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화인문과학원의 ‘탈경계 인문학’ 연구는 세계화 시대에 지구상에 존재하는 각종 ‘경계’ 넘기 혹은 가로지르기 현상들을 인문학적으로 재성찰하는 한편, ‘트랜스’(trans) 현상이 갖는 잠재력을 적극적으로 조명함으로써 현 사회와 문화의 변동에 적극적으로 대처하는 인문학의 새로운 지평을 제시하려는 목표를 갖고 있다.
10년으로 기획된 ‘탈경계 인문학’ 연구의 1단계 3차년은 아래와 같이 설정되어 있다.
- 1차년 : 탈경계 문화현상과 새로운 인문학의 가능성 모색 (2007.11-2008.10)
- 2차년 : 인문학텍스트로서 탈경계 문화현상의 심층연구 (2008.11-2009.10)
- 3차년 : 사회적 활용을 위한 탈경계 인문학 모델 구축 (2009.11-2010.10)
이런 연구주제를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최근의 연구 동향은 다음 세 가지로 진행 중이다.
첫째, 경계/ 탈경계의 개념 연구 및 이론적 접근 시도
이 연구는 아젠다의 기초를 이루는 ‘경계’를 둘러싼 현 세계의 사회 문화 현상의 규명을 위한 기본 개념이라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고 있다. 또한 현 사회 속에서 문화의 경계 및 탈경계 현상을 포착함으로써 각기 상이한 문화 이해를 바탕으로 하고 있는 다문화주의, 상호문화성, 초문화성 개념에 대한 논쟁적인 연구의 이론적 기초를 제안하고 있다.
둘째, 세계, 인간, 매체를 구성하고 있는 각종 경계들에 대한 비판적 검토 및 담론 제시
이 연구는 현재 ‘민족/국가’, ‘남성/여성’, ‘다수자/소수자’ 문제에 집중하여, 각각의 생성 구조와 그 사회 문화적 재현에 대한 연구로 진행되면서 심화된 주제로 발전하고 있다. 민족/국가의 경계 연구는 지역화의 위력이 ‘민족’이라는 키워드로 대다수의 사람들에게 작용하는 민족 이데올로기로의 차원에서 논의되고 있다. 남성/여성의 경계 연구는 젠더 패러다임의 도입을 통해 주체와 타자의 경계를 비판적으로 성찰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는데, 이런 관점은 다수자/소수자의 경계 연구의 토대를 제공하고 있다.
셋째, 탈경계적 현상 분석을 토대로 새로운 인문학 연구의 방법론 제시
이 연구는 탈경계적 사회ㆍ문화 현상, 즉 민족/국가의 경계를 넘나드는 노동력의 이동과 ‘이주’현상을 문제 삼으며 지구화라는 현실적 맥락에 젠더 질서가 반영, 재생산되고 있음을 밝히고 있다. 또한 재현의 차원이나 매체에 있어서의 탈경계 현상 연구에도 주목하고 있는데, 전통적인 재현의 방법론을 넘어 새로운 테크놀로지를 기반으로 하는 매체에 대한 분석, 매체 간 경계 넘기에 대한 연구 등을 진행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