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NGLISH

Institute for International Trade and Cooperation

GNB바로가기

SCI(E)/SSCI


  • Beik, A. (2024). A comparison study on self-regulation and sense of presence in online learning: A meta-analytic review. Asia Pacific Education Review.
  • Jeong, G. (2023). Analyzing Learners' Visual Behavior Patterns Related to Information Processing and Cognitive States in Problem-Solving Learning. KEDI Journal of Educational Policy, 20(2).
  • Beik, A., & Cho, Y. (2023). Effects of goal orientation on online learning: A meta-analysis of differences in Korea and US. Current Psychology, 1-11.
  • 윤미현, 윤성혜, 최고은, 조일현. (2023). Task Type Matters: The Impact of Virtual Reality Training on Training Performance. Journal of Computer Assisted Learning, JCAL-22-338.R2.
  • Yoon, M., Hill, J., & Kim, D. (2021). Designing supports for promoting self-regulated learning in the flipped classroom. Journal of Computing in Higher Education, 33(2), 398-418.
  • Kim, D., Jo, I. H., Song, D., Zheng, H., Li, J., Zhu, J., ... & Xu, Z. (2021).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and student video engagement trajectory in a video-based asynchronous online course: a Bayesian latent growth modeling approach. Asia Pacific Education Review, 1-13. (DOI: 10.1007/s12564-021-09690-0)
  • Yoon, M., Lee, J., & Jo, I. H. (2021). Video learning analytics: Investigating behavioral patterns and learner clusters in video-based online learning. The Internet and Higher Education, 50, 100806. (DOI: 10.1016/j.iheduc.2021.100806)
  • Yoon, M., & Yun, H. (2021). Relationships between adolescent smartphone usage patterns, achievement goals, and academic achievement. Asia Pacific Education Review, 1-11. (DOI: 10.1007/s12564-021-09718-5)
  • Jo, I. H., & Kim, J. (2020). Verification of Cognitive Load Theory with Psychophysiological Measures in Complex Problem-Solving. The Asia-Pacific Education Researcher, 29(5), 417-429. (DOI: 10.1007/s40299-019-00495-9)
  • Huh, D., Kim, J. H., & Jo, I. H. (2019). A novel method to monitoring changes in cognitive load in video‐based learning. Journal of Computer Assisted Learning, 35(6), 721-730. (DOI: 10.1111/jcal.12378)
  • Park, Y., & Jo, I. H. (2019). Factors that affect the success of learning analytics dashboards. Educational Technology Research and Development, 67(6), 1547-1571. (DOI: 10.1007/s11423-019-09693-0)
  • Kim, D., Yoon, M., Jo, I. H., & Branch, R. M. (2018). Learning analytics to support self-regulated learning in asynchronous online courses: A case study at a women's university in South Korea. Computers & Education, 127, 233-251. (DOI: 10.1016/j.compedu.2018.08.023)
  • Jo, I., Park, Y., & Lee, H. (2017). Three interaction patterns on asynchronous online discussion behaviours: A methodological comparison. Journal of Computer Assisted Learning, 33(2), 106-122. (DOI: 10.1111/jcal.12168)
  • Jo, I. H., Park, Y., & Song, J. (2017). Comparisons on clustering methods: Use of LMS log variables on academic courses. Educational Technology International, 18(2), 159-191.
  • Kim, J., Park, Y., Huh, D., & Jo, I. H. (2017). Interaction of learning motivation with dashboard intervention and its effect on learning achievement. Educational Technology International, 18(2), 73-99.
  • Park, Y., & Jo, I. H. (2017). Using log variables in a learning management system to evaluate learning activity using the lens of activity theory. Assessment & Evaluation in Higher Education, 42(4), 531-547. (DOI: 10.1080/02602938.2016.1158236)
  • Yu, J., Shin, Y., Kim, D., & Jo, I. H. (2017). Explor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Emotions and State Motivation in a Video-based Learning Environment. Educational Technology International, 18(2), 101-129. (DOI: 10.17232/KSET.24.3.241)
  • Jo, I. H., Park, Y., Yoon, M., & Sung, H. (2016). Evaluation of online log variables that estimate learners’ time management in a Korean online learning context. International Review of Research in Open and Distributed Learning, 17(1), 195-213. (DOI: 10.19173/irrodl.v17i1.2176)
  • Kim, J., Jo, I. H., & Park, Y. (2016). Effects of learning analytics dashboard: analyzing the relations among dashboard utilization, satisfaction, and learning achievement. Asia Pacific Education Review, 17(1), 13-24. (DOI: 10.1007/s12564-015-9403-8)
  • Park, Y., Yu, J. H., & Jo, I. H. (2016). Clustering blended learning courses by online behavior data: A case study in a Korean higher education institute. The Internet and Higher Education, 29, 1-11. (DOI: 10.1016/j.iheduc.2015.11.001)
  • Jo, I. H., Kim, D., & Yoon, M. (2015). Constructing proxy variables to measure adult learners' time management strategies in LMS.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 Society, 18(3), 214-225.
  • Park, Y., & Jo, I. H. (2015). Development of the learning analytics dashboard to support students’ learning performance. Journal of Universal Computer Science, 21(1), 110.
  • Jo, I. H., Kang, S., & Yoon, M. (2014). Effects of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social network centralities on learner performance.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 Society, 17(3), 108-120.
  • Park, Y. (2014). Analysis of online behavior and prediction of learning performance in blended learning environments. Educational Technology International, 15(2), 71-88.
  • Jo, I. H., Heo, H. O., Lim, K. Y., Im Choi, J., & Noh, J. M. (2013). Usability study of middle school English digital textbook: A stimulation recall approach. Educational Technology International, 14(1), 109-136.
  • Jo, I. H. (2009). Effects of Role Differentiation, Interaction, and Lapse of the Time on Shared Mental Models in e-Learning Contents Development Teams in Korea. Educational Technology International, 10(2), 63-83.
  • Jo, I. H. (2009). The effect of social network diagrams on a virtual network of practice: a Korean case. Asia Pacific Education Review, 10(4), 525-534. (DOI: 10.1007/s12564-009-9041-0)

 


KCI

 


  • 김지민, 조일현. (2025). 대학 논증적 글쓰기에 대한 인간 대 ChatGPT의 평가 질적 비교 및 탐색. 교육공학연구, 41(3), 921-958.
  • 구지영, 조일현. (2025). Improving Learning Analytics Systems through Cognitive User Experience Analysis, KSDC.
  • 구지영, 조일현. (2025). A Theoretical Framework for User Mental Models in Learning Analytics Systems, KIDRS, 10(3), 9-21.
  • 남정민, 조일현. (2025). ChatGPT와의 상호작용을 통한 대학생의 글쓰기 경험 탐색: 문화역사적 활동 이론의 모순을 중점으로.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 구지영, 최민수, 조일현. (2025). A UI-First Approach to Brand Identity Design: A Case Study of the TPIS System. KIDRS, 10(2), 9-22.
  • 문소연, 조일현. (2025). 체계적 문헌 고찰을 통한 학습분석 시스템의 정의 및 핵심 구성 요소 탐색.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28(7), 1-15.
  • 표은서, 조일현. (2025). 프로그래밍 문제해결 단계별 생성형 인공지능의 교육적 효과 탐색. 교육정보미디어연구, 31(2), 597-623.
  • Kim, D., & Jeong, G.. (2024). Predicting Learning Achievements with Indiators of Perceived Affordances Based on Different Levels of Content Complxity in Video-based Learning. Educational Technlogy International, 25(1), 27-65.
  • 김주연, 조일현. (2024). 웹기반 PBL 환경에서 복잡한 정구조 문제해결을 지원하는 스캐폴딩 전략 개발을 위한 델파이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14), 83-107.
  • 정겨운, 김혜빈, 조일현. (2024). 비구조적 문제해결 과정에서 ChatGPT와 협업하는 대학생의 논증적 사고 및 경험분석. 교육정보미디어연구, 30(3), 981-1003.
  • 백아롱, 김유현, 조일현. (2024). 온라인 학습에서 학습자의 자기조절역량에 대한 학습자와 교수자의 인식 비교. 한국교육문제연구, 42(2), 155-185.
  • 정겨운, 조일현. (2023). 생성형 인공지능 시대를 맞이하는 학습분석학의 적응적 진화. 교육공학연구, 39(스페셜), 1249-1270.
  • 윤미현, 최고은, 윤성혜, 조일현. (2023). 육군 전차부대 VR 훈련의 실재감과 훈련만족도의 관계에서 사전현장경험의 역할규명. 한국교육문제연구, 41(4), 29-51.
  • 백아롱, 김혜빈, 조일현. (2023). 온라인 학습에서 정보활용능력과 학업성취도의 관계: 자기조절능력의 매개효과와 성별 차이를 중심으로. 교육문제연구, 36(4), 107-133.
  • 백아롱, 부은주. (2023). 실시간 온라인 수업에서 학습자 상호작용 경험에 대한 탐색. 교육정보미디어연구, 29(3), 541-568.
  • 백아롱, 김혜빈, 조일현. (2023). 정보활용능력과 자기조절능력이 성인학습자가 인식하는 온라인 학습 효과의 종단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3(14), 855-868. 
  • 김진솔, 이정민(2023). Overcoming the Hurdles of Transition: Middle School Students’ Engagement in Distance Instruction During the COVID-19 Pandemic in South Korea. Educational Technology International, 24(1), 81-114(pISSN 1598-5776).
  • 신안나, 이지향, 김혜빈, 조일현(2023). 협력적 문제해결과제의 지시문 유형에 따른 팀 활동 내 언어적 상호작용, 성취도 및 만족도 분석:여대생을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23(8), 541-566(pISSN 1598-2106).
  • 신안나, 이지향, 김가은, 조일현(2023). 웹기반 협력적 문제해결과제의 지시문 유형이 팀 활동 과정 및 학습 결과에 미치는 영향.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26(3), 31-47(pISSN 1598-5016).
  • 문소연, 김가은, 차은주, 신안나, 조일현(2023). 교수학습 맥락에서 학습분석 대시보드의 활용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학습자의 인지, 정의, 메타인지 영역을 중심으로.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26(3), 67-82 (pISSN 1598-5016).
  • 김혜빈, 표은서, 신안나, 조일현(2023). 국내 디지털 교수학습 환경에서의 학습분석 연구 및 데이터 활용에 대한 체계적 문헌 고찰. 교육공학연구, 39(2) (eISSN 1225-424X). 
  • 박하은, 정유진, 조일현, 임규연(2023), 국내 대학 문제중심학습(PBL)의 학습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3권 6호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Vol. 23, No. 6, 2023, pp. 557-579(pISSN 1598-2106 eISSN 2671-776X)
  • 정겨운, 신안나, 허열, 조일현 (2022). 디지털 교육 생태계의 품질평가 모형개발 및 평가구인 타당화. 교육공학연구, 38(4), 1171-1222. (DOI: 10.17232/KSET.38.4.1171)
  • 정겨운, 서다혜, 조일현 (2022). 마이크로 콘텐츠 정보제시방식에 따라 구분한 집단 간 학습자 인지· 정서적 상태 차이. 교육공학연구, 38(2), 509-537. (DOI: 10.17232/KSET.38.2.509)

  • 박혜정, 정겨운, 조일현 (2022). 동적 시각 단서가 인지부하와 학습 성과에 미치는 영향: 공간능력 요인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교육정보미디어연구, 27(4), 1485-1513. (DOI: 10.15833/KAFEIAM.27.4.1485)
  • 정겨운, 김규원, 조일현 (2022). 콘텐츠 설계원리에 대한 학습유형별 학습자 인지적 상태 차이. 교육정보미디어연구, 28(1), 133-160. (DOI: 10.15833/KAFEIAM.28.1.133)
  • 박혜정, 조일현 (2021). 컴퓨터 기반 문제풀이에서 학습자가 지각한 난이도와 학습자의 동공 반응 수준 비교.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24(1), 97-105. (DOI: 10.32431/kace.2021.24.1.011)
  • 박효진, 주현정 (2021). 강의식 대형강좌 학습자의 학습동기 유형 및 특징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22), 477-491. (DOI: 10.22251/jlcci.2021.21.22.477)
  • 윤미현, 박효진, 주현정 (2021). 완벽주의, 자기효능감, 학업지연, 대학생활적응 간의 구조적 관계 규명.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13), 321-334. (DOI: 10.22251/jlcci.2021.21.13.321)
  • 이인혜, 정겨운, 조일현 (2021). 일반적 문제해결 전략에 대한 동영상 학습에서 시각적 단서와 사전지식 수준이 인지부하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11), 807-821. (DOI: 10.22251/jlcci.2021.21.11.807)
  • 노재희, 조일현 (2020). 컴퓨터 기반 문제풀이 환경에서 문제양식, 과제복합도 수준에 따른 인지부하의 측정과 학업성취도 간의 관계. 교육공학연구, 36(1), 137-161. (DOI: 10.17232/KSET.36.1.137)
  • 이인혜, 김다솜, 조일현 (2020). 동영상 학습 환경에서 사전지식과 내용복합성에 따른 인지부하의 객관적 측정 방법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3), 739-757. (DOI: 10.22251/jlcci.2020.20.3.739)
  • 이정은, 김다솜, 조일현 (2020). 동영상 기반 학습 환경에서 머신러닝을 활용한 행동로그의 학업성취 예측 모형 탐색.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23(2), 53-64. (DOI: 10.32431/kace.2020.23.2.006)
  • 이정은, 조일현 (2020). 텍스트 기반 멀티미디어 학습에서 시각적 단서와 학습자 메타인지 수준이 인지부하에 미치는 영향. 교육정보미디어연구, 26(3), 539-565. (DOI: 10.15833/KAFEIAM.26.3.539)
  • 이정진, 조일현, 박형곤 (2020). 동공 크기 변화 기반 효과적 학습 상태 분류를 위한 데이터 재구성 알고리즘. 한국통신학회논문지, 45(10), 1756-1766. (DOI: 10.7840/kics.2020.45.10.1756)
  • 정겨운 (2020). 문제 풀이 상황에서 학습자의 시선 경로 유사도에 따라 구분한 집단 간 인지부하 및 성취도 차이. 교육공학연구, 36(3), 529-559. (DOI: 10.17232/KSET.36.3.529)
  • 정겨운, 조일현 (2020). 컴퓨터기반 문제풀이 환경에서 과제복합도에 따른 인지부하 차이의 객관적 측정. 교육정보미디어연구, 26(1), 79-101. (DOI: 10.15833/KAFEIAM.26.1.079)
  • 조일현, 김정현 (2020). 동영상학습에서 학습동기, 인지부하, 학업성취간 관계 및 주의집중 수준의 객관적 측정.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 571-588. (DOI: 10.22251/jlcci.2020.20.24.571)
  • 김정현, 조일현 (2019). 복합문제 풀이 (complex problem solving) 상황에서 인지부하의 객관적 측정방법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15), 25-44. (DOI: 10.22251/jlcci.2019.19.15.25)
  • 박혜정, 김다솜, 조일현 (2019). 동영상 학습 환경에서 인지부하의 변화 및 학습성과와의 상관관계. 교육정보미디어연구, 25(4), 797-826. (DOI: 10.15833/KAFEIAM.25.4.797)
  • 임규연, 임소혜, 조일현, 임지영, 한가형 (2019). 멀티미디어 설계원리를 적용한 공개교육자료 (Open Educational Resources) 사례 분석 및 학습자 인식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1), 1035-1060. (DOI: 10.22251/jlcci.2019.19.1.1035)
  • 성한올, 조일현 (2018). 온라인 학습 상황에서 행동 로그, 생리심리반응 및 시험불안을 통한 멀티모달 (Multimodal) 학업성취 예측모형 개발. 교육공학연구, 34(2), 287-308. (DOI: 10.17232/KSET.34.2.287)
  • 신윤미, 조일현 (2018). 동영상 학습에서의 대학생 동공 반응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 21-41. (DOI: 10.22251/jlcci.2018.18.13.21)
  • 오예지, 조일현 (2017). 수학불안 수준이 수행효율성에 미치는 영향: 대학생의 동공 크기를 중심으로. 교육공학연구, 33(3), 653-680. (DOI: 10.17232/KSET.33.3.653)
  • 조일현, 김정현 (2016). 학습분석학을 활용한 e-러닝 학업성과 추정 모형의 통계적 유의성 확보 시점 규명. 교육공학연구, 29(2), 285-306.
  • 임규연, 진명화, 김시원, 조일현 (2016). 플립러닝에서 자기결정성 요인, 협력지향성, 인지적 실재감, 인지된 성취도의 관계. 교육정보미디어연구, 22(3), 439-462. (DOI: 10.15833/KAFEIAM.22.3.439)
  • 조일현, 유예솜, 박연정, 김정현 (2015). 온라인 토론학습에서 네트워크 중심도와 학업성취도에 대한 학습 접속 활동의 매개효과. 교육공학연구, 31(3), 459-480. (DOI: 10.17232/KSET.31.3.459)
  • 조일현, 하건희, 박연정 (2015). 학습분석학 기반 대시보드에 대한 사용자의 정보지각 측정 연구: 시선추적장치의 활용. 교육정보미디어연구, 21(3), 441-469. (DOI: 10.15833/KAFEIAM.21.3.441)
  • 박연정, 조일현 (2014). 학습관리시스템의 대시보드 설계를 위한 학습자 중심 요구분석: 분석과 설계 도구로서 활동이론의 적용. 교육공학연구, 30(2), 221-258. (DOI: 10.17232/KSET.30.2.221)
  • 박연정, 조일현 (2014). 학습 분석학 기반 대시보드의 설계와 적용. 교육정보미디어연구, 20(2), 191-216.
  • 조일현, 김연희 (2014). 대학생의 학습동기, 인지전략 및 학업성취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교육과학연구, 45(2), 77-98. (DOI: 10.15854/jes.2014.06.45.2.77)
  • 조일현, 김윤미 (2013). 이러닝에서 학습자의 시간관리 전략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학습분석학적 접근. 교육정보미디어연구, 19(1), 83-107.
  • 한송이, 조일현 (2012). 직장인 MBA 대학원생의 지식교량적 역할이 조직 내 지식공유 네트워크에 미치는 영향. 지식경영연구, 13(4), 71-82. (DOI: 10.15813/kmr.2012.13.4.005)
  • 한지윤, 조일현 (2012). 공무원 국외교육프로그램 연수에서 학습만족도가 직무 효능감 및 직무 몰입 변화를 매개로 교육훈련전이에 미치는 영향. 기업교육과 인재연구, 14(2): 261-276.
  • 조일현, 최세리, 한애리, 김선희 (2011). 기업 e-러닝 환경에서 성취도와 전이 간에 미치는 직업적 자기효능감과 교육훈련환경의 조절효과. 기업교육과인재연구, 13(1), 113-132.
  • 조일현 (2010). 대학 프로젝트 수업 환경에서 분업화, 상호작용, 공유정신모형이 팀 수행성과와 개인 학습에 미치는 영향. 교육공학연구, 26(3), 1-20. (DOI: 10.17232/KSET.26.3.1)
  • 조일현, 박진아 (2010). 기업 e-러닝 학업성취도 측정 문항 난이도 분석: 문항반응 이론을 기반으로. 교육정보미디어연구, 16(3), 459-480.
  • 이윤경, 조일현 (2009). 사회적 자본의 관계적 차원이 지식창출과정에 미치는 영향. 교육공학연구, 25(3), 57-78. (DOI: 10.17232/KSET.25.3.57)
  • 조일현 (2009). 고용보험법 적용 국내 기업 e-러닝의 콘텐츠와 운영의 질이 학습 성과 및 전이에 미치는 영향. 교육공학연구, 25(2), 27-46. (DOI: 10.17232/KSET.25.2.27)
  • 조일현 (2009). 사회적 자본의 관계적 차원이 e-러닝 콘텐츠 개발 프로젝트팀의 지식창출과정에 미치는 영향. 직업능력개발연구, 12(2), 173-194. (DOI: 10.36907/krivet.2009.12.2.173)
  • 조일현 (2009). 협동학습 상황에서 개인의 커뮤니케이션 능력과 사회연결망 중심도가 학습 성과에 미치는 영향. 교육과학연구, 40(2), 77-98.
  • 조일현 (2008). 사회적 자본 이론에 기반한 교수설계 모형 연구. 교육정보미디어연구, 14(3), 5-30.
  • 주영주, 조현국, 조일현 (2008). 기업 이러닝 강좌평가를 위한 측정도구 개발 및 양호도 검증. 기업교육과 인재연구, 10, 1-20.
  • 조일현 (2008). 성과 창출 과정으로서의 e-러닝 교수설계 모형. 지식경영연구, 9(4), 35-49. (DOI: 10.15813/kmr.2008.9.4.003)
  • 조일현 (2008). 지식창조 활동으로서의 교수설계 모형 탐색. 교육공학연구, 24(3), 241-267. (DOI: 10.17232/KSET.24.3.241)
  • 조일현 (2008). 협동학습팀 내 사회연결망 지수가 학습 성과에 미치는 영향. 교육공학연구, 24(4), 295-317. (DOI: 10.17232/KSET.24.4.295)

    논문

    • >
    • 연구소 업적 >
    • 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