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학대학 로고

GNB바로가기

연구성과
글번호
48119516
일 자
21.10.28
조회수
1456
글쓴이
약학대학
이용현 교수팀, 세계적 학술지 Advanced Drug Delivery Reviews 게재



약학대학 이용현 교수 연구팀의 논문 [Oral Nanomedicine for Modulating Immunity, Intestinal Barrier Functions, and Gut Microbiome]이 약학분야 세계 최고학술지중 하나인<Advanced Drug Delivery Reviews, IF-15.470, JCI Pharmacology&Pharmacy  분야 357개 저널중 상위 0.7%>에 게재되었다. [링크]


위장관계는 위장관에서의 국소적인 질병들뿐만 아니라 다양한 전신 질환들에도 크게 영향을 미친다. 위장관계와 인간의 건강과 다양한 질병들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주된 요소에는1) Gut-associated lymphoid tissuesLamina Propria로 구성된 점막 면역계, 2) Mucus와 내장 상피세포로로 구성된 내장장벽, 그리고 3) 장내미생물등이 있다.항원, 면역 조절제, 내장 장벽 강화제, 장내 미생물군조절제등과 같은 약물들은 경구 백신, 경구용 면역관용유도, 염증성 장질환 치료 및 암을 포함한 기타 전신 질환에 대한 유망한 결과를 나타나고 있으나 위장관계의 물리화학적 및 생물학적 장벽등이 임상이행에 있어 반드시 극복해야할 큰 문제점으로 나타나고 있는 실정이다. 나노물질의 진보와 더불어서 최근 주목받고 있는 경구용 나노의약은 이러한 장벽을 극복할 뿐만 아니라 위장관내의 표적 부위에 선택적으로 그러한 약물들을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매력적인 옵션으로 급부상하고 있다. 먼저, 본 리뷰논문에서는 앞서 언급한 위장관내 주요요소 (장내 면역계, 내장장벽, 장내미생물)와 다양한 장벽들에 대해서 자세히 살펴보고 있다. 나아가, 경구용 백신, 면역 관용유도 및 항염증 치료를 위한 경구용 나노의약의 최신동향을 소개하고 있으며, 내장 장벽기능을 강화가능하며 장내 미생물군과 미생물 대사 산물을 조절가능하도록 설계된 경구용 나노의약품의 최근 발전에 대해서도 논의하였다. 마지막으로 경구용 나노면역치료의 한계점과 향후 발전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특히,최근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들에게 크게 주목받고 있는 장내미생물을 장내면역계, 내장장벽과의 상관관계에 초점을 맞추어서 중점적으로 설명하고 있고, 나아가 이를 효과적으로 제어함이 실제 치료제의 개발로 이어질 수 있음을 보여줌에 따라, 관련분야 기초/응용 연구자들의 이목을 끌 것으로 예상이 된다.


이번 연구성과는 미국 NIH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하에 미시간대 의대 (공동저자 Nobuhiko Kamada 교수) 미시간대 공대/약대 (공동교신저자James Moon교수)와의 공동연구를 통하여 달성되었다. 이용현 교수는 현재 장내미생물의 효과적인 조절과 내장장벽의 향상을 통하여 다양한 질환의 치료 및 제어가능한 다양한 나노/바이오의약품등을 활발히 개발하고 있으며, 나노의약품을 활용한 항암면역치료전략개발 연구도 수행중에 있다

게시판검색
  • 이정연 교수 연구실 British Journal of Sports Medicine 학술지 게재
    이화여대, 국제올림픽위원회(IOC), 2020도쿄올림픽 및 패럴림픽위원회, 2018평창올림픽 및 패럴림픽위원회, 2012런던올림픽 및 패럴림픽위원회의약료전문가가 공동으로 대규모 운동대회에서 스포츠약료서비스의 개선방법을 발표하였다. 이 연구 결과는 세계적국제학술지인 브리티시저널 오브 스포츠메디신(British Journal of Sports Medicine)에2023년 1월 게재되었다. 본교대학원 약학과에 박사과정인 김승화 박사과정생과 장다미 학부생이 공동연구자로 참여하였다. 연구진은올림피안 운동선수라는 특수군에게 고도의 스포츠약료서...
    이화여대, 국제올림픽위원회(IOC), 2020도쿄올림픽 및 패럴림픽위원회, 2018평창올림픽 및 패럴림픽위원회, 2012런던올림픽 및 패럴림픽위원회의약료전문가가 공동으로 대규모 운동대회에서 스포츠약료서비스의 개선방법을 발표하였다. 이 연구 결과는 세계적국제학술지인 브리티시저널 오브 스포츠메디신(British Journal of Sports Medicine)에2023년 1월 게재되었다. 본교대학원 약학과에 박사과정인 김승화 박사과정생과 장다미 학부생이 공동연구자로 참여하였다. 연구진은올림피안 운동선수라는 특수군에게 고도의 스포츠약료서...
    글쓴이 : 약학대학
    일 자 : 2023-02-08
    조회수 : 171
  • 장선복 교수 연구팀 Nucleic Acids Research 학술지 게재
    장선복 교수 연구팀은 Major DNA repairpathway인 NER과 BER에 있어서 초기 DNA damage sensor로써역할을 하는 UV-DDB단백질의새로운 기능을 single molecule technique을 통하여 발견하여 세계적인 저널인 Nucleic Acids Research (IF: 19.16, JCI 상위랭킹 1.6%)온라인 판에 2022년 12월 13일에 발표하였습니다.[링크]우리 몸에서는 하루에도 수천, 수만개의 DNA damage가 발생합니다. 이를 고쳐주기 위한 시스템이 우리 몸에존재하게 되는데 이를 ...
    장선복 교수 연구팀은 Major DNA repairpathway인 NER과 BER에 있어서 초기 DNA damage sensor로써역할을 하는 UV-DDB단백질의새로운 기능을 single molecule technique을 통하여 발견하여 세계적인 저널인 Nucleic Acids Research (IF: 19.16, JCI 상위랭킹 1.6%)온라인 판에 2022년 12월 13일에 발표하였습니다.[링크]우리 몸에서는 하루에도 수천, 수만개의 DNA damage가 발생합니다. 이를 고쳐주기 위한 시스템이 우리 몸에존재하게 되는데 이를 ...
    글쓴이 : 약학대학
    일 자 : 2023-01-03
    조회수 : 179
  • 김광명 교수 연구팀, Biomaterials 학술지 게재
    김광명 교수 연구팀,Biomaterials 학술지게재이화여대 약학대학 김광명 교수 연구팀이 면역항암치료제의 일종인 면역관문억제제가 가지는빠른 회복성 문제를해결하기 위하여 면역관문에 다가 결합이 가능한 면역관문억제제 표면기능화 리포좀을 설계하는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국제 학술지인 Biomaterials(Impact factor: 20.441 / JCR ranking 상위 4.28%) 2022년 11월 290권에게재되었다.면역관문억제는 다양한 암종의면역항암치료에서 우수한 효능을 나타내는 방법으로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암세포...
    김광명 교수 연구팀,Biomaterials 학술지게재이화여대 약학대학 김광명 교수 연구팀이 면역항암치료제의 일종인 면역관문억제제가 가지는빠른 회복성 문제를해결하기 위하여 면역관문에 다가 결합이 가능한 면역관문억제제 표면기능화 리포좀을 설계하는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국제 학술지인 Biomaterials(Impact factor: 20.441 / JCR ranking 상위 4.28%) 2022년 11월 290권에게재되었다.면역관문억제는 다양한 암종의면역항암치료에서 우수한 효능을 나타내는 방법으로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암세포...
    글쓴이 : 약학대학
    일 자 : 2022-10-12
    조회수 : 701
  • 김광명 교수 연구팀, Biomaterials 학술지 게재
    김광명 교수 연구팀,Biomaterials 학술지게재이화여대 약학대학 김광명 교수 연구팀이 자가조립이 가능한 카텝신 B 특이적 독소루비신 전구체 나노항암제의 펩타이드 서열 변화에 따른 약동학적 특성 및 항암 효능 변화를 평가하고 최적의 펩타이드 서열을 탐색하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국제 학술지인 Biomaterials(Impact factor: 15.304 / JCR ranking 상위 5.68%)2022년 10월 289권에게재되었다.약물 담체를 사용하지 않는 자가조립성 전구체 나노항암제는 항암 치료 분야에서 그 잠재성...
    김광명 교수 연구팀,Biomaterials 학술지게재이화여대 약학대학 김광명 교수 연구팀이 자가조립이 가능한 카텝신 B 특이적 독소루비신 전구체 나노항암제의 펩타이드 서열 변화에 따른 약동학적 특성 및 항암 효능 변화를 평가하고 최적의 펩타이드 서열을 탐색하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국제 학술지인 Biomaterials(Impact factor: 15.304 / JCR ranking 상위 5.68%)2022년 10월 289권에게재되었다.약물 담체를 사용하지 않는 자가조립성 전구체 나노항암제는 항암 치료 분야에서 그 잠재성...
    글쓴이 : 약학대학
    일 자 : 2022-10-12
    조회수 : 373
처음 이전 다음 마지막

연구성과

  • >
  • 연구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