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공학교육인증원의 인증기준(KEC2025)은 ‘성과중심교육(outcome-based education)’과 ‘수요지향교육(demanded-driven education)’을 바탕으로 제정되었습니다. 공학인증을 받고자 하는 대학은 교육개시 전 목표를 설정하고, 반드시 이를 검증하며 그 결과를 교육개선에 활용함으로써 교육 수준을 지속적으로 제고해야 합니다. 또한 교육목표 설정 시 교육의 수요자인 학생, 산업체, 국가 및 사회의 요구를 구체적으로 수렴하여야 합니다. 인증기준(KEC2025)을 구성하는 8개 영역은 아래와 같습니다.


한국공학교육인증원의 인증기준 (KEC2025)

기준

구분

내용

기준 1

프로그램 교육목표

프로그램의 특성, 구성원 요구, 측정가능

기준 2

프로그램 학습성과

기술자적 자질과 인문사회적 교양(Soft Skills)에 대한 문서화된 평가 절차

기준 3

교과과정

수학, 기초과학, 전산학, 공학이론, 공학설계, 전문교양

기준 4

학생

평가, 상담, 관찰, 편입생 수용정책, 졸업기준

기준 5

교수진

충분한 교수 수, 전문성, 학생지도, 봉사활동

기준 6

교육환경

대학의 지원, 시설 및 장비, 재정지원, 행정지원 및 교육보조

기준 7

프로그램 개선

개선계획 및 실적, 발전계획, 자료관리

기준 8

전공분야별 인증기준

적용대상이 되는 인증기준 참조

이 가운데 ‘기준2’에 해당하는 학습성과 항목은 아래와 같습니다.


한국공학교육인증원(ABEEK)이 규정하는 학습성과(Program Outcomes: PO)

1)

수학, 기초과학, 공학 및 정보기술 지식을 공학문제 해결에 응용할 수 있는 능력

2)

데이터를 분석하고 주어진 사실이나 가설을 실험을 통하여 확인하고 유효한 결론을 제시할 수 있는 능력

3)

지속가능발전을 위해 전체적인 관점에서 공학문제를 정의하고 창의적인 해법을 도출할 수 있는 능력

4)

공학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최신 정보, 연구 결과, 적절한 도구를 활용할 수 있는 능력

5)

현실적 제한조건을 고려하여 시스템, 요소, 공정 등을 설계할 수 있는 능력

6)

공학문제를 해결하는 프로젝트 팀의 구성원으로서 경제성을 고려하여 프로젝트를 관리하고, 팀 성과에 기여할 수 있는 능력

7)

다양한 환경에서 효과적이고 포용적으로 의사소통할 수 있는 능력

8)

공학적 해결방안이 사회, 경제, 지속가능성, 보건, 안전, 규범, 환경 등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할 수 있는 능력

9)

공학인으로서의 직업윤리와 사회적 책임, 다양성과 포용성을 이해할 수 있는 능력

10)

기술환경 변화에 따른 자기계발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비판적사고 및 자기주도적 평생학습을 수행할 수 있는 능력

본교는 여자 대학으로서의 특성을 반영하기 위해 위의 학습성과에 ‘여성공학도로서 사회공헌 역할에 대한 인식’

이라는 항목을 추가하였습니다.


이화여대에서 추가한 학습성과

여성공헌

여성공학도로서 사회공헌 역할에 대한 인식

인증기준

  • >
  • 공학교육인증 >
  • 인증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