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번호
32875469
일 자
20.07.28
조회수
418
글쓴이
한국여성연구원
[2019 제36집 2호-7] 조선후기, ‘계녀(戒女)’의 역설 : 아버지가 딸을 위해 쓴 제문의 행간 읽기


[2019 제36집 2호-7] 조선후기, ‘계녀(戒女)’의 역설 : 아버지가 딸을 위해 쓴 제문의 행간 읽기


정지영 [ 2019 제36집 2호-7] 조선후기, ‘계녀(戒女)’의 역설 : 아버지가 딸을 위해 쓴 제문의 행간 읽기


http://www.dcollection.net/handler/ewha/000000164253


초록

조선후기 사대부들은 부녀자를 유교적 규범에 따라 계도하고자 했다. 하지만, 그 규범이 자신의 ‘딸’을 향할 때 불편한 긴장이 만들어졌다. 이 글은 죽은 딸에 대해 서술한 아버지의 글을 통해 그들이 설정한 규범을 스스로 어그러뜨리는 과정을 읽어본 것이다. 17세기, 18세기 죽은 딸을 애도하는 글은 주로 시집을 가서 다른 가문의 며느리가 된 딸을 대상으로 한다. 이에 그녀가 얼마나 부덕에 합당하게 살았는지, 시부모에게 어떤 칭찬을 들었는지 등의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하지만, 딸에 대한 애착, 슬픔, 비통한 마음을 토로하는 과정에서, 아버지들은 부녀의 덕목에 대한 규범적 기준에서 벗어난 속내를 드러낸다. 시가에서 게으르지 않았다고 하는 말은 칭찬이지만, 아버지의 입장에서 딸을 힘들게 하여 병들게 한 이유로 지목된다. 혼인 후에 남편을 따라 자결한 딸에 대한 글에는 짧은 체념의 말이나, 어리석은 선택을 질책하는 말을 담았을 뿐이다. 죽은 딸의 신주를 가져와서 그 영혼이 부모 곁에 있도록 조치를 취하고, 딸의 무덤을 가까이 두기 위해 옮겨오며, 죽은 뒤에 만나기 위해 불교의 윤회설을 믿고, 죽음을 위로하기 위해 도가에 기대어 장자(莊子)의 꿈에 대한 논의를 끌어오기도 한다. 조선의 사대부들은 부녀자들에게 시부모를 친부모보다 더 극진히 봉양하라고 가르쳤지만, 한편으로는 자신의 특별하고 아까운 딸은 죽어서도 곁에 두고 싶어 하고 차마 보내지 못하며 애통해한다. 조선후기 부녀자를 애도하는 글은 기본적으로 유교적인 규범에 따른 ‘부덕’을 기준으로 그 삶에 의미를 부여한 기록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규범적인 태도로 딸의 죽음을 칭송하거나 애도하는 분위기의 틈새에서 아버지들의 ‘다른’ 이야기들이 돌출되고 있었다. 딸의 죽음을 말하는 아버지들의 제문은 규범과 비규범적 돌발성이 뒤엉킨 채 규범을 공언하면서 거부한 역설을 담고 있다.


The elite men in the late Chosŏn period left commemorative writings about their deceased female family members. Not only do commemorative writings praise the deceased, but they also evaluate their lives according to the Confucian norms. This study examines the commemorative writings for the deceased daughters to reveal the tension between the Confucian norms established by the elite men and their failure to adhere to them when they are grieving for their deceased daughters. Mostly, the daughter about whom a commemorative writing was written by her father had been married before death. The father-author would be conscious of his daughter’s in-laws and write about how virtuously she had lived as a married woman and how much she was praised by her parents-in-law. However, in the process of expressing the affection, sadness, and grief for his deceased daughter, many authors reveal their innermost feelings that deviate from the Confucian norms. When it is mentioned that she was never lazy during her life at her husband’s home, it is usually a compliment. Yet, the father points out that it was the reason she fell ill. The commemorative writings about the daughters who committed suicide after their husbands’ death are usually just short notes either with resignation or of reproval. Some of the fathers moved his daughter’s mortuary tablet so that her soul rested by her parents, some moved the grave to be near her, some began to believe in the Buddhist doctrine of samsara, and some others even brought in the Taoist discourse of the “dream of Chang Tzu.” On the one hand, the elite men in Chosŏn taught their daughters that she should, once married, belong to her husband’s family and praised her if she was a good daughter-in-law. On the other hand, however, they would get almost obsessed, in their grief, to keep their beloved daughters by their side. Even though they had established the norms of women’s virtue in accordance with the Confucian ideology, they could not apply it to their daughters without faltering. This study intends to read between the lines of the commemorative writings about the deceased daughters. In the process of praising and grieving their deceased daughters, the authors reveal their innermost feelings, making their commemorative writings a paradoxical realm in which the norms they established themselves are contradicted by their personal affection for their own daughters.


Ⅰ. 머리말
Ⅱ. 딸에 대한 글: 부덕을 칭송하고 가르치기
Ⅲ. 시가의 며느리, 친가의 딸
Ⅳ. 규범의 경계를 넘어
Ⅴ. 나가며
참고문헌
ABSTRACT


다음글 [2019 제36집 2호-6] 북한 여성 과학기술인의 지위 : 북한 과학기술 부문 여성 과소대표성의 구조적 요인
이전글 [서평] 횡단하는 페미니스트, 글로리아 스타이넘에 바치는 헌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