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여성연구원에서는 한국학술진흥재단의 지원을 받아 

1999년부터 2005년까지 총 3단계에 걸쳐 중점연구소 과제를 진행하였다.




지구화 시대의 지역 정치학과 여성

(1999 한국학술진흥재단 중점연구소 제2단계 지원과제)

연구개요

  본 연구는 1단계 '글로벌라이제이션과 한국 사회에서의 성의 정치학'에 이어서 진행되는 2단계 연구이다. 2단계 연구에서는 지구화를 지역성과의 통합 속에서 전개되는 양상으로 파악함으로써 1단계 연구를 보다 심화ㆍ발전시켜 가고자 한다. 삶의 위기를 심화시키는 동시에 새로운 기회로도 작용하고 있는 지구화를 성평등 확장과 개인 및 시민사회의 질적 고양을 가져올 수 있는 새로운 도전으로 이해하고 이에 대응하고자 할 때, 그 도전의 소재와 거점은 지역이 될 수밖에 없다. 이 같은 심화된 문제의식에서 2단계 연구는 지구화 시대의 지역 정치학과 여성이라는 주제 하에 다음과 같은 3 세부과제를 수행한다.


1) 지구화 시대의 공공정책과 여성

2) 지구/지역 공간에서의 성별 정치학

3) 지구화 시대의 대안적 가치 탐색


  제 1세부과제인 <지구화 시대의 공공정책과 여성>에서는 지구화가 국가기능에 가져오고 있는 변화에 따라 공공정책에서 커다란 변화가 일어나고 있는 현실에서 다음과 같은 질문에 구체적으로 답하고자 한다. 첫째로 지구화는 여성정책, 노동정책, 여성환경정책, 여성건강정책, 지역 정책 등과 같은 여성관련 공공정책에 어떠한 영향을 주고 있으며, 지구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는 공공정책이 있다면, 그 정책들은 무엇이며 지구화와 지역 간의 어떠한 역학관계 속에서 입안되고 실행되는가, 둘째 이와 같은 공공정책의 변화 양상은 여성 경험에 어떤 긍정적, 부정적 변화의 함의를 지니는가, 셋째 성평등 실현을 위한 도전으로 지구화를 활용하고자 할 때 요구되는 정책은 어떤 것이며 이를 실현시키기 위해 요구되는 전략은 어떤 것인가 등을 학제간적으로 탐구하고자 한다.


  제 2세부과제인 <지구/지역 공간에서의 성별 정치학>은 20세기 말 이래 본격화된 지구화의 특성 중 특히 자유로운 자본의 이동을 기본 축으로 활발히 일어나고 있는 인적, 물적 이동에 초점을 맞추어 지구화와 지역의 역동적 관계를 추적한다. 넓게 아시아 지역에서의 지구화 현상을 연구대상으로 삼는 본 세부과제는 지구화 시대의 국민국가의 변용, 특정 여성 집단들의 이동과 새로운 경험 및 정체성 구성, 지구화 문화산업과 지역적 대응전략, 전지구적 단위의 소비유통에 대한 지역적, 여성주의적 소비문화 대응 등을 구체적으로 고찰하게 될 것이다. 제 3세부과제인 <지구화 시대의 대안 가치 탐색>에서는 양성 불평등을 심화시키는 지구화를 넘어서 여성과 남성의 평등하고 행복한 삶의 질을 고양시키고 타자와 공동체적 관계에 대한 감수성을 회복할 수 있는 대안 가치를 탐구하고자 한다. 


  2단계 연구는 1단계 연구의 문제의식을 보다 심화, 발전시키는 것으로 지역적 특성을 충분히 고려하지 못했던 1단계 연구에서 더 나아가 '지구적인 것'과 '지역적인 것'간의 역동성이 성(gender)과 만나는 교차점에서의 여성 경험을 연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같은 연구 목표에 맞추어 위의 세가지 세부과제 연구주제를 구성했다. 개별 연구들은 이 목표에 맞추어 1단계 연구를 심화시키기도 하고 새로운 연구 영역으로 연구 범위를 확장시키기도 하면서 1단계 연구와의 발전적 연관성을 확보하고 있다. 


  지구화는 이제 거의 모든 생활영역에서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이러한 현 상황에서 2단계 연구는 1단계 연구의 결과를 심층적으로 활용, 발전시키는 한편 지구화가 창출한 변화의 범위와 규모 및 특성에 상응하여 연구 범위를 확장시킴으로써 1단계와의 이중적 연관성을 확보하고자 한다. 2단계에서 새로 확장된 연구 주제들은 소비, 대중문화산업의 지역화 현상, 반(反) 지구화 담론 등이다. 또한 1단계 연구가 서구 중심적 지구화 담론의 일방적 영향에서 벗어날 수 있는 기초를 닦는 데에 몰두했다면 이제 2단계에서는 이 기초를 기반으로 동아시아 및 한국 여성의 주체적인 지구화/지역 담론 형성에 주력하고자 한다.

 

  따라서 2단계의 연구주제들은 1단계 연구 결과를 방법론적으로나 내용적으로나 가장 효과적인 형태로 발전, 확대시키려는 학문적 의도에서 개발되었다. 마지막으로 1단계와 2단계 간의 상호 연계성과 더불어 강조해야 할 것은 2단계 연구는 1단계 연구보다 한층 더 강도 높고 치밀한 학제간 연구를 전망하고 있으며 이로써 한국사회의 여성들이 요청하는 지구적/지역적 차원에서의 능동적이고 창의적이며 탈가부장적인 미래 전망에 보다 포괄적이고 바람직한 지향점을 제시할 수 있다는 것이다. 

세부과제 및 담당자

  • 제1세부과제

 지구화 시대 공공정책과 여성                                                                   책임자: 김선욱(법학과)

 1.아시아의 지방자치와 여성정책/공공정책 (김선욱:법학과)

 2. 신자유주의 정책의 생산과 여성주의 개입의 정치학 (조순경: 여성학과)

 3. 지구화시대의 환경문제와 여성환경정책 (석인선: 법학과)

 4. 지구화 시대의 건강 정책과 생명여성주의 (이영숙: 한국여성연구원)

 5. 지역성 생성 과정에서의 양성관계와 정책 방향 (김정희: 한국여성연구원)

 

  • 제2세부과제

 지구/지역 공간에서의 성별 정치학                                                             책임자: 김은실(여성학과)

 1. 글로벌 자본의 지역 유통전략과 여성 소비자의 대응 (장필화:여성학과)

 2. 탈영토화된 공간에서의 다국적 여성정체성의 정치학:

    지정학적 공간으로서의 이태원에 관한 민족지연구 (김은실: 여성학과)

 3. 지구화시대 일본 내 이주 외국인의 정주민화와 시민권의 재구축: 여성주의적 함의를 중심으로 (함동주: 사학과)

 4. 지구화시대 대중문화와 새로운 청소녀 문화공간의 구성 (김영옥: 한국여성연구원)

 5. 대중문화 산업의 지구화와 상징권력 (양민석: 한국여성연구원)


  • 제3세부과제

 지구화 시대의 대안적 가치 탐색                                                                책임자: 박은정(법학과)

 1. 지구화 시대의 지역 공동체와 여성주의적 가치 (이상화: 철학과)

 2. 여성주의적 관점에서 본 한국 사회의 반 지구화 담론 (김애령: 한국여성연구원)

 3. 정보적 생활양식과 여성주의 온라인 공동체 연구 (윤혜린: 한국여성연구원)

 4. 지구화 시대의 여성주의 법이론 (박은정: 법학과)

 5. 지구화 과정에서의 성평등을 위한 전통의 재발견-도교 문화를 중심으로 (정재서: 중어중문학과)

연구세미나-"지구화 시대의 지역정치학과 여성"

  • 각 세부과제로 나뉘어 있는 연구자들 간에 학술교류와 정보를 나눔으로써 연구의 깊이를 더하기 위해 2002년과 2003년에 6차례의 연구세미나를 개최하였다. 자세한 연구 일정은 아래와 같다.

 세미나

날짜 

강사 

주제 

 1차

2002년5월10일(금) 오후 3:30-5:30

윤방순 교수

(Central Washington Univ. 정치학과)

 Gender Implication of globalization

 2차

2002년5월23일(목)오후 4:00-6:00

김애령 박사

(한국여성연구원 전임연구원, 철학)

 젠더 범주의 도입을 통해서 바라보는

 지구화와 지구화 저항 운동

 3차

2002년6월27일(목) 오후 4:00-6:00

윤혜린 박사

(한국여성연구원 전임연구원, 철학)

 여성주의 공동체 개념에 대한 정리 

 4차

2002년7월25일(목) 오후 4:00-6:00

이영숙 박사

(한국여성연구원 전임연구원, 사회학)

 생태여성주의의 지역화로서 생명여성주의의 제안

 5차

2003년4월1일(화) 오후 3:30-4:30

양민석 박사

(한국여성연구원 연구교수, 사회학)

 한국 애니메이션 산업과 여성애니메이터의 현황 

 6차

2003년4월1일(화) 오후 4:30-5:30

김영옥 박사

(한국여성연구원 연구교수)

 대중문화와 새로운 청소년 문화공간의 구성


2단계

  • >
  • 중점연구 >
  • 1999 중점연구 >
  • 2단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