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활동
글번호
12551097
일 자
17.10.19
조회수
210
글쓴이
강지연
여성, 신체, 그리고 포스트휴머니즘 이불의 사이보그와 몬스터 연구

2014.12.22


_전혜숙 

 

본 연구는 1990년대 이후 한국을 대표하는 가장 유력한 미술가들 중 한 사람인 여성미술가 이불(李昢, 1964년생)이 1990년대 후반부터 2000년대 전반에 걸쳐 만든 사이보그와 몬스터들을 통해페미니즘의 관점에서 표출된 그녀의 여성신체의 의미가 포스트휴머니즘으로 설명될 수 있는 신체와 주체의 의미로 이행되는 과정을 고찰한다이불이 만든 형상들 즉 예술적 재현을 다루는 본 연구는재현된 이미지들이 어떤 방식으로든 우리 삶의 리얼리티와 연관된다는 생각 아래이불이 보여준 여성신체의 변화가 지금 이 시대의 삶담론텍스트주체그리고 실천적 경험 등을 통해 이해될 수 있을 것이라는 데서 출발한다.

미술사적인 문맥에서 볼 때 이불의 사이보그와 괴물들은 몇 가지 점에서 중요한 위치를 갖는다우선그녀의 작업이 초기부터 모든 인위적 전통과 가부장적 사회를 비판하면서 이성을 내세운 권력을 무화하고 이데올로기의 이분법을 넘어서는 페미니즘적 사고의 유연성을 기반으로 작업해왔다는 점을 들 수 있다둘째기계와 기술이 화두가 되는 바로 이 시대에 그녀의 작품들은 과거현재미래를 관통하는 여성신체기계-(사이보그), 괴물(비인간)을 내세움으로써 사이버페미니즘을 넘어서는 새로운 신체담론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다셋째그녀의 여성 사이보그와 괴물형상들은 한국 미술사에서 전례를 찾기 어려운 독특한 형상일 뿐 아니라 명확히 규명되는 존재들도 아니며그것들의 실체가 기존의 휴먼주체에 입각해 설명되지 않는다.

이에 본 연구는 크게 두 가지 문제에 집중하고 있다하나는 이불의 작품에서 왜 여성 신체가 괴물(혹은 사이보그)로 귀결되는가이고다른 하나는 이 시대의 맥락에서 그녀의 괴물이 사이보그와 더불어 어떤 문화적 재현의 정치학을 갖는가이다이를 위해 나는 서구 역사 안에서 계속 반복되어 온 괴물과 여성의 연관성을 살펴봄과 동시에최근(1990년대 이후)에 문화이론에서 자주 등장하고 있는 괴물의 포스트모던 혹은 포스트휴먼적 의미를 살펴봄으로써 이불의 작업에 대한 정당성을 찾고자 한다.

이불의 괴물과 사이보그 형상들을 이해하기 위해우선 여성의 몸에 대한 기존의 왜곡된 사유방식과 재현 및 기술(記述)을 비판하고 남성적 텍스트와 이데올로기를 극복해온Feminist 이론들에 기대면서더 나아가 그것들이 포스트휴머니즘 담론 안에서 설명될 수 있는가를 살펴본다여성과 기술과 신체의 관계는 Donna Haraway사이보그 선언문이래로 Judy Wajcman, Sandra Harding, and Anne Marie Balsamo 같은 사이보그 페미니스트들을 통해 통찰력 있게 다루어져왔다그들은 1990년대 테크놀로지의 발달에 상응하면서 사이버 공간과 정보 테크놀로지를 접하는 여성 몸의 변화와 인식론적이고 심리적인 변화에 주목해왔다본 연구는 그러한 견해들을 기반으로 하되여성신체와 기술의 관계에서 생산되는 다양한 재현의 문제를 포스트휴먼의 관점에서 다루어 온 Kim Toffoletti, Judith Halberstam and Ira Livingston, and Elaine L. Graham의 논점도 가져오고 있다.

 


 

위 글은 이화인문과학원 탈경계인문학 연구단 제93회 콜로키움에서 전혜숙 선생님이 발표하신 논문의 요지 글입니다.

첨부파일첨부파일:

연구활동 게시판 목록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수 파일
공지 제 151회 이화인문과학원 콜로키움 안내 (5/10) eih 2024-05-07 135 -
공지 [채용공고] 연구교수 채용 공고( ~ 5.1.(수) 16:00) eih 2024-04-24 303 -
공지 [이화인문과학원 국제학술대회] 에코-테크네 인문학의 응답 : 확장된 생태학을 위한 시나리오들 eih 2024-03-20 600 -
34 과학지식과 종교지식의 교차공간  강지연 2017-10-19 216 파일아이콘
33 헤르마프로디티즘을 통한 지식에 대한 성찰 울리케 드래스너의 『지참금』을 중심으로  강지연 2017-10-19 389 파일아이콘
32 『어느 섬의 가능성』 혹은 ‘잃어버린 몸을 찾아서’ -포스트휴먼 주체와 몸 -  강지연 2017-10-19 183 파일아이콘
31 여성, 신체, 그리고 포스트휴머니즘 이불의 사이보그와 몬스터 연구  강지연 2017-10-19 209 파일아이콘
30 새로운 ‘통섭’의 길은 가능한가  강지연 2017-10-19 158 파일아이콘
29 영웅 서사의 번역과 구국을 위한 주체적 모색 이태리 통일 영웅의 이야기를 중심으로  강지연 2017-10-19 165 파일아이콘
28 20세기 초 최남선의 『로빈슨크루소』 번역과 '세계적 지식'과의 호흡  강지연 2017-10-19 143 파일아이콘
27 진화론의 발생 『프랑켄슈타인』과 『지킬박사와 하이드』 사이  강지연 2017-10-19 158 파일아이콘
26 포스트휴먼 시대를 위한 새로운 미학의 가능성: 시몽동의 기술미학  강지연 2017-10-19 132 파일아이콘
25 포스트휴먼 도시: 청계천의 생태 복원 담론  강지연 2017-10-19 226 파일아이콘
24 포스트휴먼을 꿈꾸는 냉소주의의 딜레마 : 미셸 웰벡의 『어느 섬의 가능성』  강지연 2017-10-19 160 파일아이콘
23 포스트휴먼 조건과 문학적 상상력  강지연 2017-10-19 140 파일아이콘
22 자연과학 시대의 이야기와 인문학  강지연 2017-10-19 149 파일아이콘
21 제25회 김달진문학상 수상-김진희선생님  강지연 2017-10-19 177 파일아이콘
20 선교사 리하르트 빌헬름의 중국관에 대한 재고찰  강지연 2017-10-19 194 파일아이콘
처음 이전 다음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