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번호
46260792
일 자
21.09.13
조회수
274
글쓴이
한국여성연구원
[2021 제38집 1호-1] 여성주의 분단연구: 이이효재의 『분단시대의 사회학』의 확장

[2021 제38집 1호-1] 여성주의 분단연구: 이이효재의 『분단시대의 사회학』의 확장


조영주 [2021 제38집 1호-1] 여성주의 분단연구: 이이효재의 『분단시대의 사회학』의 확장



초록

한반도의 평화가 중요해진 시점에서 한반도의 평화를 여성주의적 관점에서 어떻게 재구성할 것인가의 논의가 필요한 때이다. 당위론적 목적으로만 존재하는 평화를 현실에 기반을 둔 논의로 가져가고 성평등한 한반도의 미래를 구상하기 위해서는 평화를 저해하는 구조이자 현실인 분단에 대한 재인식이 우선되어야 한다. 본 논문은 분단에 대한 논의 지형과 평화에 대한 여성주의적 논의를 살펴보고, 이이효재의 『분단시대의 사회학』에서 제시하고 있는 분단에 대한 관점과 논의를 중심으로 여성주의적 관점에서 어떻게 분단을 인식하는 것이 필요한지를 고찰하였다. 이이효재의 『분단시대의 사회학』은 분단과 사회적 갈등의 관계를 규명하고 분단권력을 젠더 관점에서 분석하여 탈분단과 여성의 실천적 과제를 도출해야 한다는 점을 밝히고 있다. 이러한 접근 방식을 바탕으로 앞으로의 분단연구가 지향해야 할 연구의 방향에 대한 고민과 한반도 평화에 대한 여성주의적 접근이 확장되어야 한다.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has become essential and it is time to discuss how to reconstruct peace on the peninsula from a feminist perspective. In order to bring about the shift from peace that exists only at the level of an ideal to a discussion based on reality, and pursue gender equality for the future of the Korean Peninsula, a re-awareness of the national division must be prioritized as it is a structure and reality that hinders peace in the first place. This study examines the discussion of the division and the feminist discourse of peace, and considers the necessity to recognize the division from a feminist approach, focusing on the perspective of the national division shown in Lee Hyo-jae’s The Sociology in the Era of the Divsion of two Koreas. Her book highlights the ne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ivision and social conflict to analyze the power of the divisional structure from a gender perspective and derive practical ways to overcome the division and women’s oppression. Based on this approach, we must think about the future direction of research on this subject and expand the scope of the feminist approach to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논문보기: http://www.dcollection.net/handler/ewha/000000181176


Ⅰ. 들어가며 

Ⅱ. ‘분단’에 대한 기존 논의 

Ⅲ. 분단과 평화에 대한 여성주의적 접근 

Ⅳ. 여성주의 분단연구를 위한 과제 

Ⅴ. 나오며

참고문헌

다음글 [서평]''한인'을 넘어서는 이주와 젠더의 정치': 『경계를 넘는 한인들:이주, 젠더, 세대와 귀속의 정치』
이전글 [2021 제38집 1호-2] 이이효재의 가족연구를 통해서 본 한국여성운동의 의미와 과제 : 호주제 폐지 운동에서 낙태죄 폐지 운동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