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번호
12611989
일 자
17.10.24
조회수
256
글쓴이
김문정
컴퓨터 환경에서 한글 글자 크기가 청년과 노인의 읽기 속도에 미치는 영향, 김선경, 이혜원,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2015, Vol.27 No.3, pp367-384

제목

컴퓨터 환경에서 한글 글자 크기가 청년과 노인의 읽기 속도에 미치는 영향

저자

김선경, 이혜원

발행기관

사단법인 한국심리학회

발행일

20156

키워드

한글 ,글자 크기 ,노화 ,읽기 속도 ,연령 ,한국어

Series/Report no.

Vol.27 No.3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컴퓨터 환경에서 한글 글자 크기가 청년과 노인의 읽기 속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인터넷에서 상용되는 글자 크기를 기준으로 0.2516배의 7가지 글자 크기 조건에서 측정한 문장 읽기 정확도에 커브 피팅 기법을 적용하여 읽기 속도 곡선을 도출하고, 청년과 노인의 글자 크기 임계치(critical print size)와 최대 읽기 속도(maximum reading speed)를 비교하였다. 글자 크기 임계치는 최대 읽기 속도를 산출하는 최소 글자 크기로서, 효율적인 읽기 수행을 위해 필요한 글자 크기이다. 분석 결과, 청년과 노인의 읽기 속도는 글자 크기 시각도 0.13°에서부터 글자 크기가 커질수록 급격히 증가하다가 글자 크기 임계치에서 최대 읽기 속도에 도달한 후 8.32°까지 일정하게 유지되었다. 글자 크기 임계치는 청년 0.41°, 노인0.52°, 노인의 글자 크기 임계치가 더 컸다. 최대 읽기 속도(wpm)는 청년 296, 노인 208,노화에 따른 전반적인 읽기 속도 저하가 관찰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가장 효율적인 읽기 수행을 유도하는 글자 크기가 청년과 노인에게서 상이하게 나타나며, 읽기 수행을 최대화하기 위해서는 각 연령 집단에 적합한 글자 크기로 제시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Link  http://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06390468
다음글 The Influence of Social Networks and Supports on Depression Symptoms: Differential Pathways for Older Korean Immigrants and Non-Hispanic White America
이전글 목표유지가 청년과 노인의 주의에 미치는 영향, 이혜원 김선경, 정유진, 한국노년학, 2015, Vol.35 No.3,pp643-6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