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번호
28927671
일 자
20.01.23
조회수
426
글쓴이
한국여성연구원
[2018 제35집 2호-6] 방문교육지도사들의 경험을 통해 본 다문화가족정책의 돌봄관리체계

[2018 제35집 2호-6] 방문교육지도사들의 경험을 통해 본 다문화가족정책의 돌봄관리체계


정신희 [2018 제35집 2호-6] 방문교육지도사들의 경험을 통해 본 다문화가족정책의 돌봄관리체계


http://www.dcollection.net/handler/ewha/000000154548


초록
돌봄이 공적 영역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제공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돌봄은 여전히 여성과 가족의 모습을 한 ‘사적인’ 형태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공적 돌봄이 양적 팽창에만 머물고 있는 이유는 돌봄이 특정 정책의 기조에 따라 도구적으로 수행되는 측면이 간과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돌봄’을 고정되고 실질적인 내용이 있는 것이기보다 조건에 따라 관계적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정의하고 공적영역에서의 여성 돌봄이 특정 정책의 구조적 조건에 의해 재구성되는 방식을 드러내고자하였다. 이를 위해 오랫동안 가장 가까이에서 결혼이주여성과 그 가족을 돌보아 온 다문화가족 방문교육지도사(이하 지도사)의 경험에 주목하였다. 간병, 보육, 장애 등 특정 서비스를 제공하는 형태의 돌봄과 달리 자신의 가족을 ‘사적으로’ 돌보듯 다문화가족을 ‘공적으로’ 돌볼 책임을 암묵적으로 할당받은 이 여성들의 위치는 다문화사회담론이나 경력단절여성 일자리 프레임으로만 환원시켜 설명하기 어려운 돌봄의 정치학을 압축하고 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다문화가족정책은 다문화가족을 돌보는 이주민-선주민, 두 명의 여성을 확보하고 이들을 통해 다문화가족의 돌봄 기능을 “회복”시키고 “사회통합”을 이루고자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지도사들의 돌봄을 재구성하였다. 첫째, 돌봄 관계 안에서 개인의 필요에 따라 대화적으로 응답되는 돌봄 방식을 비가시화하고, 전달될 수 있는 형태의 ‘전문적’ 서비스를 강화하고자 하였다. 둘째, 다양한 여성들의 다양한 돌봄 실천들을 “한국식 어머니노릇”을 중심으로 ‘위계화’하고자 하였다. 이는 지도사와 대상자의 관계에서 돌봄은 옳은 것/틀린 것이 되고 이는 대상자의 행위를 판단하는 근거가 되었다. 마지막으로 정책 당사자들인 지도사와 결혼이주여성의 다양한 돌봄 실천들이 각각 국가와 가족과의 관계 안에서 표준화된 하나의 돌봄 기능으로 소환되어 “발전된 국가”, “건강한 가족”을 위해 복무하도록 ‘도구화’ 하였다.


Despite the fact that caring is provided in a variety ways in the public domain, it still remains a 'private' form of the image of women and families. The reason why public care is staying only in the quantitative expansion is that it is overlooked that caring is carried out instrumentally according to the condition of the specific policy. Therefore, in this paper, 'care' is explained to be constituted relationally rather than fixed and substantive contents, and the way in which women’s care in the public sphere is reconstructed by the the structural condition of specific policy. To this end I have paid attention to the experiences of 'home visiting supervisors' of multicultural family supporting programs who have been taking care of marriage immigrant women and their families for a long time. Unlike carings that provides specific services such as nursing, child care, and disability, these women, who are implicitly assigned to take care of their multicultural families 'publicly' as if they are 'private' in their own families, it cuts down the politics of care that is difficult to explain by reducing only the cutoff job frame.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The multicultural family supporting program reconstructed the care of the supervisors in order to achieve "social integration" and "recovery" of the multicultural family’s caring function through securing the two immigrant-natives women who cares for multicultural families. First, the way of care-giving that used to be dialogically responsed according to individual’s needs has been asked to be more professionaly delivered. This means that the "multicultural" policy makes 'care-giving' invisible. Second diverse ways of caring practices based on different life styles have been hierarchically ranked and reduced into "Korean motherhoo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mmigrant and the native, the care is right/wrong and it is the basis for judging the behavior of the immigrant. Finally, a variety of caring practices of both immigrant/native women who are policy parties, were recalled as one standardized "care function" in relation to the state and family, and 'instrumentalized' to serve the "healthy family" and "more developed fatherland."


Ⅰ. 문제제기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다문화가족지원사업의 돌봄관리체계
Ⅴ. 결론
참고문헌

다음글 [2018 제35집 2호-5] 돌봄노동 시간 개념과 측정 : 자녀 돌봄노동을 중심으로
이전글 [2018 제35집 2호-7] 디지털 공간에서 중노년 여성들의 관계맺기에 관한 여성주의 고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