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번호
8659139
일 자
17.02.09
조회수
203
글쓴이
김문정
[데이터 주요변수] 사회통합지표

[사회통합지표]

년도

문항

측정방식

OECD 사회통합지표 분석 및 시사점

(https://www.nars.go.kr/brdView.do?brd_Seq=18970&currtPg=1&cmsCd=CM0150&category=c3&src=&srcTemp=&pageSize=10)

2016

주관적 웰빙

삶의 만족

-

가치 있는 삶의 느낌

삶의 평가

긍정적 감정 균형 정도

2016

개인적 안전

신고된 살인율

-

자기보고 피해율

야간 도보시 안전감

2016

환경의 질

대기의 질

-

수질에 대한 만족도

2016

시민참여와 거버넌스

투표참여율

-

규칙 제정에서의 공식 협의과정

2016

교육과 기술

성인 인구의 교육 성취도

-

교육기대 년수

국제학업성취도평가(PISA) 평균 점수

성인 인구의 역량

2016

소득과 자산

가구 1인당 순가처분소득

-

가구1인당 순금융자산

2016

직업과 근로소득

고용률

 

장기실업률

전일제근로자 연평균총소득

직업안정성

2016

사회적 관계

사회적 지원 네트워크

-

2016

주거환경

1인 당 방의 개수

-

기본시설이 없는 주택거주 비율

주거비용

2016

일과 삶의 균형

여가와 개인적 돌봄에 쓴 시간

-

주당 50시간 이상 근무하는 근로자 비율

2016

건강상태

기대수명

-

자기보고 건강상태

다음글 [데이터 주요변수] 세대성
이전글 [데이터 주요변수] 사회참여