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활동
글번호
12549416
일 자
17.10.19
조회수
226
글쓴이
강지연
포스트휴먼 도시: 청계천의 생태 복원 담론

2014.10.07



_김애령

 

         르페브르(Henry Lefebvre)는 공간 연구의 개념들을 제시하면서 공간 재현(representations of space)”과 재현 공간(representational spaces)”을 구분한다. “공간 재현은 개념화된 공간”, 과학자들도시 계획자들테크노크라트들엔지니어들의 공간을 의미한다반면 재현 공간은 연계된 이미지들과 상징들을 통해 체험(lived) 공간”, 주민들과 이용자들의 공간몇몇 예술가들소수의 작가들과 철학자들의 공간을 말한다.(Lefebvre, 1991) 계획하고 설계하는 자들의 말끔히 구획된 도시는 그 안을 혼탁하게 채우는 몸들이 체험하며 살아가는 혼종화된 도시와 같지 않다.(그로스, 2012)

 

         청계천의 복원은 공간 재현의 산물이다청계천 복원을 지지하고 기획한 공간 재현의 핵심어는 생태 복원이었다도심의 하천을 되살려냄으로써 도시 생태계를 회복한다는 기획이 이 공간 재현의 핵심 아이디어였다그러나 2005년 10월 1일부터 다시 흐르기 시작한 청계천은 전기 모터에 의해 일정량의 물을 모아 소독하고 정화해서 흘려보내는 기계이다. 2년 3개월이 걸린 복원 공사는 총 5.84km 길이의 도로면을 제거하여 개천을 드러내고, 22개의 다리를 조성하면서 조경을 정비했다그러나 47년 만에 다시 열린 물길은 자연적인’ 하천이 아니다수질 오염을 막기 위해 깊이 40cm를 유지해야하고그를 위해 한강물과 지하수를 2급수로 정수해서 하루 12만 톤씩 순환시켜 물길을 유지한다순환 모터를 돌리는데 소요되는 연간 전기료만 10억 원(약 100만 달러)이다그 물길 안에는 (2012년 5월 현재총 24종의물고기가 살고 있고(변화근, 2013), 수변에는 (2008년 현재총 444종의다양한 식물들이 자라고 있다.(김형국·구본학, 2010)

 

           청계천이 회복했다고 주장하는 이 도심의 자연은 어떤 자연인가그것은 비판자들의 조롱처럼 거세당한 자연”, “자연을 위조한 인공물인가하루 12만 톤의 정수된 물을 순환시키는 모터를 장착한 청계천은 기계인가청계천의 수생 생태계는 어떻게 평가되어야 하는가우리는 해러웨이(Haraway)를 따라청계천의 참갈겨니(Zacco koreanus)를 자연과 문화가 내파된 이후의 자연인 자연TM이라고 규정해야하지 않을까이 발표에서 보여주고 싶은 것은, “생태 복원이라는 공간 재현의 개념과 복원된 재현 공간” 청계천 사이의 간극이다. ‘포스트휴먼’ 논의가 이 간극을 간파할 수 있는 관점을 제공한다나아가 포스트휴먼 담론이 이전의 모던포스트모던’ 담론과는 달리 자연과 문화의 이분법이 내파된오늘날의 도시 생태계를 조망할 수 있는 새로운 관점을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을 밝혀보려 한다.

 


 

위 글은 이화인문과학원 탈경계인문학 연구단 제88회 콜로키움에서 김애령 선생님이 발표하신 논문의 요지 글입니다

첨부파일첨부파일:

연구활동 게시판 목록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수 파일
공지 제 151회 이화인문과학원 콜로키움 안내 (5/10) eih 2024-05-07 135 -
공지 [채용공고] 연구교수 채용 공고( ~ 5.1.(수) 16:00) eih 2024-04-24 303 -
공지 [이화인문과학원 국제학술대회] 에코-테크네 인문학의 응답 : 확장된 생태학을 위한 시나리오들 eih 2024-03-20 599 -
34 과학지식과 종교지식의 교차공간  강지연 2017-10-19 215 파일아이콘
33 헤르마프로디티즘을 통한 지식에 대한 성찰 울리케 드래스너의 『지참금』을 중심으로  강지연 2017-10-19 389 파일아이콘
32 『어느 섬의 가능성』 혹은 ‘잃어버린 몸을 찾아서’ -포스트휴먼 주체와 몸 -  강지연 2017-10-19 183 파일아이콘
31 여성, 신체, 그리고 포스트휴머니즘 이불의 사이보그와 몬스터 연구  강지연 2017-10-19 209 파일아이콘
30 새로운 ‘통섭’의 길은 가능한가  강지연 2017-10-19 157 파일아이콘
29 영웅 서사의 번역과 구국을 위한 주체적 모색 이태리 통일 영웅의 이야기를 중심으로  강지연 2017-10-19 164 파일아이콘
28 20세기 초 최남선의 『로빈슨크루소』 번역과 '세계적 지식'과의 호흡  강지연 2017-10-19 142 파일아이콘
27 진화론의 발생 『프랑켄슈타인』과 『지킬박사와 하이드』 사이  강지연 2017-10-19 158 파일아이콘
26 포스트휴먼 시대를 위한 새로운 미학의 가능성: 시몽동의 기술미학  강지연 2017-10-19 132 파일아이콘
25 포스트휴먼 도시: 청계천의 생태 복원 담론  강지연 2017-10-19 225 파일아이콘
24 포스트휴먼을 꿈꾸는 냉소주의의 딜레마 : 미셸 웰벡의 『어느 섬의 가능성』  강지연 2017-10-19 160 파일아이콘
23 포스트휴먼 조건과 문학적 상상력  강지연 2017-10-19 139 파일아이콘
22 자연과학 시대의 이야기와 인문학  강지연 2017-10-19 149 파일아이콘
21 제25회 김달진문학상 수상-김진희선생님  강지연 2017-10-19 177 파일아이콘
20 선교사 리하르트 빌헬름의 중국관에 대한 재고찰  강지연 2017-10-19 193 파일아이콘
처음 이전 다음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