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케이션·미디어학부

  •                          HOME     ENGLISH

    GNB바로가기

  • CHINESE


전공필수(트랙필수)


학수번호

과목명

주제어

과목설명

36029

커뮤니케이션과사회

Mass Media and Society

커뮤니케이션/

사회/미디어

미디어에 대한 기초 이해를 도모하기 위한 시도로서, 미디어와 사회와의 관계를 사회학적, 문화적, 산업적, 정치적 관점 등에서 검토한다.

37540

미디어글쓰기와스피치

Media Writing and Public Speaking

미디어/스피치/

글쓰기 

현대 대중 사회에서 요구되는 중요한 소통의 기술인 미디어 글쓰기와 말하기의 기초를 습득하고 응용 능력을 배양하도록 한다.이를 위해  공적 텍스트의 작성을 비롯 다양한 목적의 공공 연설과 강연, 즉흥 스피치에 이르기까지 글고 말을 통해 소통하는 방법의 이론과 실제를 폭넓게 학습한다.  커뮤니케이션 이론을 바탕으로 글쓰고 말하는 문화의 특성과 중요성을 학습하고 다양한 상황에 소통 적응력이 높은 효과적인 커뮤니케이터를 양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34691

미디어연구방법

Media Research Method

연구방법/

커뮤니케이션 연구/

분석 

매스커뮤니케이션 연구에 필요한 방법론들을 과학철학, 적용 논리, 응용 측면에서 학습한다. 매스컴 현상에 대한 과학적 분석방법의 유형 및 특성을 살펴보고 구체적으로 문헌연구, 서베이, 실험실 연구, 역사서술법, 판례분석, 정책평가방법 등이 매스컴 분야에서 어떻게 이용될 수 있는지를 알아본다.

전공선택(트랙공동) 

단, 2016~2019학번만 전공선택필수과목으로 해당됨, 2020학번 이후 학번은 전공선택과목으로 해당됨. 

학수번호

과목명

주제어

과목설명

33286

정보사회와뉴미디어

Information Society & New Media

정보사회/뉴미디어/

법적논제

정보사회의 성격을 사회와 뉴미디어의 연계성 관점에서 논하고 케이블TV, 위성방송 등 각 매체별 산업적, 법적 논제를 분석한다.

33759

미디어심리학

Psychological Approach to Mass Communication

미디어/심리/이용자

미디어 심리학은 미디어 이용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이용자 심리 현상을 인지적, 정서적, 동기적 차원에서 살펴보고 그 효과를 설명할 수 있는 심리학 이론을 적용하여 보는 수업이다. 이용자의 성향적 특성 뿐 아니라 문화심리적 요인 등을 포함하여 레거시와 뉴미디어 환경에서의 이용자 심리 반응을 검토한다.

34723

영상커뮤니케이션이론

Theories in Visual Communication

이미지와 재현/

영상언어/대중매체

이미지가 커뮤니케이션하는 방식과 인간이 이미지와 시각적 커뮤니케이션의 다양한 형식을 해독하고 해석하는 방식에 초점을 맞추어, 대중매체와 관련된 시각적 요소들의 특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즉, 사진, 영화, 텔레비전, 비디오 아트, 만화, 타이포그래프, 그래픽 디자인, 컴퓨터 그래픽스 등 각 매체의 시각적 특성과 구성, 그리고 의미생산을 고찰하고 분석함으로써 영상언어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킨다. 시각적 커뮤니케이션과 깊이 관련된 오늘날의 매체산업 분야에서 영상을 기획하고 제작하는 데 필요한 이미지에 대한 기본 개념과 아이디어를 구성할 수 있는 능력을 개발하여 전문인으로서 자질을 육성한다.

36030

인간커뮤니케이션

Human Communication

관계/커뮤니케이션/

이해

인간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다양한 이론적 관점들을 소개하고 실제 생활에서의 커뮤니케이션 문제들인 자아의식, 인식과 동기, 언어 구사력,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 대인관계 등에 대해 문제를 제가하고 스스로 연구하도록 하여 학문적인 탐구는 물론 실생활에서도 유능한 커뮤니케이터가 될 수 있는 자질을 개발한다.

36032

언론사회학

Journalism and Society

언론/사회/정치

한국 사회에서 제기되는 다양한 저널리즘 관련 논제들을 검토한다. 특히 정치적 변화와 더불어 한국 언론이 어떠한 역할을 하였는지 분석한다.

36041

광고의이해

Understanding Advertising

광고/커뮤니케이션/

마케팅

현대 기업경영의 핵심인 마케팅의 원리와 광고활동의 사회경제적 가치와 문제점들을 고찰한다. 뉴미디어를 포함한 다양한 광고매체들의 속성, 광고대행사의 활동, 소비자 행동, 광고제작의 기술적 문제 등 광고와 관련된 학문적, 실무적 문제들을 체계적으로 검토하여 광고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갖게 한다.

36042

PR커뮤니케이션

Public Relations & Communication

PR이론/PR관리/

PR전략

현대 PR의 원리와 관련 이론들을 고찰하고 다양한 매체를 통한 PR활동의 실행전략을 연구한다. 특히 여론 형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PR활동에 대해 사례연구를 중심으로 분석하여 현대 PR의 본질을 이해하도록 한다. 따라서 이 과목은 이론의 학습은 물론 실무에 관한 워크숍에도 역점을 둔다.

36048

방송개론 

Introduction to Broadcasting

방송/공공재/

방송산업

방송의 기본 개념 및 인간의 태도와 의견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사회에 미치는 영향, 그 밖의 현대 방송이 내포하고 있는 문제와 기술의 발전에 따른 방송의 미래에 관하여 연구한다.

37325

언론사상 

Philosophy of Journalism

철학/언론 가치/

이론

이 과목은 학생들이 독서와 과제, 토론 등을 통해 기본적인 언론학 가치와 사상들을 이해하도록 하는 것에 목적을 둔다. 특히 학생들은 사회에 대한 서구 철학자들의 사고방식을 이해하고 그런 사유들이 어떻게 저널리즘 영역에 이어지는지를 고찰하게 될 것이다. 학생들은 저널리즘에 연관된 기초적 철학 사상들을 공부하게 되고, 이런 사상과 아이디어의 흐름을 이해하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

20309

매스커뮤니케이션이론

Theories of Mass Communication 

이론의 역사/

미디어의 

역할과 기능/

미디어 효과

매스커뮤니케이션 현상에 관한 체계적인 이해를 갖게 하기 위하여 매스커뮤니케이션 과정을 이루고 있는 미디어, 수용자, 미디어의 내용 그리고 미디어가 수용자와 사회에 미치는 영향 등에 관한 다양한 이론들과 연구들을 역사적으로 고찰한다. 특히 연구 패러다임의 변화와 이론적 관점들에 관련된 쟁점들을 검토함으로써 학생들이 사회과학의 한 분야로서의 매스커뮤니케이션 연구의 학문적 성과를 파악하도록 한다.

36052

현상과의미

Phenomena & Meaning making

앎의 방식/

의미구축하기/

이야기하기

커뮤니케이션 과정은 현상을 읽어내어 의미를 구축하는 것에서 비롯된다. 방송영상물의 제작과정은 광의의 이야기하기 작업이다. 이야기하기를 잘 하기 위해서 필수적인 훈련은 현상으로부터 의미를 구축해 가는 방식을 익혀야 한다. 본 과목에서는 다양한 앎의 방식에 대한 인식론적 토대를 이해하고 관찰, 인터뷰, 영상 또는 문서자료 분석 등의 방법을 활용한 이야기하기의 구체적 조사기법을 익힘을 주요 목표로 한다.

37542

인터랙티브미디어론

Introduction to Interactive Media

미디어/쌍방향성/

이용자

인터넷, 모바일폰, 게임 등 다양한 인터랙티브 미디어의 형태와 효과, 디자인에 관하여 알아보는 이론적 수업이다. 인터랙티브 미디어에서 쌍방향성의 개념, 그리고 인터랙티브 미디어의 발전사를 살펴보고 현재 이용되는 인터랙티브 미디어의 다양항 유형에 대하여 연구한다. 또한 인터랙티브 미디어를 통하여 일어나는 커뮤니케이션의 변화 및 심리적 효과를 알아보게 된다.

20307

글로벌커뮤니케이션

Global Communication

글로벌미디어/

글로벌문화/

지구촌사회

국제 커뮤니케이션 연구 분야를 국제 정보 질서운동 , 국제뉴스보도, 문화제국주의이론, 글로벌 미디어/마켓으로 나누어 각 분야의 주요 쟁점에 대해 논의하고 정보화시대의 새로운 개념의 정보 질서 운동과 문화지배에 대해 분석 전망한다.

35134

방송스피치

Public Speaking

-

본 강좌는 방송인을 꿈꾸는 학생들을 위한 실습 위주의 과목이다. 표준발음법과 발성 및 호흡법, 방송 언어와 논리적으로 말하기 등의 기본 교육이 진행된다. 그리고 뉴스 캐스터, MC, 리포터 등 방송 장르별 이론 교육과 함께 방송 실습이 순차적으로 진행된다. 

36038

쟁점분석과토론

Debates and Argumentation

아규멘테이션/

수사학/토론

우리 사회의 다양한 이슈를 이해하고, 각기 다른 입장에서 효과적으로 설득하는 기법을 습득하게 하는데 목적을 둔 과목이다. 토론의 효용과 방법을 탐구하고 서구 사회의 논쟁문화와 우리 사회의 경우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현재 우리가 처한 의사소통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사회 갈등 해소의 수사학적 대안을 모색한다.

37544

미디어와젠더

Media and Gender

여성재현/페미니즘/매체이론

매스 미디어는 여성의 일상적 삶속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페미니즘 이론과 매스 커뮤니케이션 이론을 토대로 여성과 매스 미디어의 관계를 다양한 시각에서 고찰하고자 한다. 여성인력과 미디어 산업, 매스 미디어의 텍스트에 재현된 여성이미지, 수용자로써 여성의 매스미디어 이용과 해독을 분석 검토하고, 젠더 평등을 위한 매스 미디어의 바람직한 역할을 논의하고자 한다.

37546

문화간커뮤니케이션

Intercultural Communication

다문화/미디어/

커뮤니케이션

학생들은 이 강좌를 통하여 문화 간 커뮤니케이션의 기본개념과 국제 무대커뮤니케이션 과정에서 발생하는 가치, 언어, 비언어, 소통상의 문제에 대해서 다루게 된다. 이와 함께 문화 간 커뮤니케이션을 통해서 서로의 정체성을 협상하고, 갈등을 관리하며, 문화적인 장벽을 넘어서는 방법에 대해서도 논의하게 된다.



저널리즘 트랙 핵심 전공

학수번호

과목명

주제어

과목설명

35103

취재와보도실습

Intermediate News Reporting & Writing

저널리즘/

고급 기사 작성/

편집

일회성 사건이나 사고 등에 관한 스트레이트 뉴스가 아니라 장기간의 추적 취재와 체계적 자료 조사를 필요로 하는 기사의 보도에 필요한 다양한 기술과 윤리적 측면까지를 교육한다. 이 과목은 기사작성기초 과목의 이수를 필요로 하며 가능한 한 수강신청 이전에 담당 교수와의 면담을 요구할 예정이다. 사회, 정치, 경제, 문화, 법률 각 분야의 쟁점이나 구조적 문제들에 대한 깊이 있는 분석이 가능할 수 있도록 매주 실습 중심으로 강의를 진행한다. 학생들은 인터뷰와 문헌 자료 조사, 컴퓨터를 이용한 전자적 자료조사 등에 관한 테크닉을 교육 받게 된다.

35104

News reporting & Writing

뉴스/보도/저널리즘

English journalism의 기본 기술을 배우기 원하는 학생들을 위한 과정으로 언론에서의 글쓰기, 뉴스의 구조, 뉴스 수집 기술, 기획 기사 편집 방법 등을 포함한 기본 개념들을 소개한다. 단, 이 과정은 인터뷰와 기획 기사를 포함해 초보 과정 보다 심화된 것으로 전문인으로서 기술을 향상시키기 원하는 학생들에게 제공된다. 해외에서 영어를 배운 학생들도 수강가능하며 영어 실력이 테스트 된다.

36033

기사작성기초

Basic News Reporting and Writing

저널리즘/

고급 기사 작성/편집

일회성 사건이나 사고 등에 관한 스트레이트 뉴스가 아니라 장기간의 추적 취재와 체계적 자료 조사를 필요로 하는 기사의 보도에 필요한 다양한 기술과 윤리적 측면까지를 교육한다. 이 과목은 기사작성기초 과목의 이수를 필요로 하며 가능한 한 수강신청 이전에 담당 교수와의 면담을 요구할 예정이다. 사회, 정치, 경제, 문화, 법률 각 분야의 쟁점이나 구조적 문제들에 대한 깊이 있는 분석이 가능할 수 있도록 매주 실습 중심으로 강의를 진행한다. 학생들은 인터뷰와 문헌 자료 조사, 컴퓨터를 이용한 전자적 자료조사 등에 관한 테크닉을 교육 받게 된다.

33285

방송뉴스제작

Broadcast News Reporting & Writing

방송 저널리즘/

기사작성/편집

방송뉴스 만들기에 필요한 글쓰기와 라디오 제작 실무를 중심으로 한 뉴스제작 과정을 교육한다. 신문기사나 기타 다른 종류의 보도문장과 방송문장의 차별성을 이해할 수 있도록 매주 글쓰기 실습을 강조한다. 그러므로 ‘기사작성기초’ 과목을 이수한 사람에게만 수강자격을 부여한다. 방송뉴스에서 많이 다루는 사건기사, 여성 관련 기사, 스포츠, 문화 등의 라디오 제작물을 과제로 부과한다.

34710

멀티플랫폼저널리즘실습

Multiplatform Journalism

저널리즘/기사작성/미디어환경

기술발전과 함께 뉴스가 생산, 유통, 소비되는 방식이 변화함에 따라 본 강의에서는 디지털 커뮤니케이션 환경 하에서의 정보 유통 시스템이 전통적인 커뮤니케이션 환경 내에서 그것과 어떤 점에서 같으며 또 다른지에 대해 논의한다. 이 같은 논의를 바탕으로 수강생들은 다양한 뉴스 플랫폼에 최적화된 뉴스를 제작하고 배포하는 능력을 함양한다.

38874 

 미디어빅데이터분석

Media Big Data Analysis

 -

R Python등 기본 프로그램을 통해 데이터 활용 역량을 높인다. 온라인에 존재하는 방대한 미디어 관련 자료를 분석하는 과제를 수행한다.

35105

편집디자인출판

Desktop Publishing

그래픽 커뮤니케이션/시각화/보도

컴퓨터를 이용한 전자출판에 필요한 활자, 도형, 사진, 등의 편집 디자인 기술을 익히고 그래픽 커뮤니케이션의 이론과 최근 경향을 학습한다. 실습지 제작을 통해 신문기획, 자료수집, 지면구성, 편집, 제목 뽑기 등의 종합적인 신문 편집 실무를 익힌다. 기사작성기초와 취재보도 관련과목 수강자에게 수강을 제한적으로 허용한다.

35108

Advanced News Reporting & Writing

기사 작성/보도/

영문 뉴스

This is an advanced news writing course for students who have a high-level of spoken and written English. Teaching is through an intensive series of advanced, practical writing. After a brief review of spot news techniques the focus moves quickly on to news features and interviews. Students will be given external assignments and will also have to find their own news stories.

36035

표현의자유와언론윤리

Freedom of Expression & Press Ethics

언론윤리/사례분석/

표현의 자유

본 과목은 표현의 자유가 가지는 헌법적 의미와 그 책임 관계를 규명함을 주목적으로 하고 있다. 즉 언론사가 행하는 표현의 자유가 그로 인해 손상될 수 있는 개인적, 사회적, 국가적 법익과 어떻게 조화를 이룰 수 있는지를 알아본다. 더불어 다양한 사례 분석을 통해 언론이 지켜야 할 저널리즘 윤리가 무엇인지를 논의한다.

34711

저널리즘비평

Journalism Criticism

저널리즘/비평/이론

신문과 방송, 잡지 등 매체가 다루는 뉴스에 대한 비평능력 함양을 목적으로 하는 과목이다. 언론 비평의 다양한 시각과 이론을 학습하고 뉴스의 사회적 의미, 정치과정과 여론형성에 미치는 뉴스의 영향과 뉴스제작 과정의 쟁점들, 언론 산업과 관련 기업의 문제 등을 토론한다.

36037

미디어와정치

Political Communication

미디어/정치/

캠페인 보도

미디어와 정치체제와의 역학관계를 다양한 이론적 관점에서 고찰한다. 신문, 방송, 잡지 등 기존의 매체와 커뮤니케이션 기술개혁으로 등장하게 된 뉴미디어가 선거를 포함한 정치과정 전반에 미치는 긍정적, 부정적 영향을 검토한다.

36801

고급방송뉴스제작

Advanced Broadcast News Production

방송저널리즘/

고급보도/뉴스제작

텔레비전 뉴스제작에 관한 역량을 키워주는 과목임. 방송뉴스제작 과목을 이수한 학생에게 수강이 허용됨. 발생기사보다는 3분 이상의 호흡이 긴 기획과 탐사 보도, 매거진 보도 성격의 기사를 취재하고 제작하는 과목이다.

37548 

커뮤니케이션독립연구캡스톤디자인

Independent Studies Capstone Design


독립연구/미디어연구/커뮤니케이션

커뮤니케이션 미디어 학부 전공 기초과목과 트랙 심화과목을 모두 이수한 학생들이 독립적인 연구 역량을 배양하기 위해 자유롭게 연구주제를 설정하고 연구를 수행하여 학기말에 결과물을 제출하도록 지도한다. 최종 결과물은 커뮤니케이션 이론에 바탕을 둔 학문적인 연구, 실습 과목을 통해 습득한 기술로 제작한 미디어 창작물, 인턴 활동을 통한 실무경험 보고서를 모두 포괄한다.

37945 

커뮤니케이션현장실습1

Communication Field Experience 1

현장적용/경력개발/

인턴십 경력

그 동안 배웠던 커뮤니케이션 이론학습 과정을 종합해서 현장에서 실무를 경험해보는 교과과정이다. 국내외 현장실습에 참여하거나, 창업 아이디어에 도전하거나, 국내외 각종 작품활동 및 공모전에 참가, 혹은 국내외 각종 봉사활동을 기획하고 참여하면서 현장실습 경험을 하면서 학점을 이수할 수 있다. 실습시간은 4주(160일) 이상을 충족시켜야 한다.

37946 

커뮤니케이션현장실습2

Communication Field Experience 2

현장적용/경력개발/

인턴십 경력

그 동안 배웠던 커뮤니케이션 이론학습 과정을 종합해서 현장에서 실무를 경험해보는 교과과정이다. 국내외 현장실습에 참여하거나, 창업 아이디어에 도전하거나, 국내외 각종 작품활동 및 공모전에 참가, 혹은 국내외 각종 봉사활동을 기획하고 참여하면서 현장실습 경험을 하면서 학점을 이수할 수 있다. 실습기간은 8주(480시간) 이상을 충족시켜야 한다.



광고PR 전략 커뮤니케이션 트랙 핵심 전공

학수번호

과목명

주제어

과목설명

35796

PR제작과디지털미디어

PR Writing, Production & Digital Media

PR 작문/PR 실무/

인터넷 PR

홍보업무 전반에 걸친 글쓰기와 홍보물 제작 요령을 배운다. 보도자료 작성, 매뉴얼 리포트, 브로슈어, fact sheet, backgrounders, 사보, 인터뷰 요령, 간담회 개최, 각종 책자 작성을 세부적으로 다루며 또한 컴퓨터를 이용한 전자 편집의 기본에 대해서도 배운다.

35799

광고크리에이티브

Advertisting Creative Strategy

크리에이티브/전략/

광고

본 강좌는 광고의 효과적인 메시지 구성 및 표현을 위한 크리에이티브 이론 및 전략의 습득을 목표로 한다. 광고 커뮤니케이션 목표달성을 하여 사용되는 크리에이티브 전략과 전술들을 살펴본다.

36043

광고와소비자심리분석

Advertising and Consumer Psychology

소비자/심리학/광고

본 강좌는 기업의 마케팅 및 광고 활동의 대상인 소비자의 인지, 정서, 행동에 대한 심리적 이해와 고찰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소비자의 의사결정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내적/외적 요인을 살펴보고, 통제 가능한 마케팅적 요인들이 내적, 외적 요인들과 조화를 이루어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총체적으로 살펴봄으로써 학생들은 소비자 행동에 대한 전반적 이해를 증진시키고 이를 광고와 마케팅 전략 개발에 적용시킬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게 된다.

35115

광고테크놀로지와매체기획

Advertising Media Planning

광고/매체/마케팅

다양해진 광고 매체환경을 이해하고 주어진 상황에서 가장 효율적으로 커뮤니케이션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매체를 선정하기 위해 창의적이면서도 과학적인 광고 매체 선정방법과 집행과정을 이론과 실습을 통해 이해한다.

35118

광고기획관리

Advertising Management

기획/관리/전략

광고 및 촉진 프로그램의 기획을 위한 과목이다. 광고 상황 분석, 광고목표설정, 광고조사, 크리에이티브 의사결정, 매체계획 등 광고 집행 과정상 발생하는 다양한 문제점들을 사례분석을 통하여 해결하고 실제의 제품이나 서비스를 위한 광고 기획서를 작성한다.

 39187

광고기획과스타트업브랜딩

Advertising Planning for Startup Branding

 광고기획/스타트업/

브랜딩

본 과정은 스타트업이 직면한 '마케팅 및 브랜딩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브랜드 커뮤니케이션을 실행하는 데 필요한 지식과 기술을 배우도록 설계되었다. 본 수업에서는 브랜드 커뮤니케이션의 다양한 이론과 방법론을 실제 사례와 현장 실습을 통해 학습할 계획이다. 학기말에는 실제 테크 스타트업 클라이언트의 브랜드를 대상으로 경쟁 프레젠테이션을 진행할 계획이다.  

35119

광고카피라이팅

Advertising Copywriting

크리에이티브/편집/

글쓰기

효과적인 광고 카피 작성을 위한 실습과목이다. 효과적인 광고의 요소인 전략 수립, 캠페인 기획, 카피 작성 등을 바탕으로 하여 실제 광고 실행을 연습해 본다. 주로, 인쇄 광고에 중점을 두고 수업한다.

35122

공공외교커뮤니케이션

Public Diplomacy and Communication

공공외교/국제커뮤니케이션/미디어외교

공공외교와 커뮤니케이션 수업 주제를 국제PR 및 국가브랜드/국가명성과 연계하여 다양한 주제를 다루고자 하며, 수업은 크게 세 부분으로 구성됩니다. 첫 번째 부분은 공공외교 부분으로, 공공외교의 개념과 역사, 전략, 각국의 공공외교 사례 등에 대해 다룹니다. 두 번째 국제PR 부분에서는 국제PR이론과 커뮤니케이 션 이론을 적용한 미디어 외교, 인터넷 외교, 문화외교 전략과 사례 등을 다룹니다. 세 번째 부분에서는 국가이 미지, 국가 브랜딩 전략과 글로벌 위기 이슈 등에 대해 검토합니다.

35798

광고PR전략리서치

Advertising and PR Research Methods

조사 방법/

광고PR 전략/

광고PR 기획

본 강좌는 광고와 PR분야에 적용 가능한 다양한 조사방법론 및 통계지식을 함양하는데 목적이 있다. 기본적인 연구방법론을 살펴본 후, 광고 및 PR연구의 새로운 학문연구경향에 대해서도 분석 토론한다. 이 강의를 통하여 학생들은 광고PR 관련변수와 이슈를 연구할 수 있는 독립연구자로서의 자질을 확보하게 된다.

36046

정부시민단체커뮤니케이션

Government Public Relations

정부PR/시민단체PR/공공캠페인

정치와 행정부분에서 필요한 커뮤니케이션 전략에 대해 살펴본다. 특히 행정기관에서 수행해야 하는 각종 캠페인, 지역 주민 대상 커뮤니케이션 전략, CI, 이벤트 등 다양한 PR 전략들을 고찰한다. 그리고 정치캠페인 및 여론관리와 관련한 커뮤니케이션 과정을 살펴본다.

35123

광고캠페인

Advertising Campaigns

광고/전략/캠페인

광고캠페인의 기획 및 집행 과정을 실습한다. 학생들은 팀을 구성하여 하나의 광고 대행사 역할을 하면서 실제 제품이나 서비스를 위한 시장 및 소비자 조사, 광고 캠페인 기획, 크리에이티브 안 제시 등 광고 집행과정에서 거치는 모든 과정을 직접 경험하고 훈련하게 된다.

35129

광고와사회 

Advertising & Society

광고/커뮤니케이션/

규제

광고는 상업적 속성으로 인하여 개인을 비롯한 다양한 소수 사회집단에게 의도하지 않은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 사회적 제도로서 광고의 사회적, 윤리적 문제점들을 살펴보고 광고의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자율적, 타율적 규제에 대하여 알아본다.

35801

국제광고PR

International and Intercultural Public Relations

문화간 커뮤니케이션/국가명성/

글로벌 이슈

기초적인 홍보 이론과 캠페인 전략의 숙지가 요구되며 기초 개념에 대한 별도의 설명 없이 강의가 진행된다. 학생들은 이 강좌를 통하여 국제무대에서의 홍보와 타 문화 간 홍보, 그리고 그에 따르는 기술적인 사항들을 배운다. 세부적으로 다문화 커뮤니케이션과 관련된 이론, 문화 간 차이의 고찰 및 국제 홍보 문장 연습, 국제 홍보 캠페인 실습이 이루어진다.

35807

위기관리와갈등해소

Crisis Management and Conflict Resolution

위기관리/갈등해소/

합의창출

이 강의는 홍보의 이해를 이미 수강한 학생을 대상으로 개설되는 전공과목이다. 홍보 분야에서 주목받고 있는 위기관리를 중심으로 학기가 운영된다. 위기 관리는 쟁점 관리를 포함한 징후 포착, 위기의 인식, 예방, 준비, 봉쇄 및 회복, 평가, 학습 등의 모든 과정을 포함한다. 이 과목은 그러한 전 과정을 통합적이고 관계 경영학적인 측면에서 살펴보게 된다.

36044

디지털프로모션과사회

Degital Promotion and Society

PR이론/이슈관리/

담론경쟁

PR이론과 활동을 사회적인 관점에서 조망한다. 수사학적인 접근과 비판적인 접근을 원용하여 위기관리, 언론관계, 지역사회관계, 평판관리, 사원 커뮤니케이션, 소비자 커뮤니케이션, 주주관계, 정부-언론관계 등 다양한 PR 활동이 전체사회 관점에서 어떻게 해석될 수 있는지 탐구한다.

 38873

광고PR디지털에널리틱스

Digital Analytics for Advertising & PR

디지털미디어/콘텐츠/전략 

온라인 미디어 환경에서의 소비자 데이터 분석에 기초해 광고PR 메세지를 최적화하고 비즈니스의 목적에 맞게 활용하는 다양한 미디어 및 콘텐츠 전략을 학습할 수 있다.

 35121

PR커뮤니케이션캠페인

Public Relations Campaigns

PR 기획/

PR 전략/

건강 캠페인

이 강좌는 홍보 캠페인의 기본 구조와 역할 수행 방법을 실습하기 위해 개설된다. 구체적으로 마케팅 캠페인, 정치 캠페인, 사회쟁점 캠페인 등에의 적용과 홍보 캠페인과의 차별점도 논의된다. 특히 강의 전반에 걸쳐 연구조사의 적용에 대한 폭넓은 논의가 포함된다.

37548 

 커뮤니케이션독립연구캡스톤디자인Independent Studies Capstone Design

독립연구/미디어연구/커뮤니케이션 

커뮤니케이션 미디어 학부 전공 기초과목과 트랙 심화과목을 모두 이수한 학생들이 독립적인 연구 역량을 배양하기 위해 자유롭게 연구주제를 설정하고 연구를 수행하여 학기 말에 결과물을 제출하도록 지도한다. 최종 결과물은 커뮤니케이션 이론에 바탕을 둔 학문적인 연구, 실습 과목을 통해 습득한 기술로 제작한 미디어 창작물, 인턴 활동을 통한 실무경험 보고서를 모두 포괄한다.  

37945

커뮤니케이션현장실습1

Communication Field Experience 1

현장적용/경력개발/

인턴십 경력

그 동안 배웠던 커뮤니케이션 이론학습 과정을 종합해서 현장에서 실무를 경험해보는 교과과정이다. 국내외 현장실습에 참여하거나, 창업 아이디어에 도전하거나, 국내외 각종 작품활동 및 공모전에 참가, 혹은 국내외 각종 봉사활동을 기획하고 참여하면서 현장실습 경험을 하면서 학점을 이수할 수 있다. 실습시간은 4주(160일) 이상을 충족시켜야 한다.

37946

커뮤니케이션현장실습2

Communication Field Experience 2

현장적용/경력개발/

인턴십 경력

그 동안 배웠던 커뮤니케이션 이론학습 과정을 종합해서 현장에서 실무를 경험해보는 교과과정이다. 국내외 현장실습에 참여하거나, 창업 아이디어에 도전하거나, 국내외 각종 작품활동 및 공모전에 참가, 혹은 국내외 각종 봉사활동을 기획하고 참여하면서 현장실습 경험을 하면서 학점을 이수할 수 있다. 실습기간은 8주(480시간) 이상을 충족시켜야 한다.



영상미디어 (구 디지털·영상 미디어) 트랙 핵심 전공

학수번호

과목명

주제어

과목설명

34721

멀티미디어와웹실습

Multimedia and Web Production

멀티미디어/

웹디자인/인터넷

시각적 조형언어, 영상언어에 대한 기본적 이해를 통하여 조형에 관한 흥미와 유연한 사고를 기른다. 다각적인 컴퓨터 실습과정을 통하여 새로운 영상표현 능력과 개념을 습득하고 응용력, 창의력을 배양하도록 하는데 주안점을 둔다. 텍스트, 사운드, 이미지, 비디오, 애니메이션 등의 미디어 소스를 이용하여 직접 DVD-Rom Title, Web Site제작 등의 실습을 한다.

35773

포토그라피실습

Practice of Photography

사진촬영/사진이론/

암실작업

사진의 촬영 및 제작기법은 앞으로 전개될 영상전공과목에서 가장 우선해야 될 원초적이며 중요한 작업이다. 사진제작에 필요한 기초적인 이론과 작품 감상, 사진기 조작, 사진 찍기, 뉴스사진 제작, 암실작업 등 사진제작 전반에 관한 이론과 실습을 병행한다.

36691

디지털스토리텔링

Digital Storytelling

스토리텔링, 영상, 편집

디지털 스토리텔링이란 다양한 디지털 매체 즉 사진, 오디오, 영상 등을 이용하여 이야기를 표현하는 미디어 프로덕션이다. 본 강좌에서는 스마트 시대에 필요한 스토리텔링을 위해 테마를 선정하고 자료를 수집한 후,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 방법을 연구하여 디지털스토리텔링에 필요한 영상제작을 학습하는 수업이다

34720

미디어 콘텐츠 크리에이션

Television Production

영상제작/영상기획/촬영과편집


1인 미디어 제작을 중심으로 영상제작을 기획해보고, 기획안을 바탕으로 구성안을 작성하고, 구성안을 바탕으로 촬영, 편집 등의 프로그램을 제작해 보는 실습 과목이다. 다큐멘터리, 교양, 오락, 드라마 및 다양한 장르로 제작 가능하다. 프로그램 제작에 필요한 기획, 구성 및 영상 미학 관련 이론을 배우고, 실습을 통해 촬영 편집 등의 제작 과정에 대해 배운다.

34733

디지털영상특수효과

Digital Video Special Effects

디지털영상표현/

특수영상효과/

영상편집

촬영 및 영상소스를 이용하여 Non Liner 편집의 기초적인 기술을 습득하게 하고 동시에 편집 문법에 대한 이해를 높인다. 또한 시청각언어 각각의 특수성과 상호 연계성에 대한 이해를 높임과 아울러 기본적인 장비들을 자유롭게 다룰 수 있도록 한다.

 35913

인간컴퓨터상호작용

Human-Computer Interaction

 인지 및 표현기술/사용자 인터페이스/메타포

인간 중심적 디자인의 관점에서 인간과 컴퓨터의 상호작용을 이해하고 프로토타입을 제작한다. 학기 전반부에는 인터랙션 디자인 이론 강의와 발표/토론을 중심으로 인간과 컴퓨터의 상호작용을 이해한다. 학기 중반 이후에는 실험/실습을 중심으로 프로토타입을 제작한다.

34731

다큐멘터리제작

Documentary Production

영상커뮤니케이션/

영상연출/

영상제작기획

비디오를 이용하여 작품기획, 자료조사, 촬영, 편집, 포스트 프로덕션 등 다큐멘타리의 전 과정을 워크숍을 통하여 익힌다.

35132

영화이론및비평

Film Theory and Criticism

영화비평/영화이론/

영상미디어

영화의 형식과 내용에 관련된 다양한 영화이론과 비평이론을 소개한다. 사실주의, 표현주의, 장르론, 작가론, 마르크스주의 영화이론 등 다양한 이론들을 논의하며, 각 이론과 함께 대표성을 갖는 영화들을 분석 검토한다.

35133

대중문화연구

Understanding Popular Culture

대중문화/미디어/

문화연구

대중문화를 바라보는 다양한 이론적 시각에 대한 검토를 토대로 한국 대중문화 현상에 대한 진단을 도모한다.

35814

디지털영상과3D

Digital Video and 3D Production

디지털영상표현/

3D표현/영상편집

기획, 시나리오, 콘티, 촬영, 편집, HD출력의 전 과정을 총괄하는 프로젝트 워크숍으로서 디지털영상의 기획과 제작 전반에 걸쳐 창의성과 제작능력을 극대화하는 데에 역점을 두고 있다. 디지털영상특수효과의 고급 교과과정이다.

37330

인터랙티브컨텐츠디자인

Interactive Contents Design

UI 디자인/UX이해/

인터렉티브미디어

플랫폼

모바일과 스마트 미디어 등 인터랙티브 미디어 플랫폼에서 이용되는 각종 컨텐츠의 특성을 이해하고 기획, 설계 및 실제 제작과 더불어 평가에 이르는 전체적인 프로덕션 과정을 배우는 실습과목이다. 학생들은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및 다양한 UI(user interface)의 디자인 및 구성이 이용자에게 제공하는 UX(user experience)를 이해하고 제작과 관련된 기초적인 기술을 습득함으로써 다양한 인터랙티브 미디어에서 사용되고 유통될 수 있는 컨텐츠 제작과 관련된 전반적인 사항을 습득하게 된다.

 38873

광고 PR 디지털에널리틱스

Digital Analytics for Advertising & PR 

디지털 미디어/콘텐츠/

전략 

본 강좌에서는 온라인 미디어 환경에서의 소비자 데이터 분석에 기초해 광고 PR 메세지를 최적화하고 비즈니스의 목적에 맞게 활용하는 다양한 미디어 및 콘텐츠 전략을 학습할 수 있다. 

 37548

커뮤니케이션독립연구캡스톤디자인

Independent Studies Capstone Design

독립연구/

미디어연구/

커뮤니케이션

커뮤니케이션 미디어 학부 전공 기초과목과 트랙 심화과목을 모두 이수한 학생들이 독립적인 연구 역량을 배양하기 위해 자유롭게 연구주제를 설정하고 연구를 수행하여 학기 말에 결과물을 제출하도록 지도한다. 최종 결과물은 커뮤니케이션 이론에 바탕을 둔 학문적인 연구, 실습 과목을 통해 습득한 기술로 제작한 미디어 창작물, 인턴 활동을 통한 실무경험 보고서를 모두 포괄한다.  

 37945

커뮤니케이션현장실습1

Communication Field Experience 1

현장적용/경력개발/

인턴십 경력

그 동안 배웠던 커뮤니케이션 이론학습 과정을 종합해서 현장에서 실무를 경험해보는 교과과정이다. 국내외 현장실습에 참여하거나, 창업 아이디어에 도전하거나, 국내외 각종 작품활동 및 공모전에 참가, 혹은 국내외 각종 봉사활동을 기획하고 참여하면서 현장실습 경험을 하면서 학점을 이수할 수 있다. 실습시간은 4주(160일) 이상을 충족시켜야 한다.

 37946

커뮤니케이션현장실습2

Communication Field Experience 2

현장적용/경력개발/

인턴십 경력

그 동안 배웠던 커뮤니케이션 이론학습 과정을 종합해서 현장에서 실무를 경험해보는 교과과정이다. 국내외 현장실습에 참여하거나, 창업 아이디어에 도전하거나, 국내외 각종 작품활동 및 공모전에 참가, 혹은 국내외 각종 봉사활동을 기획하고 참여하면서 현장실습 경험을 하면서 학점을 이수할 수 있다. 실습기간은 8주(480시간) 이상을 충족시켜야 한다.


* 타 전공인정 : 디지털스토리텔링, 인간컴퓨터와 상호작용



미디어경영정책 (구 미디어 경영·법제) 트랙 핵심 전공

학수번호

과목명

주제어

과목설명

37541

컨텐츠비지니스의이해

The Introduction of Contents Business

영상콘텐츠/

비즈니스원리/

마케팅전략

영상콘텐츠를 중심으로 콘텐츠의 본질, 콘텐츠 시장의 특성을 이해하고 콘텐츠 비즈니스를 위한 다양한 콘텐츠 경제/경영 원리에 대해 학습한다.

35115

광고테크놀로지와매체계획

Advertising Technology and Media Planning

광고/매체/마케팅

다양해진 광고 매체환경을 이해하고 주어진 상황에서 가장 효율적으로 커뮤니케이션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매체를 선정하기 위해 창의적이면서도 과학적인 광고 매체 선정방법과 집행과정을 이론과 실습을 통해 이해한다.

 35122

공공외교와커뮤니케이션
Public Diplomacy and Communication

기업명성/

기업 스토리텔링/

명성 조사 

 기업커뮤니케이션 과목에서는 우수한 기업의 명성관리전략과 커뮤니케이션 특성에 대해 고찰한다. 또한 이 강좌에서는 기업명성과 커뮤니케이션의 관련성, 기업명성의 다양한 관점과 이론, 그리고 전략적 기획과정 등을 다룬다. 특히 국내외 명성 높은 기업의 커뮤니케이션 전략과 사례, 성공 포인트 등을 분석하고 수강생들에게 명성관리 실무자 능력을 배양한다.

36035

표현의자유와언론윤리

Freedom of Expression & Press Ethics

언론윤리/사례분석/

표현의 자유

본 과목은 표현의 자유가 가지는 헌법적 의미와 그 책임 관계를 규명함을 주목적으로 하고 있다. 즉 언론사가 행하는 표현의 자유가 그로 인해 손상될 수 있는 개인적, 사회적, 국가적 법익과 어떻게 조화를 이룰 수 있는지를 알아본다. 더불어 다양한 사례 분석을 통해 언론이 지켜야 할 저널리즘 윤리가 무엇인지를 논의한다.

36040

미디어산업과저작권

Media Industry and copyright

미디어산업/

미디어저작권/

저작권관계파악

미디어 산업의 기반이 되는 콘텐츠 흐름과 그에 따른 계약 및 저작권 관계를 파악한다. 또한 미디어 저작권 관련 현황 및 논제들을 분석한다.

36053

미디어경영론

Visual Media management

미디어경영/

미디어경제/

미디어산업

이 과목에서는 영상미디어 기업의 조직과 경영의 기본적인 개념과 특성에 대해 학습한다. 영상미디어 산업의 시장구조와 특성에서부터 영상미디어 기업의 조직, 인사, 예산 관리 등 미디어 경영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요인에 대해 강의하고, 현장체험과 사례연구를 통해 프로그램 제작에 있어서의 기획, 인사, 조직, 예산, 홍보 관리의 효율적 방안에 대해 논의한다.

36054

영상마케팅전략과실제

Marketing strategy and practice for Visual Contents

영상콘텐츠/

마케팅전략/실습

이 과목에서는 영상콘텐츠의 국제적 교류에 대한 이론적 접근과 함께 영상콘텐츠 수출과 수입을 위한 실제적인 마케팅 전략에 대해 공부한다. 국가 간 영상콘텐츠의 교류에 있어서 방송영상 콘텐츠의 상품적 특성과 장르적 특성에 대해 이론적으로 강의하고, 국제 배급시장의 현황 및 특성, 수출상담 절차와 과정에 대해서 최근의 자료를 중심으로 학습한다.

33289

미디어비즈니스모델캡스톤

Capstone Project: Media Business Model

미디어산업/

현안별쟁점/

현안해결방안

신문 방송 인터넷 등 미디어 산업이 안고 있는 현안이 무엇인지 살펴본다. 구체적으로 현안별 쟁점은 무엇인지, 그리고 어떻게 해결할 수 있는지를 산업 경제적, 법리적 관점에서 알아본다.

 38872

매체철학
Media Philosophy

 매체철학/매체환경/미디어 테크놀로지

문자, 영상, 인터넷, 소셜미디어, 스마트폰 등 다양한 매체의 발달과 활용을 철학적관점에서 이해하고 적용한다. 매체에 대한 철학적 성찰을 통해 매체 중심의 현대사회 성격을 이해하며. 다양한 이슈의 해석과 깊이있는 자신의 의견 형성에 도움을 받을 수 있다. 

36780

Cross-cultural Issues for Management

비즈니스/이문화/관리

The globalization of the business environment that is being driven by technological and economic factors is resulting in an ever-increasing number of cross cultural interactions in the workplace. Understanding the influence of culture on interpersonal interactions in organizational settings is now a fundamental requirement of effective international management. This course provides students with an understanding of effective cross-cultural management skills and introduces some of the challenges they may meet when working internationally.

37548

커뮤니케이션독립연구캡스톤디자인Independent Studies Capstone Design

독립연구/미디어연구/커뮤니케이션

커뮤니케이션 미디어 학부 전공 기초과목과 트랙 심화과목을 모두 이수한 학생들이 독립적인 연구 역량을 배양하기 위해 자유롭게 연구주제를 설정하고 연구를 수행하여 학기 말에 결과물을 제출하도록 지도한다. 최종 결과물은 커뮤니케이션 이론에 바탕을 둔 학문적인 연구, 실습 과목을 통해 습득한 기술로 제작한 미디어 창작물, 인턴 활동을 통한 실무경험 보고서를 모두 포괄한다.  


* 타 전공인정: cross cultural issues for management




융합미디어 트랙 핵심 전공


학수번호

과목명

주제어

과목설명

 34721

멀티미디어와웹실습

Multimedia and Web Production

멀티미디어/

웹디자인/인터넷

시각적 조형언어, 영상언어에 대한 기본적 이해를 통하여 조형에 관한 흥미와 유연한 사고를 기른다. 다각적인 컴퓨터 실습과정을 통하여 새로운 영상표현 능력과 개념을 습득하고 응용력, 창의력을 배양하도록 하는데 주안점을 둔다. 텍스트, 사운드, 이미지, 비디오, 애니메이션 등의 미디어 소스를 이용하여 직접 DVD-Rom Title, Web Site제작 등의 실습을 한다.

 35103

취재와보도실습 

Intermediate News Reporting & Writing

저널리즘/

고급 기사 작성/

편집

일회성 사건이나 사고 등에 관한 스트레이트 뉴스가 아니라 장기간의 추적 취재와 체계적 자료 조사를 필요로 하는 기사의 보도에 필요한 다양한 기술과 윤리적 측면까지를 교육한다. 이 과목은 기사작성기초 과목의 이수를 필요로 하며 가능한 한 수강신청 이전에 담당 교수와의 면담을 요구할 예정이다. 사회, 정치, 경제, 문화, 법률 각 분야의 쟁점이나 구조적 문제들에 대한 깊이 있는 분석이 가능할 수 있도록 매주 실습 중심으로 강의를 진행한다. 학생들은 인터뷰와 문헌 자료 조사, 컴퓨터를 이용한 전자적 자료조사 등에 관한 테크닉을 교육 받게 된다.

 35104

NewsReporting&Writing

뉴스/보도/

저널리즘

English journalism의 기본 기술을 배우기 원하는 학생들을 위한 과정으로 언론에서의 글쓰기, 뉴스의 구조, 뉴스 수집 기술, 기획 기사 편집 방법 등을 포함한 기본 개념들을 소개한다. 단, 이 과정은 인터뷰와 기획 기사를 포함해 초보 과정 보다 심화된 것으로 전문인으로서 기술을 향상시키기 원하는 학생들에게 제공된다. 해외에서 영어를 배운 학생들도 수강가능하며 영어 실력이 테스트 된다.

 35121

PR커뮤니케이션캠페인

PR 기획/

PR 전략/

건강 캠페인

이 강좌는 홍보 캠페인의 기본 구조와 역할 수행 방법을 실습하기 위해 개설된다. 구체적으로 마케팅 캠페인, 정치 캠페인, 사회쟁점 캠페인 등에의 적용과 홍보 캠페인과의 차별점도 논의된다. 특히 강의 전반에 걸쳐 연구조사의 적용에 대한 폭넓은 논의가 포함된다.

 35773

포토그라피실습 

Practice of Photography

사진촬영/

사진이론/

암실작업

사진의 촬영 및 제작기법은 앞으로 전개될 영상전공과목에서 가장 우선해야 될 원초적이며 중요한 작업이다. 사진제작에 필요한 기초적인 이론과 작품 감상, 사진기 조작, 사진 찍기, 뉴스사진 제작, 암실작업 등 사진제작 전반에 관한 이론과 실습을 병행한다.

 35796

PR제작과디지털미디어 

PR Writing, Production & Digital Media

PR 작문/

PR 실무/

인터넷 PR

홍보업무 전반에 걸친 글쓰기와 홍보물 제작 요령을 배운다. 보도자료 작성, 매뉴얼 리포트, 브로슈어, fact sheet, backgrounders, 사보, 인터뷰 요령, 간담회 개최, 각종 책자 작성을 세부적으로 다루며 또한 컴퓨터를 이용한 전자 편집의 기본에 대해서도 배운다.

 35799

광고크리에이티브 

Advertisting Creative Strategy

크리에이티브/

전략/광고

본 강좌는 광고의 효과적인 메시지 구성 및 표현을 위한 크리에이티브 이론 및 전략의 습득을 목표로 한다. 광고 커뮤니케이션 목표달성을 하여 사용되는 크리에이티브 전략과 전술들을 살펴본다.

 36033

기사작성기초 

Basic News Reporting and Writing

저널리즘/

기사작성/편집

기사란 무엇인가에 대한 개념의 소개에서부터 기사의 주요 구성요소, 기사문장의 특징, 기사쓰기에 필요한 기초적 지식과 주의사항 등을 교육한다. 실습과목이기 때문에 매주 글쓰기 과제가 부여된다.

 36043

 광고마케팅전략과 소비자 심리분석

Consumer Psychology for Advertising & Marketing Strategy

소비자/심리학/광고 

 This course is designed to provide a fundamental understanding of consumers, their needs and behaviors. Studying the behavior of consumers in a wide range of situations and circumstances provides marketers with clear guidelines for the development of advertising and marketing strategy.

 36043

광고와소비자심리 

Advertising and Consumer Psychology

소비자/

심리학/광고

본 강좌는 기업의 마케팅 및 광고 활동의 대상인 소비자의 인지, 정서, 행동에 대한 심리적 이해와 고찰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소비자의 의사결정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내적/외적 요인을 살펴보고, 통제 가능한 마케팅적 요인들이 내적, 외적 요인들과 조화를 이루어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총체적으로 살펴봄으로써 학생들은 소비자 행동에 대한 전반적 이해를 증진시키고 이를 광고와 마케팅 전략 개발에 적용시킬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게 된다.

 36691

디지털스토리텔링 Digital Storytelling 

 스토리텔링/영상/편집

디지털 스토리텔링이란 다양한 디지털 매체 즉 사진, 오디오, 영상 등을 이용하여 이야기를 표현하는 미디어 프로덕션이다. 본 강좌에서는 스마트 시대에 필요한 스토리텔링을 위해 테마를 선정하고 자료를 수집한 후,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 방법을 연구하여 디지털스토리텔링에 필요한 영상제작을 학습하는 수업이다.

 37541

컨텐츠비즈니스의이해 

The Introduction of Contents Business

영상콘텐츠/

비즈니스원리

/마케팅전략

영상콘텐츠를 중심으로 콘텐츠의 본질, 콘텐츠 시장의 특성을 이해하고 콘텐츠 비즈니스를 위한 다양한 콘텐츠 경제/경영 원리에 대해 학습한다.

 33285

방송뉴스제작 

Broadcast News Reporting & Writing

방송 저널리즘/기사작성/편집

방송뉴스 만들기에 필요한 글쓰기와 라디오 제작 실무를 중심으로 한 뉴스제작 과정을 교육한다. 신문기사나 기타 다른 종류의 보도문장과 방송문장의 차별성을 이해할 수 있도록 매주 글쓰기 실습을 강조한다. 그러므로 ‘기사작성기초’ 과목을 이수한 사람에게만 수강자격을 부여한다. 방송뉴스에서 많이 다루는 사건기사, 여성 관련 기사, 스포츠, 문화 등의 라디오 제작물을 과제로 부과한다.

 34710

멀티플랫폼저널리즘실습

Multiplatform Journalism

멀티플랫폼/디지털 뉴스환경/보도

본 수업에서는 다매체시대에 다양한 모습으로 변화를 꾀하고 있는 저널리즘 생태계를 파악하고 궁극적으로는 멀티플랫폼에 적합한 저널리즘 제작물을 제작해 발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학생들은 신문, 방송과 같은 올드미디어가 유튜브, 틱톡 등 새로운 플랫폼을 어떻게 이용해 어떠한 변화를 꾀하는지 학습하며 현 멀티플랫폼시대에 필요한 새로운 미디어는 어떠한 모습일지, 또한 더욱 중요하게 여겨져야 할 저널리즘원칙은 무엇인지 학습한다. 

 34720

 미디어 콘텐츠 크리에이션

Media Contents Creation

 영상제작/영상기획/촬영과 편집

 1인 미디어 제작을 중심으로 영상제작을 기획해보고, 기획안을 바탕으로 구성안을 작성하고, 구성안으로 바탕으로 촬영, 편집 등의 프로그램을 제작해 보는 실습 과목이다. 다큐멘터리, 교양, 오락, 드라마 및 다양한 장르로 제작 가능하다. 프로그램 제작에 필요한 기획, 구성 및 영상 미학 관련 이론을 배우고, 실습을 통해 촬영 편집 등의 제작 과정에 대해 배운다. 

 34733

디지털영상특수효과 

Digital Video Special Effects

디지털영상표현/

특수영상효과/

영상편집

촬영 및 영상소스를 이용하여 Non Liner 편집의 기초적인 기술을 습득하게 하고 동시에 편집 문법에 대한 이해를 높인다. 또한 시청각언어 각각의 특수성과 상호 연계성에 대한 이해를 높임과 아울러 기본적인 장비들을 자유롭게 다룰 수 있도록 한다.

 35105

편집디자인및출판 

Desktop Publishing

그래픽 커뮤니케이션/

시각화/

보도

컴퓨터를 이용한 전자출판에 필요한 활자, 도형, 사진, 등의 편집 디자인 기술을 익히고 그래픽 커뮤니케이션의 이론과 최근 경향을 학습한다. 실습지 제작을 통해 신문기획, 자료수집, 지면구성, 편집, 제목 뽑기 등의 종합적인 신문 편집 실무를 익힌다. 기사작성기초와 취재보도 관련과목 수강자에게 수강을 제한적으로 허용한다.

 35108

AdvancedNewsReporting&Writing 

기사 작성/

보도/영문 뉴스

This is an advanced news writing course for students who have a high-level of spoken and written English. Teaching is through an intensive series of advanced, practical writing. After a brief review of spot news techniques the focus moves quickly on to news features and interviews. Students will be given external assignments and will also have to find their own news stories.

 35115

광고테크놀로지와 매체기획

Advertising Media Planning

광고/매체/

마케팅

디지털 미디어를 중심으로 매체 환경과 광고 테크놀로지의 변화를 이해하고 주어진 마케팅 상황에 가장 효율적으로 커뮤니케이션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매체를 선정 및 활용하기 위해 창의적이면서도 과학적인 매체기획 과정을 이론과 실습을 통해 이해한다.

  35118 

광고기획관리 

Advertising Management

기획/관리/전략

광고 및 촉진 프로그램의 기획을 위한 과목이다. 광고 상황 분석, 광고목표설정, 광고조사, 크리에이티브 의사결정, 매체계획 등 광고 집행 과정상 발생하는 다양한 문제점들을 사례분석을 통하여 해결하고 실제의 제품이나 서비스를 위한 광고 기획서를 작성한다.

39187 

광고기획과 스타트업 브랜딩

Advertising Planning for Startup Branding

광고기획/스타트업/브랜드 

본 과정은 스타트업이 직면한 '마케팅 및 브랜딩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브랜드 커뮤니케이션을 실행하는 데 필요한 지식과 기술을 배우도록 설계되었다. 본 수업에서는 브랜드 커뮤니케이션의 다양한 이론과 방법론을 실제 사례와 현장 실습을 통해 학습할 계획이다. 학기말에는 실제 테크 스타트업 클라이언트의 브랜드를 대상으로 경쟁 프레젠테이션을 진행할 계획이다.

 35119

광고카피라이팅 

Advertising Copywriting

크리에이티브/

편집/글쓰기

효과적인 광고 카피 작성을 위한 실습과목이다. 효과적인 광고의 요소인 전략 수립, 캠페인 기획, 카피 작성 등을 바탕으로 하여 실제 광고 실행을 연습해 본다. 주로, 인쇄 광고에 중점을 두고 수업한다.

 35122

공공외교와커뮤니케이션

Public Diplomacy and Communication

공공외교/국제 커뮤니케이션/ 미디어 외교

이 수업에서는 공공외교의 개념과 유형(미디어외교, 인터넷외교, 문화외교 등), 그리고 커뮤니케이션 기획 전략 등에 대해 가르친다. 오늘날 국제분야에서 공공외교가 왜 중요한지 부각되고 있는지 논의하고, 개별 국가 및 국제관계에서 공공외교 이슈와 미디어/인터넷 외교 전략과 사례들을 다룬다.

  35798 

광고PR전략리서치 

Advertising and PR Research Methods

조사 방법/

광고PR 전략/

광고PR 기획

본 강좌는 광고와 PR분야에 적용 가능한 다양한 조사방법론 및 통계지식을 함양하는데 목적이 있다. 기본적인 연구방법론을 살펴본 후, 광고 및 PR연구의 새로운 학문연구경향에 대해서도 분석 토론한다. 이 강의를 통하여 학생들은 광고PR 관련변수와 이슈를 연구할 수 있는 독립연구자로서의 자질을 확보하게 된다.

 35913

인간컴퓨터상호작용 

 -

 타전공인정교과목 (컴퓨터공학)

 36035

표현의자유와언론윤리 

Freedom of Expression & Press Ethics

언론윤리/

사례분석/

표현의 자유

본 과목은 표현의 자유가 가지는 헌법적 의미와 그 책임 관계를 규명함을 주목적으로 하고 있다. 즉 언론사가 행하는 표현의 자유가 그로 인해 손상될 수 있는 개인적, 사회적, 국가적 법익과 어떻게 조화를 이룰 수 있는지를 알아본다. 더불어 다양한 사례 분석을 통해 언론이 지켜야 할 저널리즘 윤리가 무엇인지를 논의한다.

 36040

미디어산업과저작권 

Media Industry and copyright

미디어산업/

미디어저작권/

저작권관계파악

미디어 산업의 기반이 되는 콘텐츠 흐름과 그에 따른 계약 및 저작권 관계를 파악한다. 또한 미디어 저작권 관련 현황 및 논제들을 분석한다.

 36046

정부시민단체커뮤니케이션 

Government Public Relations

정부PR/

시민단체PR/

공공캠페인

정치와 행정부분에서 필요한 커뮤니케이션 전략에 대해 살펴본다. 특히 행정기관에서 수행해야 하는 각종 캠페인, 지역 주민 대상 커뮤니케이션 전략, CI, 이벤트 등 다양한 PR 전략들을 고찰한다. 그리고 정치캠페인 및 여론관리와 관련한 커뮤니케이션 과정을 살펴본다.

 36053

미디어경영론 

Visual Media management

미디어경영/

미디어경제/

미디어산업

이 과목에서는 영상미디어 기업의 조직과 경영의 기본적인 개념과 특성에 대해 학습한다. 영상미디어 산업의 시장구조와 특성에서부터 영상미디어 기업의 조직, 인사, 예산 관리 등 미디어 경영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요인에 대해 강의하고, 현장체험과 사례연구를 통해 프로그램 제작에 있어서의 기획, 인사, 조직, 예산, 홍보 관리의 효율적 방안에 대해 논의한다.

 36054

영상마케팅전략과실제

Marketing strategy and practice for Visual Contents

영상콘텐츠/

마케팅전략/실습

이 과목에서는 영상콘텐츠의 국제적 교류에 대한 이론적 접근과 함께 영상콘텐츠 수출과 수입을 위한 실제적인 마케팅 전략에 대해 공부한다. 국가 간 영상콘텐츠의 교류에 있어서 방송영상 콘텐츠의 상품적 특성과 장르적 특성에 대해 이론적으로 강의하고, 국제 배급시장의 현황 및 특성, 수출상담 절차와 과정에 대해서 최근의 자료를 중심으로 학습한다.

 33289

미디어비즈니스모델캡스톤

Capstone Project: Media Business Model

미디어산업/

현안별쟁점/

현안해결방안

본 과목은 미디어 산업의 특성과 현재 이슈를 비즈니스 모델 차원에서 살펴보고, 새로운 창의적 비즈니스 모델 구현을 위한 소규모 캡스톤 프로젝트들을 수행하는 과목이다. 개설학기마다 다루는 비즈니스 모델과 이슈는 변경될 수 있으나, 비즈니스 모델 학습과 창의적 해결방안 구축을 위한 캡스톤 프로젝트라는 기본 틀로 유지된다.

 34711

저널리즘비평 

Journalism Criticism

저널리즘/

비평/이론

신문과 방송, 잡지 등 매체가 다루는 뉴스에 대한 비평능력 함양을 목적으로 하는 과목이다. 언론 비평의 다양한 시각과 이론을 학습하고 뉴스의 사회적 의미, 정치과정과 여론형성에 미치는 뉴스의 영향과 뉴스제작 과정의 쟁점들, 언론 산업과 관련 기업의 문제 등을 토론한다.

 34731

다큐멘터리제작 

Documentary Production

영상커뮤니케이션/

영상연출/

영상제작기획

비디오를 이용하여 작품기획, 자료조사, 촬영, 편집, 포스트 프로덕션 등 다큐멘타리의 전 과정을 워크숍을 통하여 익힌다.

 35123

광고캠페인 

Advertising Campaigns

전략/광고/

캠페인

광고캠페인의 기획 및 집행 과정을 실습한다. 학생들은 팀을 구성하여 하나의 광고 대행사 역할을 하면서 실제 제품이나 서비스를 위한 시장 및 소비자 조사, 광고 캠페인 기획, 크리에이티브 안 제시 등 광고 집행과정에서 거치는 모든 과정을 직접 경험하고 훈련하게 된다.

 35129

광고와사회 

Advertising & Society

광고/

커뮤니케이션/

규제

광고는 상업적 속성으로 인하여 개인을 비롯한 다양한 소수 사회집단에게 의도하지 않은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 사회적 제도로서 광고의 사회적, 윤리적 문제점들을 살펴보고 광고의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자율적, 타율적 규제에 대하여 알아본다.

 35132

영화이론및비평 

Film Theory and Criticism

영화비평/

영화이론/

영상미디어

영화의 형식과 내용에 관련된 다양한 영화이론과 비평이론을 소개한다. 사실주의, 표현주의, 장르론, 작가론, 마르크스주의 영화이론 등 다양한 이론들을 논의하며, 각 이론과 함께 대표성을 갖는 영화들을 분석 검토한다.

 35133

대중문화연구 

Understanding Popular Culture

대중문화/

미디어/문화연구

대중문화를 바라보는 다양한 이론적 시각에 대한 검토를 토대로 한국 대중문화 현상에 대한 진단을 도모한다.

 35801

국제광고PR 

International and Intercultural Public Relations

문화간 커뮤니케이션/

국가명성/

글로벌 이슈

기초적인 홍보 이론과 캠페인 전략의 숙지가 요구되며 기초 개념에 대한 별도의 설명 없이 강의가 진행된다. 학생들은 이 강좌를 통하여 국제무대에서의 홍보와 타 문화 간 홍보, 그리고 그에 따르는 기술적인 사항들을 배운다. 세부적으로 다문화 커뮤니케이션과 관련된 이론, 문화 간 차이의 고찰 및 국제 홍보 문장 연습, 국제 홍보 캠페인 실습이 이루어진다.

 35807

위기관리와갈등해소 

Crisis Management and Conflict Resolution

위기관리/

갈등해소/

합의창출

이 강의는 홍보의 이해를 이미 수강한 학생을 대상으로 개설되는 전공과목이다. 홍보 분야에서 주목받고 있는 위기관리를 중심으로 학기가 운영된다. 위기 관리는 쟁점 관리를 포함한 징후 포착, 위기의 인식, 예방, 준비, 봉쇄 및 회복, 평가, 학습 등의 모든 과정을 포함한다. 이 과목은 그러한 전 과정을 통합적이고 관계 경영학적인 측면에서 살펴보게 된다.

 35814

디지털영상과3D 

Digital Video and 3D Production

디지털영상표현/

3D표현/

영상편집

기획, 시나리오, 콘티, 촬영, 편집, HD출력의 전 과정을 총괄하는 프로젝트 워크숍으로서 디지털영상의 기획과 제작 전반에 걸쳐 창의성과 제작능력을 극대화하는 데에 역점을 두고 있다. 디지털영상특수효과의 고급 교과과정이다.

 36037

미디어와정치 

Political Communication

미디어/정치/

캠페인 보도

미디어와 정치체제와의 역학관계를 다양한 이론적 관점에서 고찰한다. 신문, 방송, 잡지 등 기존의 매체와 커뮤니케이션 기술개혁으로 등장하게 된 뉴미디어가 선거를 포함한 정치과정 전반에 미치는 긍정적, 부정적 영향을 검토한다.

 36044

디지털프로모션과사회

Digital Promotion and Society

-

디지털 시대의 도래에 따른 다양한 최신 디지털 프로모션 활동을 소개하고, 사회적인 관점에서 디지털 프로모션 활동이 가지는 의미를 조망한다. 또한 다양한 방법론적인 접근이 통하여 디지털 프로모션 기법들을 비판적으로 평가하고, 사회적인 맥락에서 바람직한 디지털 프로모션 접근 방법을 습득하는데 목적을 둔다.

 36780

Cross-culturalIssuesforManagement 

 -

The globalization of the business environment that is being driven by technological and economic factors is resulting in an ever-increasing number of cross cultural interactions in the workplace. Understanding the influence of culture on interpersonal interactions in organizational settings is now a fundamental requirement of effective international management. This course provides students with an understanding of effective cross-cultural management skills and introduces some of the challenges they may meet when working internationally.

 36801

고급방송뉴스제작 

Advanced Broadcast News Production

방송저널리즘/

고급보도/

뉴스제작

텔레비전 뉴스제작에 관한 역량을 키워주는 과목임. 방송뉴스제작 과목을 이수한 학생에게 수강이 허용됨. 발생기사보다는 3분 이상의 호흡이 긴 기획과 탐사 보도, 매거진 보도 성격의 기사를 취재하고 제작하는 과목이다.

 37330

인터랙티브컨텐츠디자인 

Interactive Contents Design

UI 디자인/

UX이해/

인터렉티브미디어플랫폼

모바일과 스마트 미디어 등 인터랙티브 미디어 플랫폼에서 이용되는 각종 컨텐츠의 특성을 이해하고 기획, 설계 및 실제 제작과 더불어 평가에 이르는 전체적인 프로덕션 과정을 배우는 실습과목이다. 학생들은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및 다양한 UI(user interface)의 디자인 및 구성이 이용자에게 제공하는 UX(user experience)를 이해하고 제작과 관련된 기초적인 기술을 습득함으로써 다양한 인터랙티브 미디어에서 사용되고 유통될 수 있는 컨텐츠 제작과 관련된 전반적인 사항을 습득하게 된다.

 38873

광고PR디지털에널리틱스

Digital Analytics for Advertising & PR

디지털 미디어/콘텐츠/

전략


본 강좌에서는 온라인 미디어 환경에서의 소비자 데이터 분석에 기초해 광고PR 메시지를 최적화하고 비즈니스의 목적에 맞게 활용하는 다양한 미디어 및 콘텐츠 전략을 학습할 수 있다.

 38870

미디어데이터사이언스입문

-

데이터의 가치를 사회과학적 시각에서 논의한다. 미디어 영역에서 데이터 분석을 적용한 다양한 실제 사례를 학습하고 데이터를 수집, 분석, 활용하는 능력을 키운다.

 38872

매체철학
Media Philosophy

매체철학/매체환경/미디어 테크놀로지

문자, 영상, 스마트폰, 가상현실 등 다양한 매체의 발달로 인해 매체의 본질을 기술적, 철학적으로 고찰하고 매체 미학적 이해를 도모하기 위한 과목이다. 기계화되고 AI가 이끌어 가는 미디어 환경에서 매체에 대한 철학적 성찰을 통해 매체의 형식 자체를 비판적으로 바라볼 수 있도록 한다.

 37548

커뮤니케이션독립연구캡스톤디자인Independent Studies Capstone Design 

독립연구/

미디어연구/

커뮤니케이션

커뮤니케이션 미디어 학부 전공 기초과목과 트랙 심화과목을 모두 이수한 학생들이 독립적인 연구 역량을 배양하기 위해 자유롭게 연구주제를 설정하고 연구를 수행하여 학기 말에 결과물을 제출하도록 지도한다. 최종 결과물은 커뮤니케이션 이론에 바탕을 둔 학문적인 연구, 실습 과목을 통해 습득한 기술로 제작한 미디어 창작물, 인턴 활동을 통한 실무경험 보고서를 모두 포괄한다.  

 37945

커뮤니케이션현장실습1

Communication Field Experience 1 

현장적용/

경력개발/

인턴십 경력

그 동안 배웠던 커뮤니케이션 이론학습 과정을 종합해서 현장에서 실무를 경험해보는 교과과정이다. 국내외 현장실습에 참여하거나, 창업 아이디어에 도전하거나, 국내외 각종 작품활동 및 공모전에 참가, 혹은 국내외 각종 봉사활동을 기획하고 참여하면서 현장실습 경험을 하면서 학점을 이수할 수 있다. 실습시간은 4주(160일) 이상을 충족시켜야 한다.

 37946

커뮤니케이션현장실습2

Communication Field Experience 2 

현장적용/

경력개발/

인턴십 경력

그 동안 배웠던 커뮤니케이션 이론학습 과정을 종합해서 현장에서 실무를 경험해보는 교과과정이다. 국내외 현장실습에 참여하거나, 창업 아이디어에 도전하거나, 국내외 각종 작품활동 및 공모전에 참가, 혹은 국내외 각종 봉사활동을 기획하고 참여하면서 현장실습 경험을 하면서 학점을 이수할 수 있다. 실습기간은 8주(480시간) 이상을 충족시켜야 한다.



미디어공학 (구 미디어 공학·창업) 트랙 핵심 전공



학수번호

과목명

과목설명

   36339 

컴퓨터프로그래밍및실습 

컴퓨터의 기본 개념과 프로그래밍 방법에 대해 다룬다.C언어의 기본적인 문법과 기능에 대해 이론과 실습을 병행하여 학습함으로써 기본적인 프로그래밍 능력을 갖추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38403

Python프로그래밍및실습 

본 과목은 컴퓨터의 기본 개념과 기초 컴퓨터프로그래밍을 다룸.다양한 컴퓨터프로그래밍 언어의 기본 개념을 익히기 위해 파이썬 프로그래밍 언어를 활용하여 프로그래밍 기법을 실습함

 38409

SW리더십과기업가정신세미나II

컴퓨터정보통신 전반에 걸친 전 분야별 최신 기술 및 응용 분야에 대한 교수 및 산업체 초청 연사의 특강으로 진행되며 컴퓨터공학 , 전공자들의 소프트웨어에 대한 비즈니스 관점 과 창업에 대한 이해를 넓힐 수 있도록 진행된다.

   38410 

SW리더십과기업가정신세미나III 

컴퓨터정보통신 전반에 걸친 전 분야별 최신 기술 및 응용 분야에 대한 교수 및 산업체 초청 연사의 특강으로 진행되며 컴퓨터공학 , 전공자들의 소프트웨어에 대한 비즈니스 관점 과 창업에 대한 이해를 넓힐 수 있도록 진행된다.

 38473

사이버보안개론 

본 과목에서는 보안 공격, 보안 서비스, 보안 메커니즘 등 보안의 기본 개념을 학습하고, 사이버보안에 대한 기본 개념으로서 암호, 시스템보안, 네트워크보안 및 응용을 비롯한 최신 보안이슈들에 대해 개괄적으로 공부함으로써 네트워크 및 사이버보안에 대한 전반적인 개념을 습득한다.

 36308

식품감성공학 

식품과학과 감각 및 소비자과학 (sensory and consumer science)에 기반하여 식품디자인 및 품질관 리에 감성공학기술이 어떻게 활용되는지 학습한다. 전반부에 학제 간 융합적인 접근방식으로 식품과 소 비자의 상호작용과 소비자 관점에서 감지하는 품질 특성들을 학습하고, 후반부에 식품 섭취 및 선택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학습하며, 식품 섭취 및 생활용품/화장품 등 소비재 사용과 관련된 소비자 만족 과 선호를 분석하는 연구법을 학습한다.

 35946

환경정책및법규 

환경정책, 환경법, 환경행정, 국제환경협약 등을 공부하는 과목이다. 먼저 환경정책의 역사적 변천과정, 정책목표, 대상, 수단, 원칙, 효율성 등을 강의한다. 환경법의 역사와 특징, 환경권, 법적 원리, 우리나라 환경법 체계와 환경행정조직, 그리고 중앙정부 및 지방정부의 주요 환경행정사항 등을 설명한다. 환경문제로 인한 피해 보상을 위한 준사법적 행정기구와 환경분쟁조정 과정 등을 소개하고, 자연환경, 물환경, 상하수도, 토양지하수, 기후대기, 폐기물, 생활환경, 환경보건, 환경경제 등 분야별 환경정책 및 관련 법규, 그리고 유엔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국 제환경협약 등을 강의한다.

 36362

현대건축 

이 수업에서는 2차 대전 이후의 20세기 현대건축에 대해 다루게 된다. 현대건축은 많은 양식사조가 나타나면서 매우 복잡한 양상으로 전개되었는데, 이를 10년 단위로 끊어 각 시대를 대표하는 사조에 대해 공부한다. 수업 내용은 각 사조의 기본 특성 및 대표건축가와 그 작품을 중심으로 진행된다. 1950년대의 모색 전환기, 1960년대의 자유정신, 1970년대의 합리주의, 1980년대의 신주관주의, 1990년대의 네오-모더니즘 등이 각 시대를 대표하는 큰 흐름이며 그 아래 세부 양식사조에 대해 배운다. 1950년대의 뉴 브루털리즘에 나타난 현대건축의 단초적 현상들, 1960년대의 포스트모더니즘의 기본 개념과 팝 건축, 1970년대의 뉴욕 파이브, 후기 모더니즘, 하이테크 건축 등, 1980년대 해체주의, 신표현주의, 네오 바로크 등, 1990년대의 네오-코르뷔지안 건축, 네오 데 스테일, 신구성주의 등이 이 과목의 주요 강의 내용이다. 

 38487

블록체인응용

Blockchain Application

This subject is designed to introduce the fundamentals of blockchain systems and their applications. The content of the subject will include some important theories that are necessary to understand blockchain systems and their applications. This subject also will include discussions on cybersecurity issues in blockchain systems.   

 35944

언론환경학 

 -

 36364

건축과도시

Architecture and City 

Architecture is embedded in its urban context, the city. Cities are under constant change due to ecological, political, and economic forces. These forces manifest itself in the form of reduced growth and prosperity, climate change, or unbalanced development. The question is how cities and on the following scale architecture responds to these dynamics. This course addresses the relation between architecture and city on multiple layers. First, an abstract, theoretical level, and second a direct, tactile level. Both of these will be subject of this course. The course gives students an insight into the relation between architecture and the socio-economic context architects are working in. Students learn about the different forces that influence and shape cities. The economic, political and spatial forces that architecture operates in will be explained through a set of lectures in combination with discussions/quizzes, as well as a personal research assignment within the topic in the context of Seoul. The assignment will be presented during class, whereas the theoretical knowledge will be tested with a written exam.

 36817

식품소비자행동및감각마케팅

Food Consumer Behavior and Sensory Marketing

1) The major focus of this course is to understand the basic concepts of marketing as applied to FMCG industry. 

2) Definition of business models, and marketing approaches and techniques, related to food products will be introduced. 

3) Students will also have practices to learn the communication skills needed by marketing and R&D managers for developing and implementing effective marketing strategies.

 38488

저작권보호와관리

-

 36359

지속가능주거 

“고대는 신전의 시대였고, 중세는 성당의 시대였으며, 르네상스 이후는 궁전의 시대였다. 20세기 이후의 근대 건축의 주인공은 일반주거이다.” 21세기에 들어와서, '지속가능성(sustainability)'이라는 논제는 오늘날 건축과 다양한 학문 분야뿐만 아니라 일반 지식인들에게도 중요한 주제가 되고 있다. 본 학과목에서는 지속가능 주거(Sustainable Housing)라는 개념을 '시간'과 '변화'라는 두 단어에 기초하여 포괄적으로 재정립함으로써 '지속과 가변'이라는 새로운 시각에서 주택의 본질을 이해하는 것을 도모하고자 한다. 한국 아파트의 형성과 변천을 탐구함을 통해 주택 유형의 현재적 실체를 통찰하고, 개방형 아파트의 이론과 방법론을 학습함으로써 사회적 지속가능성(social sustainability)에 대한 이해를 달성한다. 또한 한옥 진화의 측면에서 전통주택의 발전과 변천을 심도 있게 분석하며 학습하는 과정을 거침으로써 주거의 문화적 지속가능성(cultural sustainability)에 대하여 학습한다. 이와 같이 주거의 사회적 및 문화적 지속가능성에 대한 다양한 측면에서의 포괄적 지식을 습득하고자 한다.

개설과목

  • >
  • 학부 >
  • 개설과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