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번호
28927777
일 자
20.01.23
조회수
351
글쓴이
한국여성연구원
[특별기고] 미투의 형성 권력

[특별기고] 미투의 형성 권력


Kyoo Lee, Jamieson Webster [특별기고] 미투의 형성 권력


http://www.dcollection.net/handler/ewha/000000154543


초록
자신의 구조에 대한 형식 분석으로 시작하는 미투에서 우리는 무엇을 배울 수 있을까? 하나의 “나me”에 또 다른 “나”를 무한히 덧붙이는 언어학적 긍정은 그런 강력한 표류에서 무엇을 창조할까? 부분에서 부분으로 움직이는 이런 환유적 구조는 들불처럼 퍼지는 움직임을 만들어내면서, 정체성, “나I”의 안정성, 은유의 자기보존에 더 매진하는 제도적 구조들에 맞서 싸울 권력을 포함해서 자신의 휘발성을 추가한다. 이런 점에서 우리가 “환유적미투metony#metoo”라 명명한 이 작은 파편은 여성혐오적 폭력의 공공연한 비밀이자 성관계의 고통과 불가능성이기도 한 원초적 장면을 가리키고 명명하려는 목적을 갖는다. 구조적 폭력을 가리키고 폭로하는 이 휘발성의 구조를 동시에 다루면서 우리가 이 글에서 제기하는 질문은 이렇다―우리는 어디에 상륙하게 될까? 이 움직임에 윤리적 차원을 제공하는 데 도움이 되려면, 격발의 통풍구 너머로 나아갈 어떤 창안이 필수적인가?


Ⅰ. 하위-발화행위와 Impacts.mp4
Ⅱ. 대중에 의한 미-토니미
Ⅲ. “액세스 할리우드”의 시대의 “실재”
Ⅳ. 창안적 격발

다음글 [2018 제35집 2호-4] 부추겨지는 성폭력 역고소와 가해자 연대
이전글 [2018 제35집 2호-5] 돌봄노동 시간 개념과 측정 : 자녀 돌봄노동을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