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학부 > 교과과정
구분 |
이수권장 |
학수번호 |
교과목명 |
시간 |
학점 |
|
---|---|---|---|---|---|---|
학년 |
학기 |
|||||
학사학위과정교과목 |
1 1 1 1 |
1 1 1 1 |
21370 21359 21380 21355 |
한국무용실기I 발레실기I 현대무용실기I 무용창작기초 |
3 3 3 3 |
3 3 3 3 |
1 1 1 1 |
2 2 2 2 |
21371 21360 21381 30590 |
한국무용실기II 발레실기II 현대무용실기II 무용창작워크숍 |
3 3 3 3 |
3 3 3 3 |
|
2 2 2 2 2 |
1 1 1 1 1 |
21372 |
한국무용실기III 발레실기III 현대무용실기III 무용교육론 무용교수학습방법 |
3 3 3 3 3 |
3 3 3 3 3 |
|
2 2 2 2 2 |
2 2 2 2 2 |
21373 21362 21383 21368 21377 |
한국무용실기IV 발레실기IV 현대무용실기IV 외국무용사 한국무용사 |
3 3 3 3 3 |
3 3 3 3 3 |
|
3 3 3 3 3 |
1 1 1 1 1 |
21374 21363 21384 21349 34912 |
한국무용고급I 발레고급I 현대무용고급I 무용예술론 무용감상및비평 |
3 3 3 3 3 |
3 3 3 3 3 |
|
3 3 3 3 |
2 2 2 2 |
21375 21364 21385 37170 |
한국무용고급II 발레고급II 현대무용고급II 무용치료및바디컨디셔닝 |
3 3 3 3 3 |
3 3 3 3 3 |
|
4 4 4 4 |
1 1 1 1 |
21376 21365 21386 38889 |
한국무용워크숍 발레워크숍 현대무용워크숍 댄스미디어 |
3 3 3 3 3 |
3 3 3 3 3 |
|
4 4 4 4 |
2 2 2 2 |
21378 21366 21387 37171 |
한국무용레퍼토리 발레레퍼토리 현대무용레퍼토리 무용리더십세미나 |
3 3 3 3 3 |
3 3 3 3 3 |
|
석사학위과정연계교과목 |
|
1 2 |
G10500 G10611 |
채플무용공연워크숍I 채플무용공연워크숍II |
3 3 |
3 3 |
현장실습(인턴십), 창업실습교과목 |
4 4 4 4 |
1 1 2 2 |
37740 37741 37740 37741 |
무용인턴십I 무용인턴십II 무용인턴십I 무용인턴십II |
|
1 1 1 1 |
기타 교과목 (전공선택(교직)) |
3 3 3 |
1 1 2 |
37852 |
무용교과교육론 무용교과논리및논술 무용교과교재연구및지도법 |
3 2 3 |
3 2 3 |
[ 교과목내용 ]
21370 : 한국무용실기I(Korean Dance Practice I) |
---|
가슴에서 우러나오는 내적인 호흡과 발디딤 동작을 통해서 팔, 다리로 전달되는 기본동작을 습득함으로써, 한국 춤의 깊이 있는 긴 호흡의 중요성을 익힌다. |
21359 : 발레실기I(Ballet Practice I) |
기본 Bar Work와 Center Work(Level I)을 습득함으로써 발레의 기본 원리를 인식하게 하여 신체의 조정능력을 기르게 한다. |
21380 : 현대무용실기I(Modern Dance Practice I) |
기초적인 현대무용테크닉의 훈련을 통하여 무용수로서 갖추어야 할 신체적 균형을 잡아준다. |
21355 : 무용창작기초 (Dance Composition Fundamental) |
무용을 창작하는 다양한 방식(추상표현, 구상동작탐구, 네러티브 등)을 학습하여 안무의 맥락을 파악한다. 동작의 위치, 방향, 레벨, 길이, 움직이는 몸의 부분 등 동작구성의 기본원리를 공부하여 창작의 토대를 마련한다. |
21373 : 한국무용실기II(Korean Dance Practice II) |
전통 한국춤의 기본적 움직임을 이해하고 익힘으로써 한국춤의 미적 감각과 춤사위를 이해하여 한국춤 레퍼토리 구축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
21361 : 발레실기II(Ballet Practice II) |
Bar Work와 Center Work(LevelⅡ)을 습득함으로써 기본적 신체육성을 강화한다. |
21381 : 현대무용실기II(Modern Dance Practice II) |
무용인의 올바른 자세를 유지하는 신체정렬의 방법을 익힘으로써 정확하게 동작을 재현할 수 있는 인지능력 및 예술적 관찰력을 개발한다. |
30590 : 무용창작워크숍[Dance CC(Creativity Creation) Workshop] |
무용창작하는 다양한 방법과 메소드를 공부하여 자신에게 맞는 자신의 춤을 구축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기 위한 수업이다. |
21372 : 한국무용실기III(Korean Dance Practice III) |
|
21361 : 발레실기III (Ballet Practice III) |
|
21382 : 현대무용실기III(Modern Dance Practice III) |
기존의 현대무용 테크닉 외에 다양한 스타일과 Variation의 습득을 통해 신체의 균형과 리듬의 변형을 통한 무용 움직임의 어휘력을 풍부히 하고자 한다. |
30579 : 무용교육론(Dance Education) |
유치원에서부터 대학 무용전반에 걸친 무용교육의 이론과 원리, 그리고 그 중요성을 역사적으로 고찰하고, 최근 이론을 기초로 한 무용교육의 철학, 심리, 사회적 기초 등 이에 관한 전반적인 기본 지식을 다룬다. |
37169 : 무용교수학습방법 (Dance Teaching and Learning) |
무용교과 및 수업지도에 관한 최근 동향과 기초이론, 그리고 실제적인 교수 기술을 단계별(수준별, 무용장르별)로 이해/실습하고, 무용교과의 목표, 학습내용의 선정, 지도계획 및 방법, 평가를 탐구함으로서 무용학습지도에 관한 전반적 인식과 창의적 활용능력을 기르게 한다. |
21373 : 한국무용실기IV (Korean Dance Practice IV) |
|
21362 : 발레실기IV (Ballet Practice IV) |
|
21383 : 현대무용실기IV(Modern Dance Practice IV) |
동작의 원천을 이루는 테크닉을 분석하고 운동 지각적인 기억이나 상상력을 자극하기 위한 즉흥작업을 함으로써 무용 움직임의 어휘력을 증대 시키고자 한다. |
21368 : 외국무용사(History of Western Dance) |
원시 시대의 자연발생적인 무용으로부터 오늘에 이르기까지 외국무용의 발달과정을 무용의 일반사적인 측면과 예술사적인 측면에서 살펴보고, 이에 따른 다른 예술분야와의 관련성도 살펴본다. 또한 무용의 사적고찰을 통해 무용이 교육, 예술, 민속, 오락, 등 그 목적에 따른 발달과정에 대해서도 비교해 본다. |
21377 : 한국무용사(History of Korean Dance) |
상고시대부터 신무용기를 거쳐 현대 한국창작무용에 이르기까지 한국춤의 발생 및 시대별 춤의 유형과 특징을 역사적 자료의 연구를 통하여 살펴보고 아울러 한국무용사의 흐름과 변천과정을 연구하고자 한다. |
21374 : 한국무용고급I(Korean Dance(Advanced) I) |
전통 무용의 춤사위를 내포하며 예술성이 높은 춤으로 한국무용의 기본이 되는 산조춤을 통해 공간구성의 분석과 동시에 움직임의 본질을 이해하고 이의 미적특징을 발견하고자 한다. |
21363 : 발레고급I(Ballet(Advanced) I) |
Bar Work와 Center Work(Level Ⅲ)을 습득함과 동시에 Point Class 와 이에 따른 Variation 연습, 그리고 클래식 레퍼토리를 선정하여 작품의 감정, 동작, 분위기 등을 익히도록 지도한다. |
21384 : 현대무용고급I(Modern Dance(Advanced) I) |
동작의 원천을 이루는 테크닉을 분석하고 운동지각적인 기억이나 상상력을 자극하기 위한 즉흥학습을 함으로써 무용움직임의 어휘력을 증대시키고자 한다. |
21349 : 무용예술론(Introductory Survey in Dance) |
본 강의는 무용예술에의 다양한 학문적 연구영역과 그 이론을 살펴봄으로써 무용학 연구의 주요 문제들을 이해하고 아울러 무용을 바라보는 상이한 연구관점들에 대한 기초적인 학습과 탐색을 시도한다. |
34912 : 무용감상및비평 |
|
21375 : 한국무용고급II(Korean Dance(Advanced) II) |
한국춤의 다양한 유형의 춤사위를 습득하고 이를 구조적으로 분석하여 한국 춤을 재정립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
21364 : 발레고급II(Ballet(Advanced) II) |
Bar Work와 Center Work(Level Ⅲ)를 강화함과 동시에 발레의 특정한 규칙과 다른 무용과의 관계를 이해하고, 컨템포러리 발레 레퍼토리를 습득, 응용하는 능력을 길러 창작력을 개발하도록 한다. |
21385 : 현대무용고급II(Modern Dance(Advanced) II) |
다른 장소의 움직임들 간에 표현력의 차이를 느끼도록 독특한 움직임 스타일의 표현성을 연구하여 상호보완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
37170 : 무용치료및바디컨디셔닝(Dance Therapy and Body Conditioning) |
해부학적, 기능학적 접근을 통한 인체의 골격 구조 및 근육의 기능에 관해 이해함으로써 상해를 예방하고, 더욱 미적인 무용표현 능력을 습득하는데 있다. |
21376 : 한국무용워크숍(Korean Dance Workshop) |
한국춤의 미의식을 이해하고 무용창작에 필요한 새로운 춤 메소드 개발을 통해 안무능력을 향상시키고자 한다. |
21365 : 발레워크숍(Ballet Workshop) |
Bar Work와 Center Work(Level Ⅳ)을 습득함과 동시에 Point Class와 이에 따른 Variation 연습을 통한 기교적 숙련과 개성적 표현, 예술적 능력을 기르는데 중점을 둔다. |
21386 : 현대무용워크숍(Modern Dance Workshop) |
예술가로서의 독자적인 스타일과 주제의 움직임을 가질 수 있도록 유도하며 주제의 움직임을 통한 표현을 연습하여 독자적인 무용세계를 구축할 수 있도록 한다. |
38889 :댄스미디어 (Dance Media) |
|
21378 : 한국무용레퍼토리(Korean Dance Repertory) |
한국무용의 대표적 레퍼토리를 익힘으로써 특유의 춤사위를 습득하고 이를 토대로 창의적인 안무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
21366 : 발레레퍼토리(Ballet Repertory) |
발레의 특정한 규칙과 다른 무용과의 관계를 이해, 응용하는 능력을 길러 발레창작을 위한 움직임의 다양한 표현 및 안무능력 개발에 중점을 둔다. |
21387 : 현대무용레퍼토리(Modern Dance Repertory) |
Video 작품분석과 자유로운 신체움직임을 통해 예술적 표현 형태를 연구하고, 창조적 예술무용을 완성한다. |
37171 : 무용리더십세미나(Dance Leadership Seminar) |
변화된 환경이 요구하는 자질을 함양하기 위해 무용계 각 분야의 리더들을 초청하여 그들의 경험과 전문적 지식을 배우고 대화와 토론을 통하여 수강생들이 미래를 계획하여 나아가 “21세기형 리더”를 양성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
37740 : 무용 인턴쉽Ⅰ(Dance Internship I) |
본 교과목은 무용전문인으로써 사회에 진출하기 위한 준비단계에 있는 학생들에게 길잡이 역할을 하고자 한다. 학생들이 자신의 길을 스스로 설계할 수 있도록 진로로드맵, 포트폴리오 작성, 이력서 및 자기소개서 작성 등을 하도록 안내한다. 또한 예술전문기관을 탐방하여 조직에서 필요한 핵심역량을 파악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
37741 : 무용인턴쉽Ⅱ (Dance InternshipⅡ) |
본 교과목은 무용전문인으로써 사회에 진출하기 위한 준비단계에 있는 학생들에게 길잡이 역할을 하고자 한다. 공연예술기관인 극장, 공연기획사, 무용단 탐방을 통하여 현장감 있는 진로선택의 기회를 가질 수 있도록 유도한다. |
37850 : 무용재능기부현장 (Dance Talent donation field) |
무용예술의 사회적 책임과 역할로써 자신의 무용재능을 활용해 사회단체 및 공공기관에 자발적으로 기부하는 공연 및 교육활동을 계획하고 경험하게 한다. 즉, 자신의 예술적 전문성을 사회와 적극적으로 나누며 소통하고 봉사함으로써 자신의 역량을 개발하고 무용예술의 사회적 가치를 실현한다. |
37851 : 민속춤현장탐방 (Korean Folk dance Exploration) |
다양한 한국민속무용의 실제적인 실습과 현장탐방을 통해 한국의 예술적인 미와 한국문화의 정체성을 확립시켜주는 기회를 마련하고자 한다. |
37852 : 무용교과교육론 (Theoretical Foundation in Dance Education) |
무용교육 영역별 각론 중에서 무용교육의 목표, 주요 개념, 내용, 교수·학습 방법, 평가, 감상 등 무용교육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와 적용 능력을 기른다. 그리고 무용교사로서의 교수 지식과 능력을 향상하도록 한다. 더 나아가 다문화 사회의 무용교육, 영재 및 부진아를 대상으로 한 무용교육에 대한 이해를 도모한다. |
37853 : 무용교과논리 및 논술 (Logical Thinking and Writing in Dance Education) |
무용리터러시와 관련하여 개념, 성격, 목표, 교수학습과 평가 방법 등에 대하여 폭넓게 다룸으로써, 교사로서 갖추어야 할 무용을 읽고 쓰는 능력, 문항 제작 및 평가 능력을 기른다. 아이디어 생성과 조직, 표현, 고쳐 쓰기에 이르는 작문의 과정뿐만 아니라 텍스트 생산의 목적, 감상 능력 등을 종합적으로 이해 할 수 있는 교육학적 사고와 논리를 개발한다. |
37854 : 무용교과교재연구 및 지도법 (Material Development & Teaching Methods in Dance Education) |
무용지도에 필요한 기초 이론과 실제 상황에 적합한 교수방법을 습득한다. 무용교재를 분석하고 재구성함으로써 비판적이고 창의적인 교재 개발능력을 함양하며, 무용 교수·학습방법을 효과적으로 개발, 적용하는 능력을 기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