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번호
11694428
일 자
17.08.23
조회수
481
글쓴이
한국여성연구원
[2015 제32집 2호-3] 기혼여성의 불임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강성례·이윤정[2015 제32집 2호-3] 기혼여성의 불임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http://www.dcollection.net/handler/ewha/000000123312


초록

본 연구는 기혼여성의 불임경험에 담겨있는 상황적 맥락과, 신체ㆍ심리ㆍ사회적 문제를 포괄적이고도 심층적으로 탐색하여 관련된 현상의 구조와 의미를 밝혀내기 위해 수행된 현상학적 연구이다. 본 연구의 참여자들은 결혼한 가임기의 여성으로서 임신을 원하여 피임을 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3년 이상 임신을 하지 못해서 신체적, 심리적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는 6명의 여성으로 구성되었다. 자료는 참여자와의 개별적인 심층면담을 통해 수집되었고, 자료 분석은 Colaizzi가 제시한 7단계의 분석방법에 따라 이루어졌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는 4가지 주제모음에 함축적으로 담겨있는데, 각각의 주제모음은 ‘불임으로 삶이 무너짐’, ‘불임치료로 피폐되어 감’, ‘불임으로 인해 단절된 삶’, ‘탈출구를 찾기 위해 애를 씀’으로 나타났다. ‘불임으로 삶이 무너짐’은 불임진단이전의 삶이 무너지고 삶의 국면이 부정적으로 전환되는 현상을 나타내며, ‘불임치료로 피폐되어 감’은 불임치료에 집착하는 과정에서 경험하는 신체적, 정신적, 경제적 소진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불임으로 인해 단절된 삶’은 불임으로 인해 가족 및 사회적 교류에서 정서적 상처를 받고 이를 기피하는 참여자들의 고립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마지막으로 ‘탈출구를 찾기 위해 애를 씀’은 불임으로 해체되고, 피폐되었으며, 단절된 삶을 경험한 참여자들이 불임이라는 피할 수 없는 삶의 조건을 받아들이고자 필사적으로 노력하는 상황을 담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불임여성을 위한 지지체계가 마련되어야 필요가 있다. 뿐만 아니라 불임여성의 갈등과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기 위한 중재프로그램에는 사회적 지지요소와 내재적 지지요소가 균형을 이루며 반영되어야 할 필요가 있으며, 무엇보다 불임여성 스스로가 찾고 수행하는 자생적 노력이 지지되고 존중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cribe the experience of infertility among married women in Korea. There were six participants who have agreed to participate in this study. Data were collected by in-depth interviews of the participants in one-on-one setting. Data were analyzed using Colaizzi’s method of phenomenology. As a result, 4 main themes were extracted from the raw data which were ‘broken life by infertility’, ‘exhausted life by infertility’, ‘disconnected life by infertility’, and ‘Struggling to find the way out’. ‘Broken life by infertility’ was a very early experience of women who are diagnosed with infertility. And also ‘exhausted life by infertility’ showed that infertile women have been exhausted physically, psychologically, and economically during artificial insemination. ‘Disconnected life by infertility’ meant that infertile women were self-blaming as lacking person and they isolated themselves from others. ‘Struggling to find the way out’ meant that infertile women were struggling to overcome this difficult situations with the help of social support system and internal mechanism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to develop the programs to support with married women infertility within their living experiences of suffering.


Ⅰ.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Ⅱ. 연구방법 

    1. 연구 설계 

    2. 연구 참여자 선정 

    3. 자료수집 

    4. 자료 분석 

    5. 윤리적 고려 

    6. 엄밀성 확보 

Ⅲ. 연구결과 및 논의 

    1. 불임으로 삶이 무너짐 

    2. 불임치료로 피폐되어 감 

    3. 불임으로 인해 단절된 삶 

    4. 탈출구를 찾기 위해 애를 씀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다음글 [2015 제32집 2호-2] 일상적 재생산의 금융화와 성매매 여성들의 ‘자유’의 확대
이전글 [2015 제32집 2호-4] 감정으로서 법 : 『혐오와 수치심』(Hiding from Humanity: Disgust, Shame, and the Law), 마사 너스바움(Martha C. Nussbaum) 저, 조계원 옮김, 민음사,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