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번호
8468262
일 자
17.01.26
조회수
382
글쓴이
김문정
[정책보고서] 고령화 사회의 새로운 노동통합 정책-사회적 경제의 적용 가능성 중심으로

 그림

 고령화 사회의 새로운 노동통합 정책 -사회적 경제의 적용 가능성 중심으로


    박경하(한국노인인력개발원 부연구위원)

    도수관(대구가톨릭대학교 행정학과 교수)

    윤남희(임팩트스퀘어 수석연구원)

    이현미(한국노인인력개발원 연구원)


- 발행 : 201312

- 주요내용 : 사회적경제가 고령화 사회에 대비한 새로운 노동통합정책으로서

 적합한 것인지를 이론적 논의와 더불어 실증적 분석을 통해 설명

- 발행처 : 한국노인인력개발원

- ISBN : 979-11-85663-09-08

 -Link: https://kordi.go.kr/board.do?code=N107&type_cd=&mCode=B0782&mode=view&seq=

103670&searchDivision=&search=&pg=3&pageSize=10

 - 목차

목차

1장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내용 및 연구방법

 

2장 이론적 논의

1. 사회적 경제 일반론

2. 사회적 경제관련 이론 정리

3. 한국의 사회적 경제조직 등장배경

4. 한국의 사회적 경제 현황

 

3장 국외 정책동향 : 유럽의 사회적 경제

1. 사회적 경제 범위와 역할

2. 국가별 사회적경제 정책의 특성

 

4장 사회적 경제조직의 성과

1. 한국의 사회적 경제조직

2. 분석자료와 분석방법

3. 사회적기업의 성과 분석

4. 소결 및 시사점

 

5장 고령화 문제와 사회적 경제의 쟁점

1. 고령화 사회의 사회서비스 정책

2. 고용과 사회서비스 통합정책 : 사회적경제와 사회서비스

3. 지역사회의 연대와 파트너십

 

6장 결론

 

참고문헌

 


다음글 [해외저널] 초저출산·초고령사회 위험과 사회갈등
이전글 [해외저널] The creation of age-friendly environments is especially important to frail older people , JANE M. CRAMM et.al, Ageing & Society , 2016, p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