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활동
글번호
12549408
일 자
17.10.19
조회수
328
글쓴이
강지연
포스트휴먼을 꿈꾸는 냉소주의의 딜레마 : 미셸 웰벡의 『어느 섬의 가능성』


2014.06.23


_오영주

 

 

미셸 웰벡(1958- )소립자(1998)와 어느 섬의 가능성(2004)은 사회풍속 소설의 전통을 충실히 따르면서 과학기술 발전을 근거로 미래사회를 예측하는 과학픽션을 가미한 sf(speculative fiction) 소설로 분류될 수 있다우리가 두 소설에서 주목한 것은에필로그에서 과 같은 포스트휴먼의 도래를 알리는소립자와 달리 어느 섬의 가능성에서 신인류의 세계는 천국 같은 지옥지옥 같은 천국로 제시된다는 점이다포스트휴먼 유토피아에서 디스토피아로의 이러한 전환을 어떻게 설명할 수 있을까우선이야기 구성의 차원에서 살펴볼 수 있다그런데 유전공학에 의한 웰벡의 포스트휴먼 사회의 구상이 유토피아에서 디스토피아로 선회한 까닭은 있을 법함’ 미학의 요청 외에도보다 근본적으로는 슬로터다이크가 냉소적 이성이라 부른 어떤 정신의 특성에 있다고 여겨진다.   본 연구를 통해 우리는, 어느 섬의 가능성이 포스트휴먼에 대한 기대와 두려움 사이에서 분열된 오늘날의 복잡한 정신들, ‘우리 시대의 시대정신’ 냉소주의가 포스트휴먼을 꿈꾸는 방식과 딜레마를 인물의 차원작품의 차원작품 생산의 차원에서 보여주고 있음을 밝히고자 한다.

 


 

위 글은 이화인문과학원 탈경계인문학 연구단 제87회 콜로키움에서 오영주 선생님이 발표하신 논문의 요지 글입니다

첨부파일첨부파일:

연구활동 게시판 목록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수 파일
공지 (~3/22(토)까지로 연장) 『탈경계인문학』(KCI 등재학술지) 제 18권 제1호 논문 모집 eih 2025-02-11 2599 파일아이콘
36 윌리엄 깁슨의 사이버스페이스와 포스트휴먼  강지연 2017-10-19 477 파일아이콘
35 에머슨의 자연 19세기 미국의 자연관을 통해 본 생태주의적 사유  강지연 2017-10-19 331 파일아이콘
34 과학지식과 종교지식의 교차공간  강지연 2017-10-19 523 파일아이콘
33 헤르마프로디티즘을 통한 지식에 대한 성찰 울리케 드래스너의 『지참금』을 중심으로  강지연 2017-10-19 589 파일아이콘
32 『어느 섬의 가능성』 혹은 ‘잃어버린 몸을 찾아서’ -포스트휴먼 주체와 몸 -  강지연 2017-10-19 327 파일아이콘
31 여성, 신체, 그리고 포스트휴머니즘 이불의 사이보그와 몬스터 연구  강지연 2017-10-19 406 파일아이콘
30 새로운 ‘통섭’의 길은 가능한가  강지연 2017-10-19 338 파일아이콘
29 영웅 서사의 번역과 구국을 위한 주체적 모색 이태리 통일 영웅의 이야기를 중심으로  강지연 2017-10-19 326 파일아이콘
28 20세기 초 최남선의 『로빈슨크루소』 번역과 '세계적 지식'과의 호흡  강지연 2017-10-19 295 파일아이콘
27 진화론의 발생 『프랑켄슈타인』과 『지킬박사와 하이드』 사이  강지연 2017-10-19 401 파일아이콘
26 포스트휴먼 시대를 위한 새로운 미학의 가능성: 시몽동의 기술미학  강지연 2017-10-19 308 파일아이콘
25 포스트휴먼 도시: 청계천의 생태 복원 담론  강지연 2017-10-19 412 파일아이콘
24 포스트휴먼을 꿈꾸는 냉소주의의 딜레마 : 미셸 웰벡의 『어느 섬의 가능성』  강지연 2017-10-19 327 파일아이콘
23 포스트휴먼 조건과 문학적 상상력  강지연 2017-10-19 282 파일아이콘
22 자연과학 시대의 이야기와 인문학  강지연 2017-10-19 304 파일아이콘
처음 이전 다음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