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주메뉴바로가기
부메뉴바로가기
GNB바로가기
EWHA LOGIN
소개
연구원 소개
원장 인사말
사람들
협력기관
오시는 길
학술연구
학술대회
콜로키움
세미나
연구활동
과제수행
대학중점연구소지원사업
인문한국(HK)지원사업
인문프로젝트 선
교육
학부교과목
대학원 협동과정
대중강좌
기획강연
출판/정보
총서
학술지
문헌자료실 소장자료
탈경계문화경험 아카이브
알림
공지사항
언론보도
학술연구
학술대회
콜로키움
세미나
연구활동
검색조건 선택
검색조건 선택
주제
발표자
링크
검색어 입력
제 154회 콜로키움
발표자
이현주
일시
2025년 6월 18일(수) 오후 5시-6시 30분
장소
이화여자대학교 포스코관 151호
안녕하세요. 이화인문과학원입니다.
이화인문과학원에서 제 154회 콜로키움을 개최합니다. 이번 콜로키움은 본원 연구교수님이신 이현주 교수님의 강연으로 진행될 예정이며 해당 주제에 관심이 있으신 모든 교내 구성원 분들의 참여가 가능하오니 많은 관심과 참여 부탁 드립니다.
■ 강연 소개
오늘날 우리는 신자유주의 시대를 지나, 다시 냉전 논리와 차이의 이데올로기가 재부상하는 퇴행적 복귀의 시대로 접어들고 있다. 이 발표는 이러한 전환기에, 개인과 국가 또는 민족 정체성을 동일시하는 언어의 수행성를 중심에 두기보다는, 그 주변 영역에서 어떤 개인적, 공동체적 상상력이 가능한지 아시아계 미국 작가들의 퍼포먼스를 통해 탐색한다. 이브 코소프스키 세지윅의 ‘주변수행’ 개념을 이론적 토대로 삼아, 베트남계 미국인 멀티미디어 작가 딘 큐 레(Dinh Q. Lê)의 설치미술 Light and Belief: Voices and Sketches of Life from the Vietnam War와 한국계 미국인 극작가 영진 리(Young Jean Lee)의 브로드웨이 작품 Straight White Men을 분석한다. 이 두 작품은 신자유주의 이후 재구성되는 민족성과 수행성, 그리고 차이를 넘어서는 예술적, 정치적 상상력의 가능성을 사유하게 한다.
■ 발표 : 이현주 (이화인문과학원 연구교수)
■ 연사 이력
뉴욕대학교 공연학 박사(PhD in Performance Studies)
NYU Tisch School of the Arts초빙학자, Mount Holyoke College여성학연구센터 연구원
논문:Cultural Critique,South Central Review,Criticism: A Quarterly for Literature and the Arts외 다수의 저널.
■ 일시 / 장소 : 2025. 6. 18. 17:00-18:30 / 포스코관 151호
제 153회 콜로키움
발표자
안미혜
일시
2025년 5월 21일(수) 오후 5시-6시 30분
장소
이화여자대학교 포스코관 151호
제 153회 콜로키움〈AI와 어떤 언어적 인공물을 만들 것인가〉
AI 시대의 글쓰기는 어떻게 변화하는가? 이 강연은 챗GPT와 같은 AI 언어 모델이 글쓰기의 본질을 재고하게 하는 현시점, 단순한 기술 활용을 넘어 새로운 언어적 구성물의 탐색을 통한 지식 생산 가능성을 논의한다. 먼저 언어 모델의 기초를 살펴본 뒤, 거대 언어 모델의 재형상화를 시도하는 일련의 텍스트 생성 실험을 소개한다. 이 과정에서 미셸 세르의 철학에 기대어 매듭짓기(knotting)와 기식하기(parasitizing)라는 쓰기의 새로운 ‘이미지’를 제안한다. 거대 언어 모델 외에도 알파폴드(AlphaFold)를 통한 시적 인공물 생성 실험을 소개한다. 이를 통해 쓰기의 규범성에 갇히지 않으면서도 세상의 다양한 정보와 지식을 횡단하고 경험할 수 있는 언어적 표현의 가능성을 고민한다.
■ 발표 | 안미혜 (이화인문과학원 연구교수)
■ 연사 이력
- 취리히 연방 공과대학교 건축학 박사 (Dr. sc. in Computer Aided Architectural Design)
- 저서
“Architecture and Naturing Affairs” (Eds. Mihye An and Ludger Hovestadt), Birkhäuser Basel, 2020. (https://naturing-affairs.arch.ethz.ch/)
“Atlas of Fantastic Infrastructures: an intimate look at media architecture”, Birkhäuser Basel, 2016.
■ 일시 | 2025. 5. 21. 17:00 ~ 18:30
■ 장소 | 이화여자대학교 포스코관 151호
■ 공동개최 | 이화인문과학원, 포스트휴먼 융합인문학
제 152회 콜로키움
발표자
Sealing Cheng
일시
2025년 4월 16일(수) 오후 5시-6시 30분
장소
이화여자대학교 ECC B155호
제 152회 콜로키움 <사랑, 세계 만들기의 방식: 홍콩의 아프리카 난민 신청자의 인종, 계급 그리고 결혼 안에서의 경계 Love as a Mode of World-Making: Race, Class, and Borders in Marriages for African Asylum-Seekers in Hong Kong>
This paper discusses how inequalities of race and class intersect with the exclusionary border regime in the lives of two asylum-seeking men. It chronicles over a 12-year period how the two African men negotiate with the gendered demands of courtship, marriage, and parenthood in the context of a racial-border regime increasingly embedded in the imagined Chinese nation. With particular reference to their marriage and family lives – one with a local Hong Kong resident, and one with a fellow asylum-seeker, the analysis examines how the two couples navigate the violence of the border regime in different ways. It makes the argument that coping with the precarity of being an “illegal immigrant,” of detention, and deportation, everyday practices of care could be an anchoring device to assure asylum-seekers of a place in the world. However, care practices’ potential for world-making against the odds require particular reconfiguration of ideas about self, gender, and family that are not often available or desirable. How is intimacy carved out of the rugged terrain of familial objection, financial precarity, and immigration limbo? What are the potential of everyday care practices to reconfigure, over time, gender norms and racial stereotypes in the family and the local community? The “success” and the “failure” of the two couples will also be illuminate on how our intimate lives are necessarily about building possible futures within broader structures of race, class, and borders.
■ 발표 | Sealing Cheng (Chinese University of Hong Kong Professor of Anthropology)
■ 일시 | 2025. 4. 16. 17:00 ~ 18:30
■ 장소 | 이화여자대학교 ECC B155호
■ 공동개최 | 이화인문과학원, 포스트휴먼 융합인문학
제 151회 콜로키움
발표자
오은정
일시
2024년 5월 10일(금) 오후 4시-6시
장소
이화여자대학교 포스코관 360호
제 151회 <인문주의 전통과 에코테크네 인문학> 콜로키움
■ 제목: 후쿠시마, 부흥의 헤테로토피아: 인프라와 감정의 문화정치
■ 발표: 오은정 (강원대학교 문화인류학과 교수)
■ 일시: 2024년 5월 10일(금) 오후 4시-6시
■ 장소: 이화여자대학교 포스코관 360호
■ 주 최 : 이화인문과학원
제 150회 콜로키움
발표자
이동후
일시
2024년 4월 12일(금) 오후 4시-6시
장소
이화여자대학교 포스코관 360호
제 150회 <인문주의 전통과 에코테크네 인문학>콜로키움
■ 제 목: 미디어 생태학적 탐구에 관하여
■ 발 표: 이동후 (인천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
■ 일 시: 2024년 4월 12일(금) 4-6시
■ 장 소: 이화여자대학교 포스코관 360호
■ 주 최 : 이화인문과학원
제 149회 콜로키움
발표자
이지선
일시
2023년 11월 17일
장소
온라인(Zoom) -https://ewha.zoom.us/j/87588132882 회의 ID: 875 8813 2882 / 오프라인 - 이화여자대학교 포스코관 260호
제 149회 <인문주의 전통과 에코테크네 인문학>콜로키움
■ 제 목: 에스포지토의 면역 사유와 라투르의 행성 사유 그리고 행성 면역의 가능성
■ 발 표: 이지선 (전남대학교 철학과 교수)
■ 일 시: 2023년 11 월 17 일(금) 5-7시
■ 장 소: 온라인(Zoom) -https://ewha.zoom.us/j/87588132882 회의 ID: 875 8813 2882
오프라인 - 이화여자대학교 포스코관 260호
■ 주 최 : 이화인문과학원
최신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다음
끝
콜로키움
홈
>
학술연구
>
콜로키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