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 래 -
1. 도전학기제 개요
1) 전공 수업을 통해 배우고 익힌 지식을 현실과 현장에 응용할 수 있는 도전적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학기를 말함.
2) 학생 개개인의 프로젝트의 성격에 맞는 지도교수를 선정하여 프로젝트 설계 단계부터 밀착형 학생지도를 실시함.
3) 매학기 도전학기제 설계 공모전을 실시, 서류심사와 면접으로 우수자를 선정하여 실행을 위한 활동비 및 장학금을 지급함.
4) 온라인 강좌와 연계한 최소한의 학점만 이수하면서 사회문제해결, 문화예술창작, 창업활동, 국내외 현장실습, 글로벌 탐방 등의 현장교육을 수행함으로써 휴학을 지양하고 학업의 연속성을 유지함
5) 자기주도적 미래설계와 지도교수의 심층지도가 어우러진 도전학기 프로젝트를 통해 창의융합형 현장전문가를 집중적으로 육성함.
2. 도전학기제 운영방안
A. 도전학기 학사제도(안)
● 취득가능 학점 수 : 도전 프로젝트 실행 최대 9학점, 교과목 수강 최대 9학점 최대 18학점
구분 |
일반학기 |
도전학기 |
등록금 |
전액납부 |
전액납부 (도전학기 활동비/장학금 지급) |
지원 자격 |
|
3학기 이상 재학생 |
취득가능 학점 수 |
18학점 |
9~18학점 |
수강 교과목 |
개설교과목 |
프로젝트 실행 : 최대 9학점 온라인 교과목 : 최대 9학점 오프라인 정규교과목 : 최대 9학점 |
수강 신청 |
정규 수강신청 기간 |
좌동 |
강의 수강 및 출석 |
기존 방식으로 운영 |
온라인 교과목은 교과목의 기준을 따름 프로젝트 진행 상황에 대한 정기 보고 (중간 및 결과보고서) |
학점 인정 기준 |
교과과정별 기준에 따름 |
온라인 : 기존 교과목 기준에 따름 교외기관인증 및 프로젝트 결과물 평가 : 도전유형별로 기준 마련(추후 각 대학학과별로 상세 협의) |
B. 도전학기 모형
구분 |
활동 구분 |
내 용 |
|
도전프로젝트 수행 |
정규 교과목 |
||
모형1 |
교양과목으로 인정 |
온라인교과목 적극 활용 |
기존 경력개발센터 운영 중인 인턴십 교과목 활용 또는 관련 교양교과목 신설 예 : 자기도전설계I(3/3), 자기도전설계II(3/3), 자기도전설계III(3/3) 창업현장실습I(3/3), 창업현장실습II(3/3), 창업현장실습III(3/3) 도전프로젝트 소요시간 및 노력, 지도교수 평가에 따라 3~9학점까지 신청 및 인정가능 온라인/오프라인 교과목은 본인 신청한 만큼 학점 인정(최소 3, 최대 9학점) |
모형2 |
전공과목으로 인정 |
온라인교과목 적극 활용 |
2016-1학기 교과과정 개편시 각 전공에 <전공역량강화실습>(가칭) 신설 또는 <전공인턴십>을 활용하는 방안 TELOS 트랙과 연계 |
C. 도전 프로젝트 유형
원칙적으로 도전의 유형과 범위에 대한 제한적 룰/틀을 정하지 않고 다음의 유형을 가이드라인으로 제시함
1) 창의융복합탐구 도전(지식탐구역량)
● 자기 전공 외의 새로운 학문을 집중적으로 탐구하여 창의융복합 전공역량의 기초를 마련하는 학기로 삼는다. 교내 타전공 기초과목을 3개 이상 수강하여 평균성적 B+이상의 학점 취득함
● 소프트웨어(APP) 개발, 신제품 발명, 동영상/홍보물 제작 등 융복합적 지식을 요하는 창의적 결과물을 생산하고 특허 취득, 공모전 입상 등의 성과를 통해 우수성을 입증함
2) 창업활동 도전(창의융합역량)
● 다양하고 참신한 창업아이디어와 이를 현실화할 구체적인 실행방안을 설계하여 창업 활동에 도전함
3) 현장실습 도전(창의융합역량)
● 국내외 기관에 인턴으로 참여하여 현장실무능력을 갖춘 전문가로 성장하는 기반을 마련함
4) 문화예술 도전(문화예술역량)
● 공연기획, 문예창작, 건축설계, 영상제작 등 문화예술분야의 창작활동에 매진하여 공모전, 문학상, 연극제 등의 수상에 도전함
5) 사회봉사 도전(공존공감역량)
● 국내외 도움을 필요로 하는 곳을 찾아 스스로 봉사활동을 기획하고 주도하는 사회봉사에 도전함
6) 사회문제해결 도전(공존공감/세계시민 역량)
● 국내외 해결되지 않은 사회문제의 현황을 분석하여 그 해결방안을 고안하고 한 학기동안 이에 대한 사회적 공감과 동참을 이끌어낼 수 있는 프로젝트를 론칭함
7) 글로벌 도전(세계시민역량)
● 위 3, 5, 6과 연계
● 국외 어학연수 및 교환학생 수학기간 중 별도의 도전 프로젝트를 수행함
● 해외문화탐구, 국제기구 조사, 해외인턴십 등
8) 기타
4. 일정
● 1단계 : 도전학기 공모전 실시 10월 7일(수) ~ 10월 23일(금)
― 단대별 공모전 실시(10월) → 단대별 1차 심사(10월) 및 1차 선정(2~5팀) → THE인재양성총괄본부에서 2차 심사 및 개별 컨설팅 실시(11월) → 최종 당선자 발표(11월 말)
● 2단계 : 도전학기 운영
― 도전학기 활동 개시 및 1차 활동비 지급(12월) → 중간 결과보고서 제출(1월 말~2월 초) → 중간평가 이후 2차 활동비 지급(3월) → 도전 프로젝트 후반기 활동 개시(3월)
● 3단계 : 도전학기 프로젝트 완료 및 최종보고서 제출(5월)
5. 참가지원서 및 도전계획서 제출마감일 : 10/23(목) 오후 5시까지, 스크랜튼학부행정실
[첨부] : 도전학기제 양식 모음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