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활동
글번호
12549373
일 자
17.10.19
조회수
150
글쓴이
강지연
자연과학 시대의 이야기와 인문학

2014.06.23


_김연수


      탈경계 지식 형성 연구부에서 근대를 지식의 관점에서 재사유하면서 한국인문학의 미래 지형을 모색하고자 한다동아시아 지식팀에서는 한국과 동아시아의 근대를글로컬 지식팀에서는 서구의 근대를 지식지식형성지식의 변이’ 관점에서 고찰한다. 3단계 아젠다 수행을 위하여 아래와 같은 질문을 던지지 않을 수 없다.

 

1) 서구의 근대를 언제로 상정할 것이며서구의 근대 지식 형성변이 등을 고찰하려면 무엇을 대상으로 하여야 서구의 근대 문제를 효과적으로 성찰할 수 있을까구체적으로 무엇에 초점을 맞출 것인가?

2) 또한 이러한 질문과 함께 풀어가야 할 우리의 과제는 2단계까지 주로 관심으로 쏟았고 현재에도 탈경계 지식형성 연구부의 방법론즉 동아시아 지식팀과 글로컬 지식팀의 연구를 매개해줄 수 있는 방법론으로 연구를 수행하고 있는 비교와 번역의 문제이다서구의 근대 지식문제에 연구의 방점을 찍으면서 동시에 비교와 번역이라는 방법론적인 연구 과제를 수행하는 근거도 함께 논리적으로 설명해낼 수 있는 공동연구 전체의 플롯이 필요하지 않을까?

 

오늘 이 자리에서는 우선 질문 1)에 집중해서 생각해보고자 한다구체적으로 이 문제를 사유하는 데에 도움이 되는 독일 소설이 있다바로 Daniel Kehlman(1975~)이라는 젊은 작가를 세계적인 작가로 만들어준 그의 소설 <세계를 재다 Die Vermessung der Welt>(2005) 이다이 작품을 한마디로 소개하라고 한다면 ‘18세기 독일 정신사의 베일을 벗기는 작품이라고 할 수 있겠다역사적인 두 인물 가우스와 훔볼트의 전기를 다루면서 18세기 자연과학 담론계몽 철학적 의식그리고 다시 지식인들의 네트워크를 보여주고 있다이 두 학자의 이야기는 유럽 제국주의 역사나폴레옹의 유럽 정복에 저항하며 민족의식을 키워가고 있는 독일 프로이센의 프리드리히 빌헬름 통치시기를 배경으로 하고 있다이 작품에 대해 자세히 소개하기 이전에 왜 이 작품을 통해서 위의 질문1)을 구체적으로 생각해보려고 하는지 그 이유혹은 이 질문의 배경에 대해서 먼저 간략하게나마 언급하고자 한다.

  


 

위 글은 이화인문과학원 탈경계인문학 연구단 제87회 콜로키움에서 김연수 선생님이 발표하신 논문의 요지 글입니다

첨부파일첨부파일:

연구활동 게시판 목록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수 파일
공지 제 151회 이화인문과학원 콜로키움 안내 (5/10) eih 2024-05-07 135 -
공지 [채용공고] 연구교수 채용 공고( ~ 5.1.(수) 16:00) eih 2024-04-24 304 -
공지 [이화인문과학원 국제학술대회] 에코-테크네 인문학의 응답 : 확장된 생태학을 위한 시나리오들 eih 2024-03-20 601 -
34 과학지식과 종교지식의 교차공간  강지연 2017-10-19 216 파일아이콘
33 헤르마프로디티즘을 통한 지식에 대한 성찰 울리케 드래스너의 『지참금』을 중심으로  강지연 2017-10-19 389 파일아이콘
32 『어느 섬의 가능성』 혹은 ‘잃어버린 몸을 찾아서’ -포스트휴먼 주체와 몸 -  강지연 2017-10-19 183 파일아이콘
31 여성, 신체, 그리고 포스트휴머니즘 이불의 사이보그와 몬스터 연구  강지연 2017-10-19 210 파일아이콘
30 새로운 ‘통섭’의 길은 가능한가  강지연 2017-10-19 158 파일아이콘
29 영웅 서사의 번역과 구국을 위한 주체적 모색 이태리 통일 영웅의 이야기를 중심으로  강지연 2017-10-19 165 파일아이콘
28 20세기 초 최남선의 『로빈슨크루소』 번역과 '세계적 지식'과의 호흡  강지연 2017-10-19 143 파일아이콘
27 진화론의 발생 『프랑켄슈타인』과 『지킬박사와 하이드』 사이  강지연 2017-10-19 159 파일아이콘
26 포스트휴먼 시대를 위한 새로운 미학의 가능성: 시몽동의 기술미학  강지연 2017-10-19 132 파일아이콘
25 포스트휴먼 도시: 청계천의 생태 복원 담론  강지연 2017-10-19 226 파일아이콘
24 포스트휴먼을 꿈꾸는 냉소주의의 딜레마 : 미셸 웰벡의 『어느 섬의 가능성』  강지연 2017-10-19 161 파일아이콘
23 포스트휴먼 조건과 문학적 상상력  강지연 2017-10-19 140 파일아이콘
22 자연과학 시대의 이야기와 인문학  강지연 2017-10-19 149 파일아이콘
21 제25회 김달진문학상 수상-김진희선생님  강지연 2017-10-19 178 파일아이콘
20 선교사 리하르트 빌헬름의 중국관에 대한 재고찰  강지연 2017-10-19 194 파일아이콘
처음 이전 다음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