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번호
28928095
일 자
20.01.23
조회수
295
글쓴이
한국여성연구원
[2019 제36집 1호-3] 페미니즘'들': 변화, 위해, 소통의 경험들

[2019 제36집 1호-3] 페미니즘'들': 변화, 위해, 소통의 경험들


추지현 [2019 제36집 1호-3] 페미니즘'들': 변화, 위해, 소통의 경험들


 http://www.dcollection.net/handler/ewha/000000159596


초록

디지털 공간을 오가며 다양한 형태의 페미니스트 실천이 나타나고 있다. 이 연구는 20~30대 여성들의 이야기를 통해, 그 실천 전략에 차이를 가져오는 요인을 탐색하고자 했다. 폭력 피해나 페미니스트라는 낙인이 초래할 손해 등 ‘위해’에 대한 불안, ‘소통’의 조건 부재는 ‘변화’ 가능성에 대한 우울한 전망을 낳고, 이것이 배제의 논리와 여성들만의 결집, 개인화된 대응 전략을 추동했다. 신자유주의 질서는 반페미니즘의 움직임과 미래 불확실성을 매개로 이 과정을 강화시키고 있었다. 하지만 여성들의 위해에 대한 인식이나 변화를 위한 실천은 사회적 지지나 신뢰의 경험, 이를 가능하게 하는 관계망, 여성학 수업과 페미니즘 동아리 등 제도화된 자원의 존부에 따라 상이했고 또한 재구성되고 있었다. 여성들의 소통 조건, 변화와 위해에 대한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힘들을 식별하고 개입하는 것이 페미니스트 정치의 과제로 남아 있다.


This article investigates the diversity of feminist practices that emerge in and out of digital space, through 20s and 30s women’s narratives. The anxiety of victimization of violence or harm caused by stigma against feminist and the absence of condition to communicate lead to the pessimistic prospect of social transform, which drives the strategies for logic of exclusion, solidarity only for women, and individual choices to act. These strategies are reinforced by the anti-feminist activism and precarity in the context of neoliberalism. However, perception of women's risks or strategies for changing the reality were different and restructured depending on the experiences of social support and trust, social network and the existence of institutionalized resources such as courses of women’s studies and students’ associations. Finally, feminist politics remains the task of identifying and intervening forces that influence women's conditions of communication, perceptions of change and harm.


Ⅰ. 서론

Ⅱ. 연구 대상 및 방법

Ⅲ. ‘변화’의 구상과 전략: 상이한 현실 진단과 변화 가능성의 경험

Ⅳ. ‘위해’ 가능성에 대한 인식: 폭력 두려움과 불안정한 미래 전망

Ⅴ. ‘소통’의 조건인 ‘논리’와 사회적 관계망

Ⅵ.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다음글 [2019 제36집 1호-2] 남성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성폭력 가해자의 아내' 발화의 효과
이전글 [2019 제36집 1호-4] 성매매 운영 대중화에 따른 개별화, 후기 게시판 시스템에 대한 연구: 인터넷 연계형 성매매를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