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번호
4018645
일 자
14.12.18
조회수
1699
글쓴이
정영진
[신간안내] 생명윤리와 법, 권복규 교수 저

[신간안내] 생명윤리와 법, 권복규 교수 저

본교 의학전문대학원 권복규 교수의 신간 '생명윤리와 법' 발간 안내

 

74

 

2006년 문화관광부의 우수학술도서로 선정된 『생명윤리와 법』의 제3판으로, 현대 생명윤리의 개념과 특징, 범주 등을 분석하고, 그에 대한 한국의 법체계가 어떻게 작동하고 있는지를 비교적 쉽게 설명하고 있는 개론서이다. 의학 및 법학 분야의 복합적 논의가 필요한 만큼 의학전문대학원과 법학전문대학원 교수가 공동 저자로 집필했다. 2005년 출간된 초판과 2009년 출간된 2판의 내용을 수정, 보완하여 최근 생명윤리 분야에서 일어난 변화들을 충실히 담고 있으며, 생명윤리와 관련된 주요 주제를 살펴보고 현재 생명윤리 분야에서 일어나고 있는 일들에 대한 윤리적 함의뿐 아니라 우리나라의 현행 법률에 따른 법적 문제까지 체계적으로 서술하고 있다. [인터넷 교보문고 제공]

출판사 서펑
이 책은 2006년 문화관광부의 우수학술도서로 선정된 『생명윤리와 법』의 제3판으로, 현대 생명윤리의 개념과 특징, 범주 등을 분석하고, 그에 대한 한국의 법체계가 어떻게 작동하고 있는지를 비교적 쉽게 설명하고 있는 개론서이다. 의학 및 법학 분야의 복합적 논의가 필요한 만큼 의학전문대학원과 법학전문대학원 교수가 공동 저자로 집필했다. 2005년 출간된 초판과 2009년 출간된 2판의 내용을 수정, 보완하여 최근 생명윤리 분야에서 일어난 변화들을 충실히 담고 있으며, 생명윤리와 관련된 주요 주제를 살펴보고 현재 생명윤리 분야에서 일어나고 있는 일들에 대한 윤리적 함의뿐 아니라 우리나라의 현행 법률에 따른 법적 문제까지 체계적으로 서술하고 있다.
생명윤리에 대해서 관심을 갖는 것은 과학 기술, 특히 생명과학과 의학의 발전에 맞추어 인간의 존엄성과 인권을 지키려는 노력의 일환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개인의 인권과 존엄성뿐 아니라 사회 공동체의 안녕과 질서를 지키기 위해서는 법규범 또한 반드시 필요하다. 법은 '윤리'의 최소한이 아니라 '생명윤리'를 사회 속에서 실천할 수 있도록 보장해 주는 역할을 해야 한다. 생명윤리와 법은 개인과 사회의 행위를 통제하는 일종의 규범으로서 같이 나아가야 하는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이 책은 생명윤리와 법을 함께 다루고 있다. 또한 미국 등 선진 외국의 접근 방식이 아니라 국내의 사례와 국내 법규에 근거하여 내용을 설명하고 있는 것이 이 책의 또 다른 특징이다. 생명윤리는 나라와 문화에 따라 상당한 차이를 보일 수밖에 없기 때문에 근대적 합리주의와 개인주의에 바탕을 둔 서구의 접근 방식을 그대로 가져오는 것은 우리 사회의 실정에 맞지 않아 혼란을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사례와 법률, 가치에 바탕을 두어 서술한 이 책은 국내 생명윤리 담론의 기초적인 장을 마련했다고 볼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이 책에서는 그동안 생명윤리와 관련하여 외국의 예를 주로 참고하게 되면서 확실히 정의되지 않았던 용어들을 정리했다. 특히 첨단 생명과학 기술과 연관된 용어일수록 혼돈이 매우 심했는데 여기서는 이러한 부분을 재정비하고 표준 용어와 개념의 정립을 통해 학문의 발전을 꾀하고 있다.
한국 사회가 안고 있는 온갖 병폐를 보여준 황우석 박사 사건이 터지고 나서 정부와 학계는 사후 약방문으로 연구자의 윤리의식을 고취하고 생명윤리를 진흥하겠다고 나서기 시작했지만 여전히 우리나라의 생명윤리학 수준은 국제적인 수준에 비하면 한참 낮은 상태이다. 전문 연구자들도 많지 않고 우리나라의 현실에 맞는 교재와 참고서들도 쉽게 접할 수 없다. 그런 면에서 이 책은 대학 강의를 위한 기본 교재로뿐만 아니라 생명윤리에 관심 있는 일반인들을 위한 교양서로도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책 내용
이 책은 생명윤리와 관련된 여러 가지 주제로 나누어 총 10장의 챕터로 구분되어 있으며 각종 지침 및 법규로 구성된 "부록"을 책 뒷부분에 수록하고 있다.
제1장에서는 생명과 생명윤리라는 것이 무엇인지, 그리고 생명을 다루는 과학이란 무엇인지 그 기본적인 개념들을 정리하고 있으며, 제2장에서는 생명의료 분야에서 고민해 보아야 할 각종 관련 법규와 그러한 법이 적용되는 원리 등을 설명하고 있다. 제3장에서는 연명의료와 관련된 개념과 연명의료의 결정 방법, 안락사의 개념과 분류 방식 등을 분석하고 연명의료 및 안락사와 관련된 우리나라의 법률적 문제 등을 살펴보고 있다. 제4장에서는 뇌사의 개념과 판정 기준, 장기 이식의 종류와 이식에 관련된 윤리적 ? 법적 문제를 짚어 보고 있다. 제5장에서는 인공 임신중절의 다양한 방법들을 소개하고 이로 인해 야기되는 법적 쟁점들에 대해 논의하고 있으며, 제6장에서는 다양한 보조생식술의 특성과 그에 따른 법적인 문제들에 대해 고찰하고 있다. 제7장에서는 배아와 줄기세포 연구의 가치와 황우석 박사 사건 등에 대해 논하며 배아나 줄기세포 연구와 관련된 윤리적, 법적 문제에 대해서 이야기하고 있다. 제8장에서는 인간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의 개념 및 원칙, 임상시험과 생명과학 연구에 대한 규제 법률 등을 설명한다. 제9장에서는 유전자 검사의 의미와 한계, 유전자 치료의 문제점과 법적 규제에 대한 내용들이 이어지며, 제10장에는 동물실험의 윤리적, 법적 문제와 이종 이식의 의미 및 현황 등에 대하여 설명한다. 부록에는 "생명윤리와 인권에 관한 보편 선언", "세계의사회 헬싱키 선언",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 "실험동물에 관한 법률" 등 생명윤리와 관련된 주요 법규를 싣고 있다. [인터넷 교보문고 제공]

 

관련 링크


네이버 http://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8530917


이대출판부 http://www.ewhapress.com/subpage.asp?code=search&subp=01&cate=&mode=&gbn=viewok&ps=10&sp=all&sw= B1 C7 BA B9 B1 D4&gp=1&ix=1509
 

다음글 [의전원 소식] 이화의전원 학생회, 이대목동병원에 기부금 전달
이전글 남자는 털고, 여자는 닦고 심봉석 교수의 생활 속 비뇨기과 이야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