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번호
11694529
일 자
17.08.23
조회수
422
글쓴이
한국여성연구원
[2016 제33집 1호-5] 가구화(Householding) 관점으로 본 경기도 A공단 필리핀 (미등록)이주여성의 가족 만들기


류우선 [2016 제33집 1호-5] 가구화(Householding) 관점으로 본 경기도 A공단 필리핀 (미등록)이주여성의 가족 만들기

http://www.dcollection.net/handler/ewha/000000128630


초록

본 연구는 경기도 A공단에 거주하는 필리핀 (미등록)여성이주자들이 연애와 결혼, 출산과 양육 과정에서 협상하고 실천하는 가족관계에 대한 분석으로 2013년 3월부터 8월까지 경기도 A공단에서 실시한 참여관찰과 14명의 필리핀 미등록이주여성들과의 심층면접을 바탕으로 한다. 이주민들의 집중 거주지로 알려진 A공단은 영세제조업이 밀집된 곳으로 1990년 초반부터 저임금의 이주민이 노동력으로 유입되기 시작했다. 값싸고 기술력 있는 필리핀 남성이주민들의 체류가 장기화되면서 이들을 통한 필리핀 여성이주도 증가해 왔다. 생애기획에 따라 남성과 여성은 서로 자원을 교환하면서 이주네트워크를 형성하고 가족을 만든다. 여성성의 협상을 통해 이주통로와 일자리를 제공받은 필리핀 여성들은 본국의 가족과 A공단에서 새롭게 형성한 가족에 대한 경제적·감정적 지원을 통해 가족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본 논문은 본국과 A공단 두 개 이상의 장소에서 두 개 이상의 가족을 유지하기 위해 벌이는 여성들의 협상과 실천을 가구화로 개념화한다. 연구는 이주와 정착 과정에서 이주여성이 만들고 유지하는 두 개 이상의 가족을 통해, 이주 전 본국 가족과의 연결성을 강조했던 초국적 모성 및 초국적 가족 개념을 이주 과정에서 형성하는 새로운 가족으로 확장한다는데 의미가 있다. 여성은 이주 전 과정에서 기존 가족개념이나 젠더규범에 순응하기보다는 가족형성과 유지라는 개인의 재생산기획에 따라 가족관계를 협상하고 변형하는 주체로 발전하고 있다.


This article investigates the family making of undocumented Filipina at A industrial complex during migration stints. For this purpose, it adopted the in-depth interview with 14 undocumented Filipina who deliver baby both A industrial complex and the Philippines. The interview conducted in their house or factory from March to August in 2013. A industrial complex located in Gyeonggi-do Province is known to the migrant residence and the areas with small furniture factories since the early 1990s. Because migrants came to A industrial complex for job and small factories crowded for cheap, skilled, and plentiful migrants. The longer migrants stay, the more children are born. That means that undocumented Filipina manage to the demands of emotion and economy from families in Philippines, but also they take responsibility for the family made in A industrial complex. In this contexts, householding is the family relationship practice of Filipina and it implies that they share housework and child rearing with partners at A industrial complex, but maintains separation of goods to support families in the Philippines as a female-headed household. This article examines how undocumented Filipina interpretate the family relationship at A industrial complex. This article contends that undocumented Filipina becomes the subject who negotiates and transforms the family relationship both the Philippines and A industrial complex.


Ⅰ. 들어가기 

Ⅱ. 여성 가장 가구(female-headed households)와 가구화 

Ⅲ. 연구방법과 연구참여자 

Ⅳ. 재생산 기획으로써 연애와 이주 

Ⅴ. 교환으로써의 가족관계 

Ⅵ. 젠더규범과 여성가장가구 

1. 여성가장가구의 초국적 가족 경영 

2. 가족경영과 송금 

Ⅶ. 가족관계의 위계화와 가구화 

Ⅷ. 나가기 

참고문헌 

Abstract

다음글 [2016 제33집 1호-4] 북한 내 재생산 영역의 사회구조와 여성의 실천 : 임신‧출산 관련 법제와 개인 경험을 중심으로
이전글 [2015 제32집 2호-1] 신자유주의 시대의 멜로드라마적 상상력 : 텔레비전 드라마 <비밀>을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