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기간 |
연구과제명 |
지원기관 |
2016.01.15 -2016.09.15 |
샘물 및 식품의 전략적 감각 품질관리 프로그램 개발 |
농심 |
2015.12.01 -2016.06.30 |
소비자 감성에 근거한 제품 품질 특성 규명 및 최적화 기술 개발 |
롯데제과 |
2015.05.01 -2018.04.30 |
식품에 대한 감각 재인(sensory recognition)과 기대(expectation) 효과를 고려한 탐지 이론적 식품 지각품질 평가 모델의 개발 |
한국연구재단 |
2014.04.01 -2015.03.31 |
발효조미식품의 감각 특성 연구 |
(주)유니레버 |
2013.01.01 -2014.12.31 |
전체론적 접근방법에 근거한 제품간의 의미있는 차이 측정법 연구 |
Unilever R&D
Vlaardingen |
2013.01.01 -2014.01.31 |
식품감각 정량화 시스템의 활용모델 개발 |
한국연구재단 |
2012.05.01 -2015.04.30 |
식품의 지각적 고유성(Authenticity) 및 감성(Affect) 기반 정량적 품질관리시스템 개발 |
한국연구재단
-기초연구사업
(학술진흥)
|
2011.05.01 -2014.08.30 |
소비자제품 수용도 및 선택 예측을 위한 지표 개발 |
㈜유니레버 |
2011.04.01 -2013.12.31 |
softness 측정을 위한 통합적 평가방법론 연구 |
Kimberly Clark
Worldwide |
2010.07.01 -2010.12.31 |
Confidential Project |
롯데제과㈜ |
2010.06.01 -2010.11.30 |
콩나물 제품군에 대한 소비자 지각도 도출 및 사용 목적과 관련된 제품 특성 탐색
Measurement of consumer semantic space for food usage |
㈜풀무원 홀딩스
서울지점 |
2010.05.01 -2010.10.31 |
2-AFCR을 활용한 소비자 감각차이 식별력 연구
Development of consumer discriminability measurement using 2-AFCR |
Unilever R&D
Vlaardingen |
2010.03.01 -2010.08.31 |
식품의 감각특성에 대한 차이식별력을 고려한 과학적 감성 평가 지표의 개발(단기)
Development of consumers' sensory preference measures for food, taking account for their sensory discriminability |
한국과학창의재단 |
2009.11.15 -2011.01.15 |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의 효과를 고려한 식품의 감각/선호도 예측 모델 개발 |
Unilever R&D
Vlaardingen |
2009.05.01 -2012.04.30 |
저염·저당 식품개발을 위한 식품 품질의 정량화 및 최적화 모델 개발
Development of universal measure for food quality for sodium and sugar reduction |
한국학술진흥재단
-이공계
일반연구자지원
|
2008.12.01 -2009.11.30 |
한국식품의 세계화를 위한 식품의 감각 및 감성적 품질특성차이 평가법 개발
Development of global consumer measures of sensory and emotional attributes of foods:Application of Thurstonian modeling |
(재)율촌재단 |
2008.08.01 -2009.04.30 |
청정우유제품에 대한 소비자 감각 예민도 분석
Analysis of consumer sensitivity discriminating various milk products |
일동후디스(주) |
2008.07.01 -2009.06.30 |
소비자 감각 인식전략(perception strategy) 및 다감각(multi-sensory) 상호작용의 이해를 통한 종합적 식품 향미 측정방법의 개발
Development of sensory methods for evaluation of consumer perceived flavory understanding cognitive effects of perception strategy and multi-sensory interactions |
한국학술진흥재단
-신진교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