구성이 이용자에게 제공하는 UX(user experience)를 이해하고 제작과 관련된 기초적인 기술을 습득함으로써 다양한 인터랙티브 미디어에서 사용되고 유통될 수 있는 컨텐츠 제작과 관련된 전반적인 사항을 습득하게 된다.
|
38873
|
광고PR디지털에널리틱스
Digital Analytics for Advertising & PR
|
디지털 미디어/콘텐츠/
전략
|
본 강좌에서는 온라인 미디어 환경에서의 소비자 데이터 분석에 기초해 광고PR 메시지를 최적화하고 비즈니스의 목적에 맞게 활용하는 다양한 미디어 및 콘텐츠 전략을 학습할 수 있다.
|
38870
|
미디어데이터사이언스입문
|
-
|
데이터의 가치를 사회과학적 시각에서 논의한다. 미디어 영역에서 데이터 분석을 적용한 다양한 실제 사례를 학습하고 데이터를 수집, 분석, 활용하는 능력을 키운다.
|
38872
|
매체철학
Media Philosophy
|
매체철학/매체환경/미디어 테크놀로지
|
문자, 영상, 스마트폰, 가상현실 등 다양한 매체의 발달로 인해 매체의 본질을 기술적, 철학적으로 고찰하고 매체 미학적 이해를 도모하기 위한 과목이다. 기계화되고 AI가 이끌어 가는 미디어 환경에서 매체에 대한 철학적 성찰을 통해 매체의 형식 자체를 비판적으로 바라볼 수 있도록 한다.
|
37548
|
커뮤니케이션독립연구캡스톤디자인Independent Studies Capstone Design
|
독립연구/
미디어연구/
커뮤니케이션
|
커뮤니케이션 미디어 학부 전공 기초과목과 트랙 심화과목을 모두 이수한 학생들이 독립적인 연구 역량을 배양하기 위해 자유롭게 연구주제를 설정하고 연구를 수행하여 학기 말에 결과물을 제출하도록 지도한다. 최종 결과물은 커뮤니케이션 이론에 바탕을 둔 학문적인 연구, 실습 과목을 통해 습득한 기술로 제작한 미디어 창작물, 인턴 활동을 통한 실무경험 보고서를 모두 포괄한다.
|
37945
|
커뮤니케이션현장실습1
Communication Field Experience 1
|
현장적용/
경력개발/
인턴십 경력
|
그 동안 배웠던 커뮤니케이션 이론학습 과정을 종합해서 현장에서 실무를 경험해보는 교과과정이다. 국내외 현장실습에 참여하거나, 창업 아이디어에 도전하거나, 국내외 각종 작품활동 및 공모전에 참가, 혹은 국내외 각종 봉사활동을 기획하고 참여하면서 현장실습 경험을 하면서 학점을 이수할 수 있다. 실습시간은 4주(160일) 이상을 충족시켜야 한다.
|
37946
|
커뮤니케이션현장실습2
Communication Field Experience 2
|
현장적용/
경력개발/
인턴십 경력
|
그 동안 배웠던 커뮤니케이션 이론학습 과정을 종합해서 현장에서 실무를 경험해보는 교과과정이다. 국내외 현장실습에 참여하거나, 창업 아이디어에 도전하거나, 국내외 각종 작품활동 및 공모전에 참가, 혹은 국내외 각종 봉사활동을 기획하고 참여하면서 현장실습 경험을 하면서 학점을 이수할 수 있다. 실습기간은 8주(480시간) 이상을 충족시켜야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