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WHA INSTITUTE FOR THE HUMANITIEShomehomesitemapewha

GNB바로가기

visualEwha’s history follows a proud trail of outstanding pioneers. 000
Books
Modern Knowledge and Journalism님의 사진입니다.
Title Modern Knowledge and Journalism
Author EIH
Publisher Somyeong
Date 2016
Series Humanistic Knowledge_2
[Explanation]
A study into how journalism has affected the modern field of knowledge. A third publication in the Humanistic Knowledge Series, Modern Knowledge and Journalism attempts a fresh interpretation of knowledge during Asia’s previous century of cultural shock and transformation. Journalism is discussed as a key authority that circulated and changed the existing field of knowledge. Part 1 mainly covers the restructuring of modern knowledge, and the formation of discourse in East Asia while Part 2 explores the literary and historical tendencies that had a direct impact on the p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knowledge.

[Index]

목차
책머리에 3

제1부―――근대 저널리즘과 동아시아 지식장의 전환
장칭―만청(晩淸)시기 중국 신매체에 의한 지식장의 형성
김선희 ―전근대 문헌의 공간(公刊)과 근대적 호명-근대 계몽기 지적 공인(公認)의 변화
차태근 ―근대 지식:저널리즘과 아카데미즘의 길항관계
스즈키 사다미―일본 근대 저널리즘에서 탄생한 새로운 두 장르-1920년대와 1930년대 일기와 수필 개념을 중심으로
김진희―근대 저널리즘과 ‘문학-지식’의 성격과 위상-1910년대~1920년대 이광수의 문학론을 중심으로
김수자―『신여성』 여성기자의 여성담론 구성방식-1920년대~1930년대 허정숙과 송계월을 중심으로

제2부―――근대 저널리즘과 지식 대중화의 양상들
정선경 ―만청(晩淸) 4대소설의 신문잡지 연재와 문학장의 전환
박숙자 ―식민지 조선에서 ‘별의별 것들’이 다루어지는 방식-『별건곤』의 대중성과 여성성
신하경 ―1920년대 일본 부인잡지와 ‘가정소설’ 속 여성상-기쿠치 칸[菊池?] 『수난화(受難華)』를 중심으로
서동주―1930년대 식민지 타이완의 ‘일본어문학’과 일본의 문단 저널리즘
최진석―근대 러시아 지식장과 역사철학 논쟁-서구주의 비평가의 내면적 초상으로부터
이선주―근대 영국 잡지를 통해 본 허버트 스펜서의 사회진화론

필자소개
초출일람

EIH Book Series

  • >
  • Publications >
  • EIH Book Ser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