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화여자대학교 이화인문과학원homehomesitemapewha

GNB바로가기


비주얼통합적인 문제해결능력을 갖춘 우수 전문 여성리더를 양성합니다. 000기관


서적
에코테크네 신체와 생태님의 사진입니다.
제목 에코테크네 신체와 생태
저자 / 역자 오윤호, 김경미, 김선희, 김애령, 김진희, 송태현, 신상규, 이경란, 이정, 전혜숙
출판사 선인
출판년도 2021년 5월 31일
총서명 에코테크네 학술총서 01
책소개
인류 문명 이후 인간적인 것과 동식물적인 것, 그리고 기계적인 것 사이의 경계는 결코 단일하게 획정된 것이 아니며, 이 셋은 언제나 상호 간에 침투하고 간섭을 일으켜 왔다. 단적으로 정신분석학이 다룬 많은 꿈과 예술가들의 착란에는 많은 동물들이 나타나 자신이 인간의 무의식이라고 말하고, 첨단 과학기술로 재구성된 인공지능 혹은 포스트휴먼은 그 기계의 눈으로 인간을 응시한다. 이런 상황에서 인간이 얼마만큼 동식물 그리고 기계와 이미 뒤섞여 있으며, 그것들과 어떻게 유기적 관계를 유지하고 있는지 새롭게 논의해야 한다. 우리는 이미 도래한 그리고 도래할 에코테크네 인문학 시대를 마주하고 있다.
그렇다면 왜 신체와 생태인가? 신체와 생태에 대해 사유한다는 것은, 우리 시대에 과학과 예술, 인문학이 포착할 수 있는 흩어지고 고립된 신체들과 생태들을 분석하는 것을 넘어선다. 에코테크네 신체와 생명에 대해 생각한다는 것, 그 신체와 생태를 따라가며 생각한다는 것은 다양하게 뻗어있는 자연과 기술, 문명의 선들을 따라 인간이 의존하고 연대하고 있는 지구 위의 존재들에 대한 탈인간중심적 이해를 도모하고, 지속가능한 변화와 공존의 윤리를 사유하고 지향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 책은 연구의 출발점을 신체와 생태로 설정하고 학제 간 연구를 통해 인간이 신체에 대해 어떻게 생각해 왔으며, 인간과 자연, 인간과 기술의 관계를 어떻게 이해해 왔는가를 3부로 나누어 구성하였다. 1부 새로운 신체 개념의 탐색에서는 동양과 서양, 고전과 현대를 넘나들면서 인간-자연-기술의 관계를 재설정하고자 하는 포스트휴먼 담론과 동아시아 유학자의 인체와 심 이론을 연구하고 있다. 2부 신체의 교란과 변신에서는 SF, 미술, 서사 재현을 통해 드러나는 포스트휴먼 신체와 변신의 문제를 깊이 있게 다루었고, 3부 생태의 재발견에서는 문학과 예술 속에 등장하는 생태학적 상상력과 ‘병균’과 ‘생명’에 대한 근대 생명 담론을 분석하면서 기존 생태주의의 관점을 심화·확장하고 있다.

목차
■ 에코테크네 인문학으로의 전회

1부 새로운 신체 개념의 탐색

|로지 브라이도티의 포스트휴먼:포스트휴먼 주체와 비판적 포스트휴머니즘을 향하여 _ 이경란
1. 포스트휴먼: ‘인간 이후의 인간’?
2. 포스트-휴먼, 포스트-휴머니즘, 포스트-인간종중심주의
3. 브라이도티의 포스트휴먼 주체: 대문자 인간(“Man”)을 너머 횡단적, 관계적 주체성으로
4. 동물-되기, 지구-되기, 기계-되기로서의 포스트휴먼
5. 비판적 포스트휴머니즘과 포스트휴먼 주체성

|포스트휴머니즘의 조건과 담론의 지형 _ 신상규
1. 포스트휴먼이란?
2. 포스트휴머니즘의 담론들
3. 포스트휴먼 담론의 지향
4. 새로운 서사와 관계의 가능성
5. 우리는 누구인가?

|두 경로, 하나의 지향: 서학을 통한 다산의 인체 이론과 심 이론의 재구성 _ 김선희
1. 들어가는 말
2. 다산의 의학 이론과 서학
3. 생양, 지각, 의리지심에서 생활, 동각, 도의지심으로
4. 「서국의」와 「뇌론」 사이
5. 기질과 도덕성의 거리
6. 맺는 말

2부 신체의 교란과 변신

|변형의 시도: 제임스 팁트리 주니어의 글쓰기 양식과 페미니스트 SF _ 김애령
1. 들어가는 말
2. SF 장르와 젠더
3. ‘제임스 팁트리 주니어’는 누구인가?
4. ‘젠더 하기’로서의 글쓰기: 팁트리 주니어와 라쿠나 셸던의 SF
5. 글쓰기를 통한 변형의 시도
6. 맺는 말

|인류세의 미술: 인간과 생명 개념의 변화 _ 전혜숙
1. 기술 변화 속의 인간
2. 근대적 주체에서 포스트휴먼으로
1) 우리는 어떻게 포스트휴먼이 되었는가: 인간과 기술의 관계
2) 포스트휴머니즘과 트랜스휴머니즘
3. 생명과 자연을 보는 관점의 변화
1) 기계론적 생명이해의 극복과 새로운 생명개념들의 등장
2) ‘포스트네이처’와 ‘자연의 해방’
3) 자본이 생산한 인공자연의 모습
4. 인류세의 변화를 탐색하는 미술들
1) 포스트휴먼적 탈경계: 공존하는 인간과 기계
2) 인간과 미생물의 협업
3) 미술로 표현된 생태윤리

|변신 모티프와 ‘기계’와 ‘진화’라는 조건 _ 오윤호
1. 변신을 욕망하는 인간 혹은 기계
2. ‘완벽’한 기계 인간이 되는 꿈
3. 진화 종으로서의 포스트휴먼
4. 포스트휴먼이 꾸는 인간이라는 꿈

3부 생태의 재발견

|문학과 심층생태론의 만남: 장 지오노의 [언덕(Colline)]에 나타난 생태 의식 연구 _ 송태현
1. 지오노, 생태학 이전의 생태 작가
2. 공드랑의 도마뱀 살해와 알도 레오폴드의 늑대 살해: 인간중심주의 비판
3. ‘만물의 주인’과 가이아: 유기체적 자연관과 자연의 복수
4. 지오노의 생태 의식

|한국근대문학과 ‘생명’의 문제:20세기 초 일본 생명주의 수용과 김억의 문학사상 _ 김진희
1. 20세기 초 ‘생명’과 한국 근대문학
2. 근대예술과 창조적 자아의 발견
1) 베르그송 철학의 일본 수용과 생명 창조로서의 예술
2) 1910년대 김억 문학예술론에서의 ‘생명’
3. 생명 인식과 근대문학예술론의 탐구
1) 예술가-창조자로서의 개성과 고뇌
2) 예술과 인생의 창조성에 대한 인식
4. 생명-예술의 독립적 가치와 의의
5. 김억 문학의 초석으로서의 ‘생명’

|병균의 사회 생태학: 제국 신민의 특권을 노린 장티푸스 _ 이정
1. 위생적 남촌의 치솟는 일본인 장티푸스
1) 식민지적 위생수준
2) 식민지적 의료수준
3) 비위생적 조선인과의 접촉
2. 의학지식의 한계와 정치적 침묵
1) 의학 지식의 한계
2) 열등할 수 없는 제국 신민의 몸
3) 위생 지식과 위생적 몸의 거리
3. 제국적 혜택, 특권적 비위생

|생태비평의 관점에서 본 <호질> _ 김경미1. 생태비평의 관점과
<호질> 2. 플롯을 통해 본
<호질> 의 이질성3. 조선의 생태 인식에서 본
<호질> 4. 생태비평의 관점에서 본
<호질> 의 의미■ 논문출처 ■ 찾아보기 ■ 저자소개

총서

  • >
  • 출판/정보 >
  • 총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