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번호
14392998
일 자
18.02.12
조회수
410
글쓴이
한국여성연구원
[2017 제34집 2호-2] 일본군 ‘위안부’ 담론의 가부장성을 넘어서는 방법 : 다큐멘터리 <레드마리아2>의 탈정치성 비판

[2017 제34집 2호-2] 일본군 ‘위안부’ 담론의 가부장성을 넘어서는 방법 : 다큐멘터리 <레드마리아2>의 탈정치성 비판


김주희[2017년 제34집 2호-2] 일본군 ‘위안부’ 담론의 가부장성을 넘어서는 방법 : 다큐멘터리 <레드마리아2>의 탈정치성 비판


http://www.dcollection.net/handler/ewha/000000148684


초록


이 연구는 경순 감독의 2015년 작, 다큐멘터리 <레드마리아2>에 관한 여성주의적 비평을 시도하는 논문이다. 이 영화는 일본군 ‘위안부’ 담론의 가부장적 프레임을 넘어서기 위해 성매매에 대한 인식 변화가 이루어져야 한다고 주장한다. 매춘혐오를 거두고 성매매를 성노동으로 인정함으로써 일본군 위안부 담론을 페미니즘적으로 전환할 수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본고는 이 영화가 탈식민 페미니즘 연구들을 누락하면서 말 걸기 전략에 실패했다고 보았다. 영화에서는 일본군 위안부에 대한 ‘한국’ 탈식민 페미니스트 지식의 담론 투쟁은 없는 것처럼 다루어진다. 그 결과 영화의 서사구조는 지적 가부장성, 지적 식민주의로 수렴된다. 동시에 본고는 이 영화가 매춘혐오라는 개념에 대해 매춘을 직업으로 하는 여성을 미워하는 마음으로 오해하고 있다고 본다. 하지만 매춘혐오는 ‘위안부’와 성노동자를 만들어내는 제도와 그것을 합리화하는 실천이 만들어내는 결과이다. 이러한 매춘혐오에 대한 몰이해로 인해 영화에서는 여성이 위안소, 유곽, 성매매 업소 등에 배치되는 구조적 기획이 고려되지 않는다. 본고는 가부장적 민족주의 프레임에서 역사 만들기를 위해 동원되고 있는 일본군 ‘위안부’의 단일화된 피해 서사를 넘어서기 위해서 ‘위안부’ 피해자들의 몸의 경험과 차이의 정치학에 대한 모색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피해자의 자격을 물으며 추방되어온 다양한 살아있는 몸의 경험과 연대하면서 비로소 역사에서 누락된 여성들에 대한 기억의 정치를 지구적으로 재구축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s to try feminist criticism on Kyungsoon’s documentary film Red Maria 2 released in 2015. This film argues that the stance towards the prostitution should be changed to get over the patriarchal discourse on Japanese military 'comfort women.' It points out the necessity of acknowledging prostitution as a sex work instead of the hatred, to switch the discussions on 'comfort women' issues to feminist way. However, this paper insists that the film failed in compellation strategy while omitting the postcolonial feminist studies. The documentary is unfolded as if 'Korean' postcolonial feminist knowledge discourse and struggle did not exist. As a result, its narrative structure converges to intellectual patriarchalism and intellectual colonialism. At the same time, this study claims that the film misunderstands the concept of prostitution hatred as dislikes of women whose occupation is a prostitute. However, prostitution hatred is a result of the system that makes military 'comfort women' or the sex workers and the practices to rationalize it. Due to the lack of understanding of the prostitution hatred, the film does not consider a structures how women are placed in the 'comfort stations,' red-light districts, and prostitution clubs. This study argues the needs for seeking the politics on 'comfort women'’s bodily experiences and their differences to go beyond the simplified victim theory that is mobilized to make history in the patriarchal nationalism frame. In olidarity with the diverse lived bodies’ experiences that have been expelled being asked the qualification for a victim, we can restructure the global memory politics of the women who were missed in history.


Ⅰ. 들어가며 


Ⅱ. 다큐멘터리 <레드마리아2>와 매춘혐오라는 문제의식 


Ⅲ. 매춘혐오를 통한 성노동자와 일본군 위안부 간 유비의 불가능성 


Ⅳ. 페미니스트 몸 정치학이라는 대안적 인식방법 


Ⅴ. 결론 


참고문헌


다음글 [2017 제34집 2호-3] 한국의 지방자치와 젠더 정치의 현실 : 광역 및 기초자치단체장의 실태를 중심으로
이전글 [2017 제34집 2호-1] 개발 시기 기혼여성의 비공식 노동 경험과 탈빈곤 전략 : 1940년대 출생 여성의 생애 이야기를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