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번호
74510682
일 자
23.09.05
조회수
209
글쓴이
한국여성연구원
[2023 제40집 1호-1] 변화하는 제주도 개발 담론과 마을 주민 성원권의 젠더정치

변화하는 제주도 개발 담론과 마을 주민 성원권의 젠더정치


김상애

제주대학교 사회학과 박사과정


최근 제주도 개발을 둘러싼 담론에서는 개발과 관련하여 주민의 권리 및 자격, 참여 등 ‘주민됨’의 문제가 복잡하게 제기되고 있다. 이 연구는 제주도 마을의 현장 연구를 통해, 지역의 개발과 주민됨의 의미를 탐구하고, 마을이라는 장소, 그리고 공동체를 둘러싼 성원권의 젠더정치가 ‘마을 발전’ 담론의 근간을 이루고 있음을 드러내고자 했다. 연구 현장인 ‘벵듸’마을에서 지역 개발과 발전의 의미 구성에는 마을에 기반한 삶의 맥락과 밀접하게 관련되었다. 개발이 마을과 무관한, 마을의 것이 아닌 사회경제적 과정으로 이해되었다면, 발전은 마을의 사회적 재생산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것으로 간주되었다. 이같은 맥락에서 추진된 마을 발전 프로젝트는 주민들의 젠더화된 참여를 바탕으로 진행되었고, 마을의 남성과 여성에게 발전과 관련한 서로 다른 경험을 가져다 주었다. 이는 개발과 발전, 혹은 보존이 규범적으로 전제하는 ‘지역 주민’이 이해관계가 단일한 동질적 집단이 아니라, 젠더화된 성원으로 이뤄진 복잡한 공동체라는 점에 주목하게 한다. 이 글은 지역의 개발과 발전에 대한 페미니스트 포스트-발전주의적 접근을 통해 지역의 개발과 발전 담론이 재편하는 권력 관계가 젠더정치에 기반하고 있음을 밝혔다.


주제어: 제주도 개발, 마을, 성원권, 장소, 사회적 재생산



Gender politics of Membership in Changing Development Discourse of Jeju-island


Sangae Kim 

Ph.D. student, Dept. of Sociology, Jeju National University


Recent discourses on the development of Jeju Island have raised the issue of 'being a resident' in relation to development in complex ways. This paper explores the meanings of local development and being a member of a local community, showing that the gender politics of village membership, place and community underlie the discourse of 'village development'. In Bengdi village, the meaning of local development was constructed in relation to the context of village life. While the development of Jeju was understood as a socio-economic process independent of the village, the development of the village was seen as essential for the social reproduction of the village. Village development projects were based on gendered participation, bringing different experiences of development to men and women in the village. This draws attention to the fact that the 'local people' that development, progress or conservation normatively presupposes is not a homogeneous group with a single set of interests, but a complex community of gendered members. Using a feminist post-development approach, this article shows that the power relations that local development discourses reshape are rooted in gender politics.


Keywords: Development, Village, Membership, Place, Social Reproduction 


논문보기: http://www.dcollection.net/handler/ewha/000000205835


Ⅰ. 문제제기

Ⅱ. 지역/장소에 대한 페미니스트 포스트-발전 논의와성원권의 젠더정치

Ⅲ. 자료 수집 방법 및 연구 현장

Ⅳ. 개발/발전 담론이 구획하는 마을(공동체)의 경계

Ⅴ. 마을 발전 프로젝트와 마을 주민 성원권의 젠더정치

Ⅵ. 결론

다음글 [2023 제40집 2호-3] ‘백파선(百婆仙)’연구 : ‘여성 도공’으로서의 의미를 중심으로
이전글 [2023 제40집 1호-2] 장소 기억의 정치와 페미니즘적 재구성 : 서울 창신동에 대한 다층적 의미 구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